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주전자(한글표기)로 보통은 다관이라한다
잎차를 우려내는 그릇
불위에 직접 올려 물을 끓이는 것이 아니며,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위에달린 윗손잡이형, 위에 달린 뒷손잡이형, 옆손잡이형
으로 구분된다.크게에따라 1,3,5인용으로도 구분한다
찻잔(다완)
차를 마시는 잔으로 잔, 구, 종, 완등의 형태가 있다.
찻잔의 모양은 입구쪽이 바닥보다 약간 넓은 것이 마시기에
편하며 흰색 찻잔은 차의 색깔을 감상할 수 있어 좋다.
구는 원통형의 통잔,완은 사발형의 가루차용(아래사진참조)
종은 작은 반구형이 잎차용을 이루는 말로 추정
차잎을 곱게 분말로 만든 말차를 내는 그릇.
다완, 차완, 이라고 한다
*찻잔도 다완이라하고 이것도 다완이라 하나 잎차와 말차의 형태상의
차이로 그릇의 모양이 다른것에 유념하여 분류한듯..
또한 그 구분이 일반적으로 혼용되거나 모호하다 ㅡㅡ;
보통 "숙우"라한다
차의 제맛을 내기 위해 끓인 찻물을 식히는데 사용하는 그릇-숙우.
재탕이나 삼탕의 차를 낼때나 손님이 많을 때 차를 내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즉 물을 식히거나 차를 낼때 두 용도로 쓴다 물식힘사발 또는 귓대사발이라고도 한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05.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05.gif)
퇴수기라고 한다 차를 낼 때 예열을 했던 물이나 남은 차를 버리는 그릇으로
물 버림사발이라고도 하고 개수그릇이라고도 한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06.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06.gif)
차를 낼 때 찻통의 차를 우릴 만큼만 넣어두는 작은 항아리.
뚜껑 모양에 따라 차호와 차합으로 구분된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07.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07.gif)
다관 뚜껑이나 차호의 뚜껑을 받쳐 놓는 다구.
없을때는 남는 찻잔을 뒤집어 뚜껑을 그위에 올려놓으면 된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08.gif)
보통 "차칙"라 한다
차를 다관에 넣을 때 사용하는 찻숟가락 용도의 다구.
대나무의 절반을 쪼개어 만들거나 대나무 뿌리로 만든것과 먹감나무로 만든것이 있다.
엄격이 구분하면 차칙,차시를 구분하나(모양도 다르다)
요즘은 명칭을 구분없이 차숫가락이나 티스푼으로 혼용하는곳도 있는듯하다 ㅡㅡ;
다만 모양에서 보듯 차칙은 잎차에 적합해 보이고 쓰며
차시는 티스픈과 비슷한게 가루차에 적합해 보이고 쓴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09.gif)
잔대,차탁,차반이라고도 한다
찻잔받침으로 도자기나 대나무, 등나무, 향나무 등으로 만든다.
나무로 만든 것이 찻잔과 부딪칠 때 충격과 소리를 방지하여
더 좋다. 모양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배모양 등이 있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10.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10.gif)
찻가루와 끓인 물을 저어서 거품을 내어 차와 물이 잘 섞이도록
사용하는 솔로서. 대나무의 쪼개짐에 따라 80본, 100본, 120본이 있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11.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11.gif)
차선을 꽂아 놓는 다구로 사용후 차선의 모양을 잡아주며
물기가 손잡이쪽으로 츠르게 하여 곰팡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차선 모양에 잘 맞는 차선 꽂이를 선택해야 하천의 형태를
변함 없이 잘 보관할 수 있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12.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12.gif)
찻통의 차를 떠서 다관에 옮기는 다구.
대나무와 일반 나무를 수저처럼 깎아서 사용하거나
주칠을 한 수저가 사용되기도 한다.찻숟가락이라고도 한다.
말차를 낼 때의 차시는 주칠을 한 차시를 쓰는데 대나무 겉애가
안쪽으로 맡아져 가루가 차시에 묻어나지 않도록 되어있다.
한글 표기는 역시 차숟가락이나 앞서 말했듯
차의 종류와 그에맞는 차숟가락의 모양에 따라 분류한다
주의할점은 차긁게와 그 모양이 비슷해 초보자는 실수할수 있다
자세히보면 끝이 차시는 둥글고 차긁게는 등긁게처럼 홈이
쉽게 긁어낼수 있게 여러게 있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13.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13.gif)
찻잔을 담아 나르기 위한 반으로 굽이 없는 쟁반형이 있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14.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14.gif)
다관에 우려낸 차찌꺼기를 꺼내기 편리하도록 만든다구.
앞서 말했듯 차시와 헛갈미면 안되며 비슷한 용도로 차집게가 있는데
대나무로 만든 핏셋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것이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15.gif)
찻상포라고도 하며 다포라고도 한다
찻상 위에 까는 것으로 차를 낼 때 물이 흘러도 차포에 흡수
되어 정갈해 보인다.
면으로 된 것은 차포라고 하며 대나무나 등나무 껍질로 만든
것은 차석이라고 한다.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16.gif)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img16.gif)
다구들을 올려 놓고 행다를 하는 굽이 있는 다기용 상.
목제류가 많고, 모양은 우너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팔각형, 서랍형 등이 있다.
*다담상 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차와 다식을 올려 손님께 접대하는 상으로
찻상과는 성격이 다르다. 찻상앞에 다담상을 놓고 접대할때 사용하나
일반적으론 명칭을 혼용하여 찻상이라 하는걸로
추정된다 ㅡㅡ;
![](http://www.sulloc.co.kr/sulloc/tee_about/teathings/images/sub04_4_dagusubtitle17.gif)
[ 탕관 ]
물을 끓이는 그릇으로 열의 전도가 잘되는 솥이나 주전자가 적당하다.
지금은 의식다례가 아니면 별로 사용치 않고 주전자나 전기포트를
대용해도 무난하다
[ 풍로 ]
숯등을 사용하여 불을 지피는 작은화로를 말하며 지금은 의식다레가
아니면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 찻통 ]
차를 덜어서 쓰는 기구
[ 차건 ]
찻그릇의 물기를 닦는 수건. 얇은 무명이 좋고 흰색이 무난하다.
물기가 잘 흡수되는 마 또는 면이 좋다
[ 찻상보 ]
찻상을 덮는 보자기. 청홍보, 수보, 쪽보, 삼베, 모시, 무명등이 있다.
[ 차시,차칙받침 ]
차시나 차칙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만들것.
p/s-중국의 다구와는 명칭과 모양이 조금씩 다르며 다구명은 순우리말을 우선으로 쓰고
뒤에 일반적 여러 명칭을 적었다
이중엔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인 일종의 사치품?(선택옵션?)이 많이 포함되 있으며
이런것이 꼭 필요한 물건은 아니며 없다하여도 다도를 하는데 지장이 없는 것도
있다는 것을 미리 말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