낌새는 있었다. 문은 자동잠금 방식이었다. 손잡이를 돌릴 때마다 쉽게 열리고 싶어하지 않는 어떤 고집이 느껴졌다. 살아 있나? 시간은 흘러 흘러 급기야 문은 완강해지고자 한 모양이었다.

˝문이 안 열려!˝
누군가 중요한 듯 외쳤지만, 금방 해결되겠지? 하는 안도와 장난도 섞여 있었다. 우리는 위급과 보통을 구분해 듣는 시스템 1(대니얼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 참조바람. 내 페이퍼에 잘 요약되어 있음-지나친 당부)이 있다. 사무실 직원 중 얌전하고 귀여운 사람1이 다가갔다. 문제가 발생하면 자신이 해결할 수도 있다는 착각으로 다가가기 마련이다. 그게 요행이더라도.
나는 최근 적극 수용하기로 한 방관자 자세로 내 자리에 앉아 있었다. 화장실도 다녀왔고 급할 게 없었다.

두 사람이 씨름했지만 문은 쉽게 타협하지 않았다.
누군가는 계속 ˝우린 갇혔어. 어떡해~~~~~˝를 희랍 비극의 코러스처럼 반복했고, 당연하게도 사장님은 엄중하지만 데우스 엑스 마키나 같은 해결자가 아니었고, 얌전하고 귀여운 직원1은 침착하게 말했다.
˝일단 급하시면 창문으로 나가시고 나머지 사람은 이후 문이 열리면 나가죠.˝
(부가적 사항: 여긴 2층, 사다리 없음, 뛰어내리란 소리, 누군가는 뚱뚱하다, 운동 부족으로 관절도 좋지 않을 걸로 예상된다)

얌전하고 귀여운 직원1은 언제나 이렇게 얌전하고 귀엽게 말한다. 더 중요한 건 예쁘다! 그런데 이 얌전하고 귀여운 직원1은 빈 패트병을 깜짝 놀랄 정도로 무자비하게 구겨서 버리는 습관이 있다. 무서운 말을 아무렇지 않게 하듯이.

나는 풋, 숨죽여 웃고 말았다. 밥이나 먹을까. 갇혀도 밥은 먹는다. 로빈슨 크루소가 아니더라도. 물론 둘 다 배달을 원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생각에 관한 생각>에 이런 내용이 있다. 고대 나일강은 이집트가 대비를 했음에도 매해 범람했다. 우리의 예상은 그 이상을 상상하지 않기 때문이다.

밖에서 여러 번 시도한 끝에 문이 열렸고, 자물쇠 걸림 부분을 테이프로 막았다. 자동잠금 장치와 손잡이는 수리되거나 교체되더라도 문은 그 자리 그대로 있을 것이다. 다음엔 다르게 고장나겠지. 그 순간은 닥칠 때까지 누구도 알 수 없다.
이 문은 나보다 더 오래 살 거란 기이한 확신이 든다.


최근엔 뉴스도 안 보고 아이돌 음악에 빠져 있다. 신나는 비트와 애절한 가창 아래 있는 ˝사랑에 대한 숭배와 애도성˝ 때문에 유치해도 사랑받는 것이리라. 아이돌은 매해 나타나고 사라지겠지만 이 ˝숭배와 애도˝는 K-POP과 가요, 음악의 본질에서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성질이다.

에드가 앨런 포우의 시선집 <꿈 속의 꿈>(아티초크 빈티지 1)에서 황인찬 시인의 서문도 그런 대목을 짚는다.

˝사랑 앞에 엎드리고 자신을 완전히 내맡기는 모습에 마음이 기울지 않을 이가 어디 있겠는가. 그런데 포우의 시를 계속 읽다 보면 우리는 사랑과 죽음의 또다른 모습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사랑의 모습이 `숭배`와 닮은 것이라면, 그의 시에서 나타나는 사랑의 형태는 `애도`의 양식과도 닮아 있다.˝



며칠 후면 나는 이 사무실을 떠난다. 이곳 문에 대해 잊게 되겠지. 그러기 전에 또다른 이곳인 ˝북플˝에 이 기록을 남긴다. 어떤 애도도 없이. 끝없는 기록이 근사치의 애도일 지도 모른다.

계속 아득하다.
현실을 꿈속처럼 살기 때문이다.
꿈속에서 현실같이 사는 것과 마찬가지 문제다.
문학 또한 두 곳을 동시에 오간다.
정확히 갈 곳이 없는 것 같다.




ㅡAgalma





*이 글은 타인을 위한 글이 아닙니다. 더 정확히는 이런 이야기가 재밌는 일부와의 교류를 위한 글입니다. 그런데 자신들의 추측과 증언을 말할 뿐 정확히 대화하는 것일까.(갑자기 반말)

이 글은 (대부분의) 당신이 원하는 정보가 희박할 겁니다. 그러니 좋아요는 신중히!(갑자기 경고)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8-04 19: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5 02: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15-08-04 23: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꼭 현실을 현실로만 살이야 하나요¿?

AgalmA 2015-08-05 02:20   좋아요 1 | URL
왜냐하면 저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이죠 :)
말도 아 다르고 어 다르게 해석하는데 현실이라는 물리 자체를 뒤바꾸면 현실이 블랙홀이 되잖아요...제겐 이미 이렇죠. 정확히.

2015-08-05 0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5-08-05 00:45   좋아요 2 | URL
양보나 타협을 위해 감수한다는 건 아니에요. 다들 제각각의 현실을 가지고 사는데, 모두 한 치의 물러섬도 없다면 대립과 파괴밖에 없을 겁니다. 그런데 이것 또한 내가 원하는 건 아니잖아요? 결국은 나를 위한 선택을 하는 거겠죠. `원한다`는 참 가변적이죠.

제 존재를 감당하고 반영하고 대변해야 한다는 게 무거울 뿐 다른 이로 인해 무거운 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현실 속에서 늘 제가 `무엇`이고 `여기`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자 변수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당신 때문에 조금 행복합니다. 지금 이순간은. 아시다시피 미래를 몰라서 이순간이라고만 말할 수밖에 없는 것 이해 바랄께요 :) 님을 믿지 못해서가 아니라 현실을 믿지 못해서라는 전제를 노파심에서 남깁니다.

고마워요. 언제나 그랬어요.

2015-08-05 01: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5 01: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5 01: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5 01: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5 01: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5 0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5 16: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6 00: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13 13: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1세기컴맹 2015-08-20 21: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림출판사 1984 刊 2800원 짜리로는

그대 영혼 외롭다 느끼리
잿빛 묘비의 어두운 상념들에 둘러싸여
그 많은 사람의 무리 가운데서 단 한 사람도
그대의 은밀한 시간을 살필 이 없네

라고 驛되어있어요 많이 다른 느낌이지만 아직 싱싱한 단어들입니다.
제가 처음 포우를 알게 된 시집이라 애정이 가는 책이죠 . 번역도 뭐랄까 우울과 음산이 좀 잘 드러나있지요 강대건 씨의 편역 책이고 당시 중고삐리에게 인기있던 시집였죠

기뻐서 펴보는 독서생활
이 맛, 묵은 빼갈 같은데요 물론 알콜기는 날아가지 않은 짜르르...

AgalmA 2015-08-20 21:31   좋아요 0 | URL
오, 멋진데요. 번역이 그로테스크한 멋을 살리려고 노력한 게 느껴집니다.
묵은 빼갈=오래 함께 해 온 책 비유 좋네요...저도 옛날 시집들 가을녁에 많이 펼쳐봐야 겠어요^^

나와같다면 2015-09-11 0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사랑하면.. 자신이 죽기도 하지요..

AgalmA 2015-09-11 21:46   좋아요 0 | URL
이 책에 이런 인용도 있죠.
˝모든 사람은 행복을 추구한다. 여기에는 예외가 없다. 스스로 목을 매려는 사람까지도.˝ㅡ파스칼
과학과 인식의 다양화로 인간의 불가해한 점이 많이 드러나고 있지만 종국엔 여전히 해답이라고 보기 늘 어려운 지점이 있죠...
흔적님 서재에서 닉넴 자주 뵈었는데, 대화는 처음이네요. 안녕하세요. 지금은 비가 옵니다. 그곳은 평안하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