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융, 마음이 단단한 사람 - 융처럼 살아보기 : 아홉 가지 인생 문제를 분석하다 ㅣ 매일 읽는 철학 4
류쑤핑 지음, 원녕경 옮김 / 오렌지연필 / 202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심리학이나 사회복지학에서 인간행동에 관한 주요이론으로 정신역동이론 중 융의 분석심리이론을 배우게 되는데 융의 분석심리이론의 특징을 들여다보면 인간행동은 의식과 무의식 두 가지 힘으로 구성되고 무의식은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구분된다고 한다.
또한 아동기보다는 성인기 발달에 비중을 두어 융은 삶에 자신감을 읽은 중년 환자들의 정신진환을 치료하는데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정신분석학을 대표하는 학자로서는 프로이트, 에릭슨, 아들러, 융이 있다.
융의 성격발달은 성격은 자아, 개인 무의식, 집단 무의식의 세 가지로 분리되어 있으나 서로 교류하는 체계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성격의 발달이 개성화 과정을 통한 자기실현의 과정이라고 하였다.
융은 성격발달의 개성과 과정이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성격발달을 아동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의 4단계로 나누었으며 앞에 말했던 것처럼 특히 중년기에 초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주요개념으로 리비도, 자아,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개인 무의식, 집단 무의식, 콤플렉스 등 주요개념을 통해 분석심리이론을 개념화 하였다.
콤플렉스는 누구나 다 알고 우리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말하고 이 말을 자주 쓰는데 이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이 바로 칼 융이다.
이 책은 융의 어린 시절부터 말년까지 자신의 어린시절 에피소드, 연구실에서의 연구과정, 환자와의 진료과정 등 자신의 일생을 자신의 분석심리학이론을 바탕으로 지루하지 않게 이야기화하여 우리들에게 소개해주고 있다.
솔직히 정신분석학 이론자체가 생소한 사람들에게는 이 책이 어렵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딱딱하게 이론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스토리화 되어 있어 자신이 전문적이지 않더라도 책을 쉽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칼 융의 자선전이라고 봐도 괜찮을 만큼 내용적 구성이 탄탄한 것 같다.
또한 딱딱하지 않고 쉽게 풀어서 서술하고 있어 책을 읽는데 부담되지 않고 쉽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먼저 나 자신을 바라보는 연습을 하고자 한다.
자기 자신을 바라보며 문제를 직시하고 수용할 때 변화가 시작되는데 바로 변화의 과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발전적인 모습으로 나아갈 수 가 있을 것이다.
아마도 자기 자신을 있는 모습 그대로 바라보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내가 변화 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