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정판 옮긴이 김현경씨가 머리말에서, 예전 번역본 <상징권력과 문화재생산>(정일준, 새물결)에 대해 일갈하는 것이 아주 인상적이다.
˝독특한 (자의적인) 구성과 인상적인 옮긴이 서문, 그리고 기념비적인 오역을....˝

원서든 오역본이든 본질을 제대로 간파했다면 다행이겠다. 프리모 레비는 언어를 배울 때, 말하는 것보다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했다.
우리의 문장과 문장 사이에는 객관보다 자의적 해석이 더 많이 어슬렁거리고 있다. 롤랑 바르트는 <마지막 강의>에서 객관성의 속임수보다 주관성의 속임수가 더 낫고 주체의 상상계가 주체의 제거보다 더 낫다고 말했지만, 나는 객관성의 착각이 주관성의 착각보다 더 고치기 쉽고 객관성의 모색이 주관성의 불통보다 더 낫지 않겠나 생각한다.
그리고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ㅡ 지지를 받는다고 해서 인정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무비판적 수긍은 우리를 더 이상 자유롭지 못하게 한다. 언어가 통과한 `나`라는 유령.

속의 소용돌이를 언어로 바꾸며 경색되어가는 그 모습들에서 자주 끔찍함을 느낀다. 내 말들도 끔찍하다. 언어는 도대체 왜 이런 것인가. 자연에서 추출한 추상미술과 언어 둘 중 누가 더 나을까. 그렇다고 음악은 자유로울까. 조금 더 자유로운 거겠지. 존재하기 위해 틀을 감수한다.

형상 없는 신의 말씀을 들었다고 치자. 우리 지식으로 어떻게 이해 가능한가? 텔레파시로? 혹은 전파를 보내 이미지를 보여주는 시스템 같은? 오, 비루한 내 언어능력이여. 어떻게든 번역해서 전달한다고 치자. 몇 %나 제대로 도착한 것일까? 여전히 진행 중인 거 같은데? 결국은 다 불가해하다고 하는 것 같은데? 많은 걸 배웠지만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나라 같은 앎이여. 결국은 무지한 승객들이 탄 순환선에서, 나는 역 하나를 보았고 내렸다. 알라딘 서재라는 곳인데, 최근 북플로 최신식 개장을 했다고 떠들썩했다.
진열대에서 책 하나를 빼들었고, ˝각자가 지닌 언어자원을 활용하여 상징적 이익을 얻는 행위˝라는 문장에서 이곳의 이미지를 반사적으로 떠올렸다. 내가 여기 있기 때문에.
멀리서 여길 보고 있는 존재는 뭘 느낄까. 이 지식공장은 날마다 바쁘다. 산업혁명 시대 방직공장 저리 가랄 정도~

읽고 쓰는 것 ㅡ 윤리를 염두에 둔 자라면 그 행위를 ˝반성˝이라고 말하고, 또 누군가는 ˝왜? 왜? 왜? 나 ˝해! 해! 해!˝만 반복하여 말한다.
보고 듣고 말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어떤 삶일까. 식물인간? 죽음? 그렇게 단순한 답일 리가..... 답이 아니라 나는 원하는 걸 알아보길 바라는 거겠지. 그리고 내내 무지한 채 이 언어를 반납하길 기다린다. 그전까진 어떻게든 더 챙기겠지. 지식과 언어의 프롤레타리아여.

 

 

 

 

ㅡAgalma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5-05-01 0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가까운 사이일수록 말하고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흔히 말 안하고 다 안다, 다 이해한다고 하지만, 내가 상대방이 아닌 이상 불가능한거니까 말예요.
이심전심이나 염화시중 따위는 어쩌면 도인이나 구도자가 아님 장님 코끼리 다리 만지는 식 아니었을까요?

AgalmA 2015-05-02 02:20   좋아요 2 | URL
^^ 발화를 하는 관계 방식과 거리감에 대한 말은 아니었어요. 제 요지는, 사람들이 점점 더 방대한 지식의 획득과 운용에 열성을 기울이는데, 자신의 습득과 활용의 원인에 관해 전면적으로 살펴봐야 하지 않겠나 하는 점이었습니다. 잘 살기 위해서? 현명해지기 위해서? 도태될까봐 겁을 먹어서? 분명 하나이진 않을테죠.
헌데 언어와 인식에 대해 자아비판 같은 고민을 가열차게 하는 글이 여기 서재에 어울릴까? 얼마나 오래 갈 수 있을까 생각하면.... 물론 그런 분들의 분투가 아주 없진 않죠. 하지만 어딘지 고립되어 보이는 건 제 오해일까요.

우리는 나누지만 이 체제 속에서 분명 견제와 경쟁을 하고 있고, 그런 걸 어물쩡 넘어가려는 자신의 허위를 모른 척 하지 말자는 겁니다. 반추와 반성을 하는 행동과 아닌 행동은 근본적으로 다르잖아요. 또한 그 다종다양한 선택들에서 파생된 문제거리가 모두 우리 몫으로 돌아올텐데, 사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바꿀 수 있는지도 우리의 점검 속에서 가능하겠죠.
이런 얘길 믿음직한 벗과 허심탄회하게 얘기할 수 있다면 제일 좋겠죠. 그걸 바라고 저도 이곳에 온 것이고요. 지금처럼 양철나무꾼님 덕분에 뭔가 잔뜩 말하고 있네요;;

거울을 통해 자신의 생김을 인식하듯이 언어도 내 생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이지 않습니까.
타인의 언어에 휘둘려 휘청거리는 삶이 너무 많아서 이런 말을 꺼내 본 것이기도 합니다.

양철나무꾼 2015-05-02 08:11   좋아요 0 | URL
완전 부끄럽게 만드시네요~--;
쥐구멍이라도 있으면 들어가고 싶은 심정 아실랑가?
제가 생각이 이리저리 널을 뛰는것도 있고, 북플의 폐단이 긴글-게다가 저나 님처럼 긴글에 내용의 일부를 사진으로 옮기는 경우, 대충 읽고 후다닥~! 댓글을 달게 되는 것 같아요.
댓글의 덧글을 보니 제 행동이 경솔했구나 싶어져 이렇게 이실직고 합니다.
석고대죄는 안해도 돼죠~???

AgalmA 2015-05-02 14:35   좋아요 0 | URL
사과는 안 하셔도 돼요. 대화가 이런저런 논의를 하는 게 아니던가요^^
대화 시작을 열어주셔서 오히려 더 좋았어요. 혹여 의기소침하지 마시길. 제가 가끔 그래서;
이웃이 많다보니 정독하며 읽기가 많이 어렵지 않나요? 저는 모든 이웃들의 포스트를 대충만 봐도 1시간이 넘게 걸리더군요. 댓글이라도 달려면 더 정독해서 봐야되고 시간은 또 초과...그 과정이 버거워 서재 발길을 정해서 오자 하면서도...ㅎ

양철나무꾼 2015-05-02 14:34   좋아요 0 | URL
어~(,.) 이기호 소설 제목이랑 착각하셨나보다~ㅇ.
사과는 안했는데...
이실직고 했을뿐이고~,
제가 어려운 말을 못알아먹는- 뒤끝 없는, 남들이 보기엔 아주 단순한, 나름 쿨한 성격이거덩여, ㅋㅋㅋ

AgalmA 2015-05-02 14:48   좋아요 0 | URL
경솔-이실직고-석고대죄 이 단어의 조합을 갖다놓으시고 사과는 아니고 솔직이다 하시다니 반농담이어도 너무 요리조리 빠져나가려 하시는 거 아닙니까ㅎ
어쨌거나 양철나무꾼님이 제가 걱정할 멘탈은 아니시라는 인정요~ㅎ

양철나무꾼 2015-05-02 14:44   좋아요 0 | URL
아~~~~이거이거 취소 요청이요.
저 새누리 경기 일으켜요.
실은 저 어려운 책 읽고 어렵게 글 쓰고 잘난척 하는 사람 딱 질색이거덩여. 제 무의식의 반영이었나 봐여.
암튼 새누리는 취소해주시죠? 정중히 사양합니다여~(__)

AgalmA 2015-05-02 14:59   좋아요 1 | URL
문제의 단어는 지웠구요.
말하는 자-듣는 자 관계에 대해 저는 고민이 많습니다. 제가 곧 말하는 자-듣는 자이니까요.
듣는 사람을 배려하는 쉬운 발화를 요구하는 만큼, 듣는 사람도 알아들으려는 노력의 자세도 함께 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노력의 시간을 더 들여야한다는 것에 사람들은 불평하며 여러가지 요인을 대며 기피하죠.
어렵다고 외면하는 것과 가볍다고 무시하는 그 둘은 서로 다를 바 없는 처사라는 게, 요즘 제 생각입니다.
양철나무꾼님은 여기서 폼내는 어려운 글 쓰는 자에 대한 지적이긴 하겠습니다만...

수이 2015-05-01 10:3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식의 언어의 프롤레타리아들은 오늘도 여전히 바쁘겠죠. 더구나 메이 데이니 무슨 말을 하겠습니까. 담론_이라는 건 애시당초 꿈도 꾸지 않으니 아갈마님과 다른 분들 담론 구경하러 저도 열심히 드나듭니다. 열심히 듣고 있어요_ 손 번쩍! 아니 두 손 번쩍!

AgalmA 2015-05-02 00:13   좋아요 1 | URL
사실 이런 얘기를 하면 괜히 이웃들 심기만 불편하게 하는 말이기도 할 겁니다. 하지만 이상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해선 저도 두 손 번쩍 들고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누군가와 이런 얘길 나눌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일 수도 있으니까요.

네오 2015-05-01 20: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기,,새누리당이 계속 승승장구하는 이유중의 하나가 쉬운언어를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하는것이라는데,,저도 반성할께 지식인 언어만 주구장창 사용했거든요,.저 사진속의 저 밑줄들이 지금에 와서는 너무 수준높아보여요,,저에게는 심금을 울리지만요,

AgalmA 2015-05-02 02:18   좋아요 1 | URL
양비론 관점은 아니고, 새누리도, 지식인도 근본적으로는 같죠. 자신의 욕망을 반영하는 발화를 한다는 점에서는요. 누군가를 자신이 원하는 쪽으로 바꾸려하는 것이고, 그 발화로 획득하고자 하는 목표점이 다를 뿐.
진보는 윤리, 정의 등을 십자가처럼 내세우지만, 사람은 자신의 욕망과 이익에 가장 충실하다는 걸 매번 무시하고 자기 말만 해대고 있으니(정권타도~~~) 반사 무시를 당할 수밖에요. 어려운 책이 대중에게 무시당하듯.
이론보다 실전 우선, 새누리는 늘 그 부분엔 수완가들이죠. 언제나 가능했듯이 욕은 두루뭉술 받아넘기면 되지만, 정권을 잃으면 많은 걸 잃어야 한다는 걸 아는 절실함이 행동을 부르는 격이랄까요.
정권 타도 원하는 국민이 과연 몇 프로나 되겠습니까. 자기 취직, 자기 가족이 먼저 인 게 보통인 요즘 세상에서.

저 또한 좀 현명하고 진정 논의를 위해 열정이 있었다면, 이렇게 재미없고 관심 못받게 생긴 글을 올리면 안되는 거였죠ㅎ 이미지, 음악, 유머 온갖 걸 총동원했어야 했겠죠.

2015-05-02 14: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5-02 17: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5-02 16: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5-03 0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에이바 2015-05-02 20: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반추와 반성을 하는 행동과 아닌 행동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댓글에 고개 숙입니다. 누가 한 말인지 기억나지 않는데 `발화 순간부터 그 언어는 왜곡된다`고 했지요. 문장 사이 객관보다 자의적 주관이 더 많다는 말씀 동의하고요. 화자보다 청자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의 정의를 제대로 세워야하는 것도 맞다고 봅니다. 정의 좋은 거 누가 모르나요. 이상을 부르짖는 먹물 냄새, 좋아하는 사람 드뭅니다. 그들의 언어를 배워서 듣고 말하는게 필요합니다. 100% 소통? 꿈같은 얘기지요. 차라리 외국어라고 생각하는게 나을지도요. 부르디외 읽으시면서 많은 고민 하셨나 봅니다. 저는 살짝 발 담근채로 아는 체에 급급합니다만, 아갈마님 같은 성찰을 통해 소통하고 담론을 바꿔나가야 하겠지요...

AgalmA 2015-05-03 02:33   좋아요 0 | URL
찬찬히 생각을 정리하신 에이바님 말씀에서, 살짝 발 담그고 아는 체에 급급한 모습은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자신을 너무 낮추시지 마세요^^; 그러시면 저는 어디로 더 낮춰야 하나요;;
우리나라는 토론 문화가 여전히 잘 잡혀져 있지가 않죠. 한국 근현대사 영향이 크지만, tv토론 볼 때마다 우기기 싸움에 정말 한숨이ㅎ....생각 좀 깼다던 대학 운동권 시절에도 대체로 위계와 하달식이었고...
서로의 삶이 다 다르기 때문에 상대에 대한 고려없이 자신의 깜냥으로 누굴 가르치는 식은 매우 무례하고 위험한 접근일 겁니다(결론은 무시와 싸움으로...) 의견이라는 게 충돌과 오해가 생기기 십상이니,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서로의 말을 경청하고 대화하는 문화를 넓혀가는데 모두가 긍정적으로 참여했으면 좋겠습니다. 제 욕심에선 한국 입시 제도도 바칼로레아식이면 좋겠어요. 한국특성상 논술입시 시장만 더 키우는 게 되려나요;
한국의 어려운 지금도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심리상 인터넷 악플과 베틀은 사라지지 않겠지요;
모든 시대에서 현재란 늘 버거운 상황 아니었던 가요~_~
좋은 말씀 나눠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에이바 2015-05-03 14: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입시제도가 중요한 이유는 교육이 그에 따라가기 때문이죠. 교육 철학의 기조를 세우는게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 인생을 살아나갈 것인가 하는 교육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해외에서 수학하는 동양인들도 토론 수업 참여도는 낮지만 에세이에 강하니 장단이 있는 듯 합니다. 서양인들 토론하는 거 보면 자기 의견을 거침없이 개진하지만 진짜 쓸데없는 얘기도 많거든요. 뭐 저런 걸 주저리주저리... 건전한 토론문화가 정착되려면 아갈마님 말씀처럼 나이나 권위로 누르려는 문화를 지양해야겠지요. 그리려면 평소 `생각`할 거리가 있는 교육을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스펙을 위해 공부하는 건 동서양 다를 바 없습니다만 서양애들 부러운게 어릴 때 노동, 경제, 정치 등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알아야 할 기본을 배운다는 거예요. 우린 그런 교육이 부족하지요. 전 입시 준비하면서 기든스의 제3의 길, 부르디외를 처음 읽었는데요. 머리를 꽝 치더라고요. 절망감도 느꼈고요. 대학가는게 쉽지않다 싶고ㅎㅎ 그때 제가 꾸준히 공부했다면 지금은 더 나은 사람이 됐으리라 생각합니다. 제 코가 석 자입니다ㅠㅠ 서양철학도 좋지만 우리 얼을 부정할 순 없지요. 논어도 좀 배우고 목민심서도 좀 보고 용비어천가는 좀 외우고요ㅋㅋㅋ 생각을 많이 하면 얘기를 하고 싶잖아요, 함께 나누고 싶고... 그러다보면 자연스런 토론문화도 정착되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AgalmA 2015-05-03 15:06   좋아요 1 | URL
말씀에 동의합니다. 동양철학의 어려움은 한국요리의 보편화만큼 어려운 일이랄까요^^; 레시피가 대체로 정확히 나오는 서양철학이 그래서 널리 퍼진 걸 수도 있겠죠. 문화적 제국주의 문제는 또 차치하더라도.
결국은 교육의 기본방향이 제일 문제인데, 참 갈 길이 멀긴 합니다. 그런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저는 인식의 자립화를 더 주장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