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말랑한 힘 - 제3의 시 시인세계 시인선 12
함민복 지음 / 문학세계사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서 들어야 진정한 가치를 느낄 수 있는 명반같은 시집이다. 내 몸은 길인가 그림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창비시선 357
함민복 지음 / 창비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읽을 때 처음에는 글자만 읽히다가, 다음에 문장이 읽히고, 이내 그 시의 본의를 깨달을 때가 있다.

 

한참 전에 서울 변두리 팔당호가 가까운 곳에서 살았었다. 호수가 가까우니 안개가 자주 꼈었다.

함민복 시 <안개>를 읽고 있자니 그 시절 새벽 안개를 뚫고 서울로 학교 다닐 때가 생각났다.

안개가 자욱한 추운 겨울날 새벽, 집을 나서면 아직 새순도 돋지 않은 앙상한 나뭇가지에 안개꽃이 뒤덮여 있었다. 

희부연 안개 속에 설백색으로 덧칠된 나무숲을 지나는 시간이 꽤 즐거웠던 기억이 난다.

 

안개는 그렇게 사물과 그 배경을 모두 지우고 내 몸 속 어딘가에 숨겨진 더듬이를 내밀게 한다.

더듬더듬, 시인처럼

나도 가끔 세상을 그렇게 더듬어 보고 싶다.

 

 

안개

안개는 풍경을 지우며
풍경을 그린다

안개는 건물을 지워
건물이 없던 시절을 그려놓는다

안개는 나무를 지워
무심히 지나쳐 보지 못하던 나무를 그려보게 한다

안개는 달리는 자동차와
달리는 자동차 소리를 나누어놓는다

안개는 사방 숨은 거미줄을 색출한다
부드러운 감옥 안개에 갇히면 보임의 세계에서 해방된다

시선의 밀어냄을 흡수로 맞서며
눈동자에 겸손 축여주는 안개의 벽

안개는 물의 침묵이다
안개는 침묵의 꽃이다
(80-8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4 0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함민북 시집을 사셨군요. 가만 보면 한국에서 글 써서(문학 해서) 먹고 사는 사람은 10명도 안 되는 것 같습니다.

돌궐 2015-06-24 06:50   좋아요 0 | URL
네 곰곰 님 추천하신 함민복, 김신용, 문태준 시집 한 권씩 샀습니다. 김신용, 문태준 시집 다른 것도 있던데 그것도 나중에 사서 보려구요.
김신용 <환상통>은 자주 들춰보게 될 거 같아서 아예 비니루로 쌌습니다. 감사합니다.^^

돌궐 2015-06-24 06:59   좋아요 0 | URL
참, 책 표지 안쪽에 날짜 적고 `곰곰님 추천`이라고 썼답니다.ㅎㅎㅎ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5 05:46   좋아요 0 | URL
어쿠. 감사합니다. 제 기준에 좋은 시집이라 추천이 쉽지는 않습니다. 누가 추천한 걸 사서 읽은 적 있는데 하도 후져서 욕했던 기억이 나네요...ㅎㅎㅎㅎㅎㅎㅎㅎㅎ...

김신용이란 작가는 제가 눈여겨보는 작가입니다.
 

 

 

 

 

 

 

 

 

 

 

 

 

 

 

다음은 고려 때 문인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나오는 글이라고 한다. 

 

시는 사상[意]이 기본이다. 때문에 구상이 어렵고 언어 묘사는 둘째로 된다. 구상은 또한 그 사람 기백이 높고 낮은 데 따라 깊고 얕은 것으로 구별된다. 그런데 기백이란 바탕에서 말미암은 것이요 배워서 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기백이 낮은 자는 시구를 다듬어 맞추는 데만 힘쓰고 시상을 앞세우지 못한다. 이렇게 지은 작품은 조각한 듯한 문장과 그려 낸 듯한 시구가 참으로 아름답기는 하다. 그러나 깊고 함축된 시상이 없으면 처음 보기에는 잘된 듯하나 다시 음미하면 아무런 맛도 없어지고 만다. (28)

 

시에는 아홉 가지 좋지 않은 체가 있으니 이는 내가 깊이 생각하여 깨달은 것이다.

시 한 편에에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인용한 것은 수레에 귀신을 가득히 실은 체[재귀영거체載鬼盈車體]요,

옛사람의 구상을 훔쳐쓰는데 도적질을 능숙하게 했다 해도 옳지 않거니와 그 도적질조차 서투르게 한 것은 서투른 도적이 쉽게 잡히는 체[졸도이금체拙盜易擒體]요,

어려운 운을 근거 없이 억지로 단 것은 큰 활을 잘 당기지도 못하는 체[만노불승체挽弩不勝體]요,

자기 재주를 헤아리지 못하고 운을 달아 운이 고르지 못한 것은 술을 지나치게 취하도록 마신 체[음주과량체飮酒過量體]요,

어려운 말을 즐겨 써서 사람을 미혹하는 것은 구덩이를 파 놓고 소경을 인도하는 체[설갱도맹체設坑導盲體]요,

남의 글을 인용하여 말이 순하지 못한데도 애써 인용하는 것은 억지로 남을 따르게 하는 체[강인종기체强人從己體]요,

세련되지 못한 말을 많이 쓰는 것은 촌 늙은이들의 이야기 체[촌부회담체村父會談體]요,

꺼려야 할 문구를 함부로 쓰는 것은 존경할 사람을 업신여기는 체[능범존귀체凌犯尊貴體]요,

거친 시구를 다듬지 않는 것은 밭에 가라지가 가득히 우거진 체[낭유만전체莨莠滿田體]다.

 

이런 좋지 않은 체들을 극복한 뒤라야 더불어 시를 이야기할 자격이 있다.
누가 자기 시의 결함을 지적하거든 받아들일 만한가를 살펴야 한다. 그의 말이 옳으면 받아들이고 옳지 않으면 내 주장대로 할 것이니, 구태여 듣기부터 싫어하여 마치 임금이 신하가 간하는 말을 듣지 않고 끝내 제 허물을 고치지 못하듯이 하겠는가.
시를 쓴 뒤에는 보고 다시 보되 자기가 쓴 것이 아닌 것처럼 보아야 하며, 남의 것처럼 보되 평생 매우 미워하는 사람의 시로 생각하고 결점을 찾기에 노력하여 결점을 찾을 수 없이 된 뒤에 발표해야 한다. 이것은 다만 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산문도 그러하다. 古詩처럼 유려한 문장으로 구절을 조직하고 운을 다는 것은 더욱 그렇다. 우선 시상이 넉넉하면 시어도 자유로워 거침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시거나 산문이거나 그 법은 한 가지인가 한다.
(29-30)
- ‘시상의 미묘함을 논한다[論詩中微旨略言]’에서, 《동국이상국집》

 

가만히 보니 내가 쓰는 글은 대체로 (잡문이라는 걸 감안하더라도) 만노불승체, 음주과량체, 촌부회담체, 낭유만전체가 많은 것 같다.

'수레에 귀신이 가득찬' 재귀영거체는 내 견문과 학식이 부족하여 쓰고 싶어도 못 쓰는 문체이고, 졸도이금체와 설갱도맹체, 강인종기체는 내가 싫어하는 스타일이라 쓰고 싶지 않은 문체이다.

아무튼 이규보 다른 글들을 읽어보니 비평 정신이 탁월했던 사람이더라. 기회가 되면 몇 권 찾아보기로 하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병통치약 2015-06-16 2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 해당되지만 특히 강인종기체强人從己體, 음주과량체飮酒過量體 두 가지가 가장 찔리네요 ^^

돌궐 2015-06-17 06:54   좋아요 0 | URL
만병통치약 님 글을 많이 봤지만 강인종기체나 음주과량체에 해당되는 글을 본 적은 없습니다.^^
사실 명문과 졸문은 한끗 차이인 것 같습니다. 저 문체에 해당되더라도 읽는 사람이 좋게 여기면 다 용서가 되거든요.ㅎㅎ

cyrus 2015-06-17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졸도이금체. 신 모 작가에게 이 한자성어를 전하고 싶습니다. ^^

2015-06-17 22: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어제 저녁 도서관 책을 반납하러 가는 길에 소낙비가 내렸다.

급하게 도서관으로 뛰어가서 책을 빌려 나오는 길이었다. 나는 저만치 앞서서 손을 잡고 걸어가고 있는 한 쌍의 키 큰 젊은 남녀를 보았다. 남자는 정장을 입었고 여자는 민소매 원피스를 입었다. 파란색 계열인 것으로 기억한다. 남자는 180 중반 정도 되는 큰 키였고 여자도 170 정도는 충분히 될 것 같았다. 여자의 원피스 아래로 드러난 다리가 길고 날씬했다. 군살 하나 없이 매끈한 몸매였다. 질끈 묶은 머리 모양은 또 얼마나 작고 예뻤는지 모른다. 가끔 이성을 보고 헉, 하고 숨이 멎을 때가 있는데 이 여자의 뒤태를 보고 딱 그런 느낌이 들었다.

나도 한 때는 저렇게 애틋하게 여자의 손을 잡고 시내를 활보하던 때가 있었다. 그녀의 허리에 내 팔이 뱀처럼 휘감겨 있었었다.

그러나 이젠 허리를 감고 다닐 만한 나이는 아닌 듯하여 조금은 쓸슬해진다.

 

나는 잠시 그들의 뒷모습을 보면서 뒤따르다가 이내 그들을 지나쳐서 내 갈길을 갔다. 그들을 지나칠 때 뒤를 돌아보고 싶은 유혹이 있었지만, 그러지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cyrus님의 "나는 음식을 먹는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마침 김사인 시인의 `먹는다는 것`을 읽었던 참입니다.
몇 줄 안되니 한번 옮겨보겠습니다.



먹는다는 것

내 안을 허락한다는 것.
너에게 내 몸을 열고 싶다는 것 내 혀와 이빨과 목구멍과 대장과 항문을 열어준다는 것 그렇게 음탕한 생각.
또한 지금의 내가 아니고 싶다는 것 지금의 죽음이고 싶은 것 다른 나이고 싶다는 것 사랑을 느낀다는 것.
너를 내 안에 넣고 싶다는 것 네 안으로 들어가고 싶다는 것 너이고 싶다는 생각 네가 아닌 나를 더는 견디지 않겠다는 의욕.
너를 먹네
포충식물처럼 끈끈하게, 세포 하나하나까지 활짝 열어 너를 맞네 세포 하나하나까지 너에게 내주네.
그러므로 허락이 있어야 하는 일 모든 구애가 그렇듯이
밥이건 고기건 사람이건
먹는다는 것은 먹힌다는 것 죽음처럼 아찔한 것 길고 황홀한 키스 먹는다는 것은 갖고 싶다는 것 새 자동차를 장화를 장미를 새끼 고양이를 향해 눈이 빛나는 것 같이 있고 싶다는 것 한 몸이 되고 싶다는 것.
자본주의보다 훨씬 오랜 식욕의 역사
몸 너머 영혼 속에까지 너를 들이고 싶은 것 네가 되겠다는 것 기어이
먹는다는 것은.


- <어린 당나귀 곁에서>, 52-5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