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책읽는나무 > 전업주부인 내게 큰 위로가 되기도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불안하다.
-
-
맞벌이의 함정 - 중산층 가정의 위기와 그 대책
엘리자베스 워런, 아멜리아 워런 티아기 지음, 주익종 옮김 / 필맥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결혼 전에 직장생활을 몇 년 했었다.
그리고 직장을 다니면서 결혼을 했었고...그후에도 계속 직장을 다녔었다.
왜냐하면 나는 맞벌이를 원했기 때문이었다.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데 혼자 벌어 집을 사기가 아니 전세금이라도 마련하기가 힘겹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다 임신을 했다.
아이를 낳고도 계속 직장을 다니리라 굳은 결심을 했었다.
헌데...잦은 외근에 몸이 힘들어 견디기가 힘이 들다 보니 이것 저것 많은 생각들이 머리속을 스쳐 지나갔다..그땐 내가 살던 그곳 가까이 양친 부모님들이 계시지 않아 아이를 낳으면 당장 내아이를 돌봐 줄 곳이 없었다..그래서 아이를 어린이집 같은 탁아소 같은 곳에 맡겨야 할 형편이었다.
그곳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았다.
월급이 그리 많은 편이 아니었던지라 아이를 남의 손에 맡기는데 내 월급이 다 들어가는 셈이었다.
맞벌이를 하다 보니 피곤하단 탓에 외식도 자주 했었다.
그래서 나는 돈을 벌어도 온전히 불가피하게 나가야 할 돈이라면 차라리 내아이 내손으로 키우는게 낫다라는 결론을 내려 맞벌이를 포기하였다.
물론 아이옆엔 엄마가 있어 줘야 한다는 내신념이 강하게 작용하기도 했었다.
맞벌이를 그만두고 연고지인 지방으로 내려와 시댁과 합쳐 2년을 넘게 살기도 했었다.
시부모님이 계시니 다시 직장을 나가볼까? 싶어 한 달 정도 직장을 다시 나가보기도 했었다.
하지만 그냥 아이곁에 머물기로 결정을 내렸다.
그리고 그 후 줄곧 우리집은 신랑 혼자서 버는 외벌이로 3년을 맞은 셈이다.
이책을 읽으면서 공감 가는 부분이 많았었다.
맞벌이를 그리 오래 하진 않았지만...맞벌이와 외벌이의 상황을 놓고 봤을때 생활형편은 별반 크게 달라진 것 없이 비슷하단 것이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바로 우리가 집값이 비싼 서울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집값이 조금 더 싼 중소도시로 이사를 온 것이라고 보아진다.
또한 내가 전업주부로 돌아선 이후 아이를 굳이 어린이집에 보낼만한 이유가 없어 한번도 보내지 않은 탓도 많은 작용을 했을게다.
이렇게 두 가지의 상황여건이 달라지니 가계생활에 많은 작용을 한 셈이다.
이책은 아주 정확하게 맞벌이의 함정을 이러한 요건들을 열거하며 꼬집고 있다.
사실 전업주부로 생활하면서 맞벌이 하는 가정을 많이 부러워하면서 살고 있는게 솔직한 심정이다.
혼자 버는 것 보다는 둘이 버는 것이 생활하는 것에 있어 일단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잘만 알뜰하게 생활한다면 한사람의 몫은 꼬박 저금이 될수 있어 돈을 빨리 모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책을 읽으면 전업주부로서 내가 가지고 있는 불안한 마음은 다소 위안이 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맞벌이를 포기한 내 결정에 어느정도 확신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앞으로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불안하기는 매한가지다.
이책에선 부모들이 자녀를 더 좋은 학군으로 보내고 싶어하는 강한 욕구로 인해 가격입찰을 높이고 있다고 꼬집는다..다 맞는 말이다.
좋은 교육 환경에 내아이를 키우고 싶어하는 부모마음은 다 마찬가지일게다.
그러다보니 별로 주목받지 않았던 땅도 갑자기 집값이 상승하게 되고..훗날엔 투기지역으로 상황이 역전된 곳이 허다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어느부모가 내아이를 환경 안좋은 곳에 학교를 보내고 싶어 하겠는가?
아무리 집값이 덜 비싼 지역으로 이사를 가서 산다고 해도 학군이 높은 지역의 집값은 여전히 올라가면 올라갔지 내려오진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신의 평생을 내집을 가져야 하는 것에 목을 매달고 살아간다고 한다.
중산층 사람들이 평범하게 내가 벌어서 모은 돈으로 집을 사려면 평생을 벌어도 집을 사지 못할 것이다.
집을 샀다고 해도 그때는 이미 자신의 삶의 끝자락에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요즘 유행하는 모기지 대출을 받아 집을 미리 사는 가정이 허다하다.
모두들 내돈 모아 집을 사려면 평생가봐야 못살테니...대출을 받아 대출금과 은행이자를 저축한다는 생각으로 우선 집을 사서 살아가는 것이 몇 년은 더 편안하고 합리적으로 살아가는 것이라고 한다.
나도 전적으로 이말에 동의했었다.
그래서 몇 년전에 대출을 받아 집을 샀었다.
헌데 대출 은행 이자를 내는 것이 그리 만만치 않았으며 대출금은 하나 갚지 못한 채 이자만 나가는 것이 어찌 그리 속이 쓰리고 배가 아프던지...ㅡ.ㅡ;;
그러다 신랑 직장 문제로 이사를 하면서 내친김에 집을 팔고 대출금을 갚아 버렸다.
지금도 나는 약간의 대출금이 있다..거기다 몇 년 전에 신랑 앞으로 만든 몇 백짜리 마이너스 통장도 가지고 있다..얼마안되는 마이너스 통장인데도 만료일이 다가오면 자꾸 연장을 하게 된다.
왜 자꾸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똑같은 삶이 지속되는지 알 수 없다.
물론 나의 부주의한 소비성향이 한 몫 크게 좌우하는 게 큰 문제점일게다.
어떤 순간엔 과소비도 눈 깜짝 안하고 저질러 버리기도 한다.
몇 백 원, 몇 천 원에는 손을 벌벌 떨지만...몇 만 원, 몇 십 만원은 이정도쯤이야~~~ 라는 간 큰 짓을 제법 저질렀다..ㅠ.ㅠ
이책을 읽고 정말 뒤통수를 세게 얻어 맞은 기분이다.
나는 이런 자극이 많이 필요한 사람이다.
물론 이책은 돈을 더 많이 벌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돈을 더 쓰지 않도록 주의를 각성 시켜주는 좋은 지침서는 된다.
제일 마지막 7장에 나오는 <재정 소방훈련>이란 단원만 머리속에 꼭 기억한다면 현재 맞벌이를 하고 있든,외벌이를 하고 있든 일단 더 깊은 수렁속으로 빠지는 실수는 면하지 않을까 싶다.
이제 나도 가게부를 다시 들여다보고 충고를 가슴깊이 새겨야겠다.
그리고 나의 게으름으로 인해 그동안 잦은 외식을 줄이고(책에선 모기지 대출등의 고정지출을 줄이고 외식은 하라고 씌어 있다. 왜냐하면 실직등과 같은 재난이 닥쳤을땐 외식이나 의류비 같은 지출은 얼마든지 줄일 수 있지만 대출금,보험등의 고정지출은 줄여지지 않는 항목이라고 한다...ㅡ.ㅡ;;) 일단 마이너스 통장과 대출금 부터 갚아나가야겠단 다짐을 해본다.
이목표가 부디 흐지부지 되지 않길 바라며.......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