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미술 라루스 서양미술사 1
자닉 뒤랑 지음, 조성애 옮김 / 생각의나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말타면 종부리고 싶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경계하는 말이다. 그러나 어찌보면 그 욕망이 삶을 지탱하는 힘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을 읽다가 허황된 욕망에 빠진다.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는 스폰서가 내게 있다면, 아니 내게 무지하게 돈이 많다면 3년 정도만 세계 여행을 떠나고 싶다. 특히 각국의 미술관과 고대 건축물들만 돌아보는 코스로 3년. 책밖으로 눈을 돌리다 혼자 웃었다. 3년은 아니더라도 머지않아 유럽의 건축물들과 미술관을 순례하는 여행을 떠날 것이라고 계획을 잡는다. 이 책의 도록은 그만큼 선명하고 사실감이 넘친다.


  이 책은 전 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이 중세미술이다. 5세기경 고대 문명 사회가 붕괴되는 시기부터  15세기 르네상스로 막을 내린다. 고딕과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대표되는 중세시기는 미술보다 건축과 조각 양식이 훨씬 흥미롭다. 작가 자닉 뒤랑은 10년 넘게 루브로 박물관에서 중세 예술사를 주제로 강의했다. 텍스트 자체는 분량이 많지 않지만 구체적인 도판과 해설이 충실하기 때문에 중세의 미술사를 이해하는 데 적절하다. 특히 전공자가 아닌 나처럼 예술에 문외한에게 더더욱 적당하다. 단숨에 1권을 읽어버리고 2권을 주문하고 나서 다시 책을 뒤적이며 여운을 즐긴다.


  아르놀트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를 보면 수도원에서의 미술품 생산화 조직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고 건축 장인조합과 길드의 역할을 참고할 수 있다. 중세의 건축물과 조각품 하나하나에 묻혀진 장인들의 손길과 그들의 예술혼을 어떤 고귀한 정신에 비유할 수 있을까. 예술품보다 먼저 그들의 삶에 숙연해진다.


  이 책은 단순히 시대별로 예술가들과 예술품들을 나열하는 방식이 아니다. 문화사적 시각에서 사회경제적 흐름속에 놓이는 미술의 위치와 탄생과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깊이 있는 책읽기가 가능하다.


  샤르트르 대성상, 랭스 대성당, 아미앵 대성당은 프랑스 고딕 양식의 대표적 건축물로 고딕 건축의 파르테논 신전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직접 실물로 보고 싶은 욕망이 끓어오른다. 예술은 과거와의 대화다. 인류가 걸어온 시간을 더듬어 보는 떨림과 두근거림이 있고 인간의 내부에 자리잡고 있는 미에 대한 본질적 그리움을 달래준다. 멀리서 혹은 가까이서, 그 안에 들어가 하루쯤 보내며 루앙의 대성당을 빛의 흐름과 시간에 따라 다르게 표현한 모네처럼 하염없이 바라보는 것도 즐겁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으나 제대로 된 여행을 위해 책으로 만족하고 예술에 대한 안목이나마 높힐 수밖에 없다.


  ‘서양미술사’는 곰브리치가 워낙 막강하다. 하지만 프랑스 라루스의 서양미술사 시리즈는 또다른 방식으로 눈과 손을 즐겁게 한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분량과 한정된 도판 때문에 갈증을 배가 시킨고 객관적이고 잡다한 여러 지식을 나열하는 방식이 옳다고 볼 순 없지만 프랑스 중심의 서술이 간간이 거슬리기도한다.


  좋은 그림과의 만남을 준비하며 이렇게 기다리는 것도 내게는 의미 있는 일이다. 서양 중세를 산책한 오늘 하루는 여유로운 아쉬움을 남긴다.

 


200502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