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사춘기에 접어들고, 고등학교 1학년에 입학하자마자 문예반 동아리에 가입하면서 시인을 꿈꾸다. 대학 신입생, 시집끼고 방황하고 껄렁대던 시절 학교앞 언덕위에 카페 ‘그리스인 조르바’를 처음 만나다. 도서관에 가 반쯤 읽다 팽개치다. 고등학교때 읽은 헤르만 헤세의 ‘知와 사랑Nasziss und Goldmund'가 생각나다.

스무살 무렵 그렇게 카페 이름으로 처음 알게 된 이 책은 지금은 기억도 가물가물한 어느 습작에도 등장했었다. 2005년 다시 읽는 ‘그리스인 조르바’는 재밌다. 그리스인들에게 크레타와 터키의 대립항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육체와 영혼, 물질과 정신의 상태 저 너머에서 일어나는 변화 ‘메토이소노(거룩하게 되기)’다. 어린시절 터키 지배하에 기독교인 박해 사건과 독립 전쟁을 겪으며 ‘자유와 해방’을 얻기위해 3단계 투쟁을 계획한다. 호메로스에게 영향을 받은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베르그송과 니체를 거쳐 실존 인물인 ‘조르바’를 만나게 된다.

소설의 서사구조는 매우 단순하다.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주인공인 ‘조르바’와 겪는 크레타에서 한 시절을 이야기 한다. 항구에서 만나 고향 크레타로 간 나는 갈탄광 사업을 ‘조르바’에게 맡겨 놓고 독서와 글쓰기, 특히 부처에 대한 글쓰기로 생을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수십년 간 독서와 사색으로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조르바’는 단 한순간에 수많은 경험과 몇마디 직설 화법과 행동으로 명쾌한 결론을 내린다. 과부인 부불리나(오르탕스 부인)를 만나 거침없는 사랑과 열정에 빠지는 노인 ‘조르바’와 대조적으로 나는 검은옷을 입은 젊고 아름다운 과부를 지켜내지(?) 못하고 동네 청년이 짝사랑하다 자살하자 동네사람들에게 칼려 찔려 죽는 상황을 맞게 된다. 결국 갈탄광 사업은 실패로 돌아가고 부불리나는 병들어 죽고 ‘조르바’와 헤어져 마지막으로 시베리아에서 온 편지를 받는다. ‘조르바’의 죽음을 전하는 편지를.

열린책들에서 2000년판으로 나온 이 책은 전통적인 사철방식으로 만들었다고 자랑할만하다. 양장본으로 만들어진 책의 질감과 느낌, 부피와 크기가 아주 만족스럽다.

이 작품에서 나는 전형적인 ‘나약한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에 비해 ‘조르바’는 수많은 전쟁 경험과 노동을 통한 땀의 소중함을 알고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순간에도 초월적인 모습을 보인다. 수도승과 수도원장을 골탕먹이는 그의 행동들은 종교의 허위의식과 감각적이고 현실적 인간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유사한 비유는 아니겠지만 헤르만 헤세의 ‘나르치스’가 ‘골드문트’에게 준 영향만큼 실존 인물 ‘조르바’는 ‘니코스 카잔차키스’에게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이므로……

카잔차키스가 생전에 마련해 놓았다는 그의 비문이다. ‘조르바’ 없이는 써지지 않았을 비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의 많은 작품들이 신성모독으로 작가를 파문하려 했고 교황청으로부터 금서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그는 기존질서의 틀을 거부하며 종교와 도덕적 사회규범에서 벗어나 인간의 본질적 속성과 자유 의지를 보여준 작가로서 높이 평가 받을 만하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나에게도 실천에 옮기기 힘든 삶의 지향이 바로 본질적 ‘자유’가 아닌가.


20050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