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제주도의 곤충이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된 것은 타툼(Tatum,1847)에 의하여 신종으로 딱정벌레과의 제주홍단딱정벌레가 처음이며 이는 우리나라 곤충이 학계에 발표된 최초의 일이기도 하다.
제주도는 오랫동안 한반도와 격리되어 있었던 까닭에 모주둥이노린재, 제주양코스키딱정벌레, 제주풍뎅이, 제주은주둥이벌, 참뒤영벌과 같은 특산종을 볼 수 있다. 등줄메뚜기는 이곳 외에 내륙지방에서는 볼 수 없고, 이와 반대로 내륙지방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동물들이 이 지역에는 없는 것도 있다.
제주도의 곤충분포를 구북구계와 동양구계로 구분하여 볼 때 2.4:1로 한대성 곤충이 우위에 있다. 이로 미루어 곤충 분포상은 한반도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특징있는 곤충들은 아열대성인 것이 23종이고 한대성인 것은 47종이며, 제주도 특산종은 제주박각시, 제주호랑하늘소, 제주풍뎅이 등 19종에 달한다.
현재 제주도에 분포하는 곤충은 25목 301과 3,315종으로 알려져 있고, 이 중에 딱정벌레목이 930종으로 가장 우점적인 곤충이며, 나비류, 파리류, 벌레류 등도 비교적 많이 서식하고 있다.
제주도의 거미류는 현재 250여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동물학상 남방계보다 북방계 거미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지류는 22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제주도 특산 거미·다지류는 제주외줄거미, 탐라땅지네, 제주치지네, 관음의마디지네 등이 있다.
제주도는 오래전부터 우마의 집단방목이 실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지금도 방목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마에 기행하는 흡혈성 진드기는 방목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는 11월 서귀포 낮 기온이 61년 기상관측이래 최고온돈인 28도를 가리겼다.

어제는 더워서 옷장에 정리해둔 반팔티를 다시 꺼내입었는데.

오늘은 또 갑자기 온도가 내려가서 다시 늦가을 날씨로 변해버렸다.

역시 계절에 맞는 날씨가 가장 좋은것 같다 . 춥더라도 겨울은 추워야 재맛이고, 덥더라도 여름은 더워야 되질않겠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천읍 조천리와 남원읍 남원리를 연결하는 1118번 도로를 남조로라 부른다.
제주섬 동부지역 중산간을 가로지르는 남조로변 들판에는, 꽃을 피우려는 억새들의 노래소리가 한창이다.
억새들의 노래를 귓전으로 흘리며 남조로의 끝인 남원에 도착하여 방향을 틀지 말고 그대로 내려가면 바다와 만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양봉
비양도
[695-832]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협재리 산100-1번지

  
 

한림읍 협재리 앞바다의 비양도에 있는 기생화산으로 비양도는 예전에 대나무가 많아서 대섬(竹島)이라고도 불리었습니다. 한림항에서 북서쪽으로 5km, 협재리로부터 북쪽으로 3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섬은 동서간의 길이가 1,020m, 남북간의 길이가 1,130m입니다 섬 중앙에 대형 분화구와 그 옆에 소형 분화구가 있으며, 대형 분화구 사면에 낮고 작은 2개의 분화구가 딸려 있습니다. 큰 분화구(큰암메)는 깊이가 79.8m인 깔데기형 분화구이며, 작은 분화구(족은암메)는 깊이가 26.5m인 복합형 화산체를 이루고 있습니다. 오름 주변 해안에는 대형의 굴뚝형 분기공인 `애기업은 돌`(북부해안)과 Sea stack(암석해안에서 차별침식에 의해 만들어진 독립된 암석기둥: 예 외돌괴) 및 초대형 화산탄 모양의 베개용암(pillow lobe: 수중에서 용암이 물과의 접촉으로 베개모양으로 굳어진 형태) 등의 수중용암들을 볼 수 있습니다.(제주 본섬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기암괴석이다.) 오름 동남쪽 기슭에는 속칭 `펄낭`이라 불리우는 염습지가 있습니다. 주요식생은 양호한 살림식생은 없으나 경작지의 잡초식물, 분화구 내측의 일부 삼림식물, 초지식물, 해안 건조지식물 및 해안 습지식물 등 매우 다양한 입지에 의하여 관속식물 251종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저지대는 대부분 경작지이고, 분화구 상부는 띠가 우점하는 2차초지와 동측사면은 해송이 주종을 이루며 부분적으로 숲을 이루고, 북측 작은 분화구(족은암메) 내측에 약 100평방미터의 면적에 비양나무 군락, 섬 동측의 저지대의 염습지 주변에 환경부보호 야생식물로 지정된 황근이 있고, 해녀콩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염습지에는 갯질경이, 갯하늘지기, 갯잔디가 군락을 이루는 등 염습지 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보통 비양봉으로 통하나 주민들 사이에서 `암메`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암메`란 분화구를 가진 산의 통칭이며 분화구 자체를 가리키는 `암메창`의 약칭이기도 합니다. 이 오름에는 두 개의 분화구가 있어 `큰암메` `족은암메`로 구별해 부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엄밀히 따지면 고유명사는 아닌 셈입니다. 한데, `가재`라는 별로 알려지지 않은 이름이 있으며 <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 1984)에도 `가재`라는 이름으로 나옵니다. 어떤 연유에서의 호칭인지는 알 수 없으나 주민들 사이에는 아는 이가 드물며 서쪽 사면 우묵하게 골진 곳을 가잿골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서산(瑞山)은 한자의 뜻 그대로 `상서로운 산`의 뜻으로 보입니다. 민간에서는 `가재` 또는 `암메` 등으로 알려지고 있기도 합니다. `가재`라는 말의 뜻은 확실하지 않으나,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오름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고, 또 오름 이름이 아니라 마을 북서쪽 바닷가에 있는 두 개의 바위를 일컫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곧 큰 바위를 `큰가재`, 작은 바위를 `족은가재`라고 합니다. `암메`는 `암메창`이라고도 합니다. 오름 위에 두 개의 분화구, 곧 `굼부리`가 있는데, 큰 굼부리를 `큰암메` 또는 `큰암메창`이라고 합니다. 민간에서는 분화구를 `오름창아리`라 하고, 큰 분화구를 `큰암창아` 또는 `큰암`, 작은 분화구를 `족은창아` 또는 `족은암`이라고도 부릅니다. `암메`는 `암+메`의 구조로, `암창아`는 `암+창아`의 구조로, 분화구를 가진 오름이라는데서 연유한 것입니다. 비양도의 생성시기는 동국여지승람 제3권에 의하면 서기1002년 6월에 산이 바다 한가운데에서 솟아 나왔는데, 산꼭대기에서 4개의 구멍이 뚫리고 붉은 물이 닷새만에 그쳐 그 물이 엉키어 모두 기왓돌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비양봉에서 어떤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본인 지질학자인 中村(나까무라, 1925)는 제주도 화산활동과 관련하여 서기1002년의 화산분출은 비양도로 추정하였으며, 서기 1007년의 분출은 안덕면 군산으로 추정하는 등 우리나라에서 유사시대의 화산활동의 기록을 갖고 있는 섬입니다. 표고 : 114.1m 비고 : 104m 둘레 : 2,023m 면적 : 260,428㎡ 저경 : 651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