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61.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6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64.jpg)
나비넥타이 수집가, 미당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65.jpg)
베레모와 파이프담배 애호가, 미당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66.jpg)
주례왕, 미당 -_-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67.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93.jpg)
아내에게 영어 가르치기 비공식 왕, 미당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9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69.jpg)
아내 과자 챙기기 대장, 미당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71.jpg)
산 이름 외우기 왕, 미당
미당은 노년에 세계의 산 이름을 즐겨 외웠다.
나라와 높이까지 곁들여서 외운 이 이름들은 모두 1.625개. 1987년 연초부터 시작한 그의 산 이름 외우기는 1990년 9월에 완전하게 성공한다.
그 이후로 작고하기 전까지, 미당은 매일 아침 특유의 염불하는 듯한 목소리로 이 이름들을 불러냈다. 시간은 40분 정도.
가만히 들어보면 무슨 주문 같기도 하고, 그 자체가 시 같기도 하다.
미당은 기억력의 감퇴를 막기 위해 훈련하는 것이라고 했지만, 다 외우고 나니 뭐든지 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든다고 했다. 그때가 일흔 여섯이었다.
“산 이름을 왜 외우시는가” 물으면 우스개소리로 말하기를,
“산 이름들을 자꾸 외우면, 세계의 모든 산신령들과 친구 되는 기분이 든다”고 했다. 그러나 사실은 그것은 새로운 목표를 향한 노시인의 또 다른 도전이었다.
미당은 마지막 10년 동안 매일같이 세계의 모든 곳, 가장 높은 곳에 이르렀다. 세상의 어떤 시인도 보여주지 못한 정신의 높이를 스스로 즐겼다.
그는 지구를 휘감아 버티고 있는 설산의 위용과 굽이치는 산맥들을 자기 조국의 해뜨는 아침과 함께 꿈꾸었다.
우리가 시인에게 배울 점이 있다면 이런 기백과 지혜이다.
미당은 에베레스트를 4천 번이나 오른 시인이었다.
(설명 : 윤재웅)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7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7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82.jpg)
멀리... 질마재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7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76.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4/73/cover150/8975983005_1.jpg)
보리고개
진달래꽃은 소월이 차지하고 모란은 영랑이 국화꽃은
미당 것이 되어버렸고 파초는 지훈 눈물은 다형 풀잎은
수용 윤 사월 나그네는 목월이 고향 향수는 지용이 침묵
은 만해 별과 하늘은 동주가 꼭 잡고 아니 내놓는 사철
이 보리 고개 나는 어디서 무엇을 먹고 살거나
범대순 [파안대소](2002 / 전남대학교 출판부)
§
범대순 시인처럼 누구의 것도 아닌 시를 찾아 헤맸다
시쓰기는 가난이었다
그는 가난을 대표하듯 짧고 아름다운 절구시(絶句詩)를 찾아냈다
나는 습관처럼 정면을 피했다
미당 시인처럼 시는 누구도 오르지 못한 산을 찾는 일이었다
시는 미지(未知)였다
다시, 두려워하지 않으리라
누구의 것도 아닌 바다로 향했다
길은 언제나 막다른 물음이었다
ㅡAgalma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19/pimg_7598491531208877.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036/64/cover150/8972994251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