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르네상스 ㅣ 라루스 서양미술사 7
제라르 르그랑 지음, 정숙현 옮김 / 생각의나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르네상스는 예술의 한 흐름이나 일시적인 사상적 흐름으로 파악되기 보다는 한 시대를 특징짓는 역사적 시대 구분으로 이해해도 좋을 듯싶다. 미술 분야의 르네상스는 문학에서처럼 고전에 대한 향수와 부활의 의미로, 혹은 중세에 대한 극복의 의미로 규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혁신이나 ‘복귀’(라블레의 표현), 부흥이라는 용어까지도 당시에는 보편적이었을만큼 ‘존재하고자 하는 욕망’이 유일하게 존재했던 시기였다고 샤스텔은 이 시기를 평가하고 있다.
페트라르카로 인해 문학이 되살아났고, 조토와 함께 화가들의 솜씨는 다시 부흥하게 됐다. 우리는 이 두 개의 예술이 완벽에 이르는 것을 보았다고 얘기하는 피에 이어 에라스무스도 “내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 것은 얼마나 굉장한 세기(世紀)인가! 다시 젊어지고 싶구나!”라며 새로운 황금기를 찬양했다. 그 시대에 몸담고 있던 예술가들이 스스로 찬탄할 정도로 생기 넘치는 시기가 바로 르네상스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에 대한 이해는 곧 르네상스 미술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관점이 된다.
조토의 <새들에게 설교하는 성 프란체스코>나 <유다의 입맞춤>에서 보여주는 종교적 대중화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나 로렌초 기베르티의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 얀 반 아이크의 <아르놀피니 부부 초상화> 등의 작푸미 훨씬 더 현대적 관점에서는 신비스럽고 경외감을 느끼게 하는 작품들이다. 원근법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회화의 사실성과 다양성이 풍부하게 표현되기 시작했다. <프리마베라 혹은 봄>으로 명명된 보티첼리의 대표작은 여신들의 부드러운 몸의 곡선, 신화적인 분위기가 배어 있어 그림에 문외한인 나의 눈길을 한참 붙들어 놓는다. 르네상의 절정기의 대표적 인물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수태고지>나 <모나리자>로 너무나 유명하고 <최후의 만찬>은 소설로 만들어져 소설적 재미와 상상력을 배가시키고 있다. 미켈란젤로는 다 빈치보다 스물살이상 어리다. 동시대 인물로 비교되고 있지만 건축이나 회화에서 보다 스스로 조각가라 여겼다. 그에 비해 라파엘로는 백과사전적인 다 빈치와 고뇌하는 반항자인 미켈란젤로 사이에서 별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 ‘사실 그는 다만 다른 사람들이 실현하고자 꿈꿔왔던 것을 실현했다’라는 괴테의 놀라운 말이 더 사실에 가까울 것이다. 고고학자이면서 데생과 건축가였으며 시도 쓰고 조각도 했다. 예술 자체가 분화되지 않아 당시 상황으로서는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이 세명의 천재(?) 예술가들은 르네상스를 한층 더 풍요롭게 해준 대표적 인물들이다.
피렌체에서 로마, 베네치아를 거쳐 유럽으로 확산된 르네상스는 건축과 회화에서 상당한 영향을 끼쳤고 알브레히트 뒤러로 대표되는 새로운 취향의 회화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히에로나무스 보스의 <쾌락의 동산>, 마티아스 그뤼네발트의 <성 안토니우스의 유혹>, 브뢰겔의 <이카로스의 추락>등의 작품은 신과 인간의 관계를 되묻고 있는 듯한 표정이다. 르네상스는 후에 매너리즘으로 변화한다. 자연으로부터 인위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정신, 장난스럽고 괴상하면서도 ‘이상한’ 인간의 발명품으로 예술을 대하는 것이 특징이다. 르네상스의 이상적인 아름다움보다 뛰어난 기교에 대한 열망이 예술가들의 관점을 바꾸기 시작했던 것이다. 어느 예술도 그러하듯이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변하면서 쇠퇴의 길을 걷게 되는 것이다. 라파엘로의 <아테나 학당>은 ‘철학의 성전’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으로 르네상스를 요약하고 있다. 부드러운 색감과 편안한 구도를 바탕으로 고대의 현자들이 보여주는 모습이 한참동안 눈을 떼지 못하게 하는 이유이다.
서양미술사 시리즈 두 번째인 이 책은 미술비평가이자 영화평론가인 제라르 르그랑의 설명으로 되어 있다. 제한된 분량으로 설명과 회화를 모두 담기에는 역부족인듯 싶은 아쉬움이 있지만 각 시대별로 일갈하기 위한 압축의 효과를 최대로 거둘 수 있을지 나머지 시대를 기대해본다.
200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