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외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론 그것을 구성하는 개별 실체(노드)들과 그 성질을 잘 알아야 한다. 하지만 이 개별적 실체들은 상호 연결(링크) 되어 있고, 이 연결들은 다시 하나의 연쇄 구조(네트워크)를 이루어 자체적으로 진화해 가며, 개별 실체들의 운명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내가 살고 있는 지구상에 대략 60억의 인구가 존재한다. 즉 60억개의 노드들이 존재한다. 지구상의 누군가와 나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6단계만 거치면 된다. 그 단계는 고사하고 그 연결 고리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경이롭다. 정재승의 '과학콘서트'에서 케빈 베이컨 게임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다. 내가 니콜 키드만이나 아프리카의 부시맨 추장을 알기 위해서는 6단계 정도만 거치면 아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믿기 어렵지만 그것은 여러가지 실험으로 증명된 사실이다. 반지름 6,400km의 거대한 지구위에 사는 우리는 그렇게 좁은 세상(small world)에 살고 있다.

네트위크란 용어에 이제는 우리 모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용어에 대한 거부감은 없다. 다만 21세기를 지배하게 될 것이라는 네트워크를 물리학자인 바라바시처럼 학문적으로 접근할 필요는 없다. 당연한 얘기지만. 현재나 미래 사회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통찰은 누구에게나 필요한 것이 아닌가. 이 책은 모두 열 다섯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무작위의 세계, 여섯 단계의 분리, 좁은 세상, 허브와 커넥터, 80/20 법칙, 부익부 빈익빈, 아인슈타인의 유산, 아킬레스건, 바이러스와 유행, 인터넷의 등장, 웹의 분화 현상, 생명의 지도, 네트워크 경제, 거미 없는 거미줄. 흔히 알고 있거나 익숙하게 들어왔던 문제들을 구체적이고 명쾌한 논리로 설명하고 있는 바라바시의 지적 능력에 감탄할 수밖에 없다. 또 그것들 전부를 네트워크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해석하고 분석할 수는 없겠지만 미시적 관점의 갇힌 시야가 아니라 넓고 큰 세상을 볼 수 있는 눈을 갖게 해 준다. 세상에 대한 밑그림의 구조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정말 세상은 넓고도 좁다. 그것은 주관적인 느낌이나 개인적인 활동영역에 따라 물론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점점 더 촘촘한 그물망처럼 우리를 조여오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것이 무엇이든 개인의 행복과 자유를 위해 기여할 수만 있다면 누가 마다하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