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증선지, <십팔사략> 범우사 1977

상권 p.234

진평이 사례하면서 말했다.

"폐하께서는 황송하게도 저와 같은 못난 자를 재상의 중한 직책에 임명하셨습니다. 재상된 자는 위로는 천자를 돕고, 천지.음양을 조리하고 춘하추동에 재해가 없게 하고, 아래로는 만물이 다 알맞게 생육하며, 밖으로는 오랑캐를 진무하고, 안으로는 백성을 심복시키며 경대부로 하여금 그 직분을 다히게 하는 일을 맡고 있습니다."

(전한시대)

상권 p.285-286

양운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회답을 보냈다.

"나는 관직에 있는 동안 잘못 투성이었고 행동에도 결함이 많았소. 그러므로, 한 농민으로서 나머지 생애를 보내려 하오. 농가는 하루 종일 농사에 힘쓰고, 일년 중 두번 쉬오. 그 날은 양을 잡아 삶고 굽고 하여, 두주로 스스로 노고를 푸오. 술이 거나해지면, 가슴 속의 불평이 폭발해서, 하늘을 우러러보고 질장구를 두드리며 탄식하고, 자작한 시를 노래하오. 그 노래는 이런 것이오.

남산 기슭에 밭을 가나 밭에는 잡초만 우거지고 곡식은 안되네. 백무쯤 갈아 콩을 심으니, 콩은 여물지 않고 쪽정이만 달렸구나. 아아, 허무한 인생이여, 일해도 보람 없으니 잠이나 잘꺼나. 부귀를 바라야 어느 세상에나 이를 건가. 황음은 끝이 없어 백년 하청을 기다릴까! 아! 내 은둔생활이 좋은지 그른지는 알 숭 없으나, 이 밖의 일은 못하겠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최태만, <변화와 생존의 경계에 선 중국 지식인>, 책세상 2004

p.91

강가에서 물고기를 그리하거나 물고기가 낚시에 걸리지 않는다고 욕지거리를 하느니보다 물러나 그물을 손질하는 것이 백 번 나은 일이다.

p.92-93

리샤오빙李小兵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성적 방식으로 사회에 영향을 미치던 전통적 지식인들을 성공한 탤런트, 가수, 영화 배우, 스포츠 스타나 정치가들이 대체했다. 근대 이후 지식인들이 기대어온 존재의 조건이자 토대인 이성, 진리, 정의, 가치, 존엄성 따위의 덕목에 사람들은 더 이상 흥미를 느끼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지식인들의 사회적 지위가 이들에 의해 대체될 수밖에 없는 형편이 되고 말았다. 지식인 존재이 본거지인 대학 캠퍼스 역시 이젠 문화의 요람도 아니고, 사상 활동의 정원도 아니었다. 대학 역시 소비 사회나 시장 사회의 일반 원칙인 실용성, 직접성, 단기성이라는 제약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대학은 보습 학원이나 사회 생산에 종사할 전문 기능인(상품)을 찍어내는 공장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야시타 시로, <책의 도시 리옹>, 한길사 2004

p.103

이야기나 아름다운 책을 읽으면

우아한 심심풀이가 된다

그러나 독서에 빠지지 말라

빠져서 불행을 초래하는 자 적지 않으니라

책에 탐닉함은 바람직하지 않으니라

장사를 생업으로 하는 자는

수시로 반성함이 중요한즉

타산을 좌우명으로 삼을지나라

(<리옹 상인 프랑스아 가랭의 애가와 가정론>, 1185~1192행)

 

p.288

독자여, 그대가 오식을 발견하더라도 나를 비난하는 것은 번지수가 틀린 일이외다. 나는 그 일을 남의 성의에 맡겼으니까. 게다가 교정이란 대단히 힘든 작업이라, 특히 새 작품의 경우 백 개의 눈을 가진 거인 아르고스의 안력으로도 오식을 다 찾아낼 수는 없는 일이라오.

 

p.385

1537년은 납본제도가 생긴 해로서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프랑수아 1세는 그 전 해 연말에 몽펠리에에서 발표한 서간을 칙령으로서 새로 공포했다.

"모든 인쇄업자와 서적업자는 왕국 내에서 인쇄된 어떠한 책이라도 한 부를 서적 감독관에게 납본한 후가 아니면 판매할 수 없다. 또 그것이 외국에서 들여온 것이라면, 그 뜻을 통고한 후가 아니면 판매하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