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젖은 들풀 냄새가 배어 나오는 봄비가 내리는 밤이다. 빈 공간을 채우던 적막이 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창밖을 떠돌고 있다. 무엇을 바라겠는가. 살아 있다는 안도감과 하루하루 바쁜 생의 언저리에서 이렇게 늘 잠깐의 여유로 책장을 넘길 수 있다는 행복 이외에 또 무엇이 필요할까. 책 속에는 길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인생의 정답을 찾으려는 헛된 노력만 하지 않는다면 끊임없이 현실 세계의 존재감 정도는 전해준다.

  감히 ‘사랑’에 대해 단언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귀기울여 들어볼 자세는 되어 있다. 가르시아 마르케스처럼 이야기해도 나는 진지하게 바라볼 자세는 되어 있는 것이다. 그 외에 또 무엇이 있을까.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이라는 작품은 1982년 처음 구상되었고 2004년에 출판되었지만 그것은 무의미하다. 작가는 모든 작품을 모든 순간에 구상한다. 존재하고 사유하는 모든 대상은 어떤 형태로든 작가에게 나름의 방식으로 소화되고 표현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중요한 것은 세상을 읽어내고 보여주는 방식이다. 그것을 읽고 받아들이는 것 또한 독자의 몫이듯이.

  ‘사랑’처럼 진부한 단어가 또 있을까. 이 진부한 ‘사랑’이야기를 마르케스는 어떤 의미로 세상에 보여주고 싶었는지 나는 그 행간을 짚어 볼 수밖에 없다. 소쉬르의 표현을 빌자면 시니피앙과 시니피에가 -언어의 소리와 의미- 만들어내는 불협화음을 느낄 수 없어 번역소설은 늘 2% 부족한 감상을 전제로 한다고 믿는다. 나는 마음을 열고 늙은 작가가 전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담담하게 들어본다. 여든을 바라보는 그가 나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 귀기울여 들어볼 뿐이다.

  단편도 장편도 아닌 150페이지 분량의 다소 어색한(?) 길이와 빛바랜 나무 등걸같은 활자의 색은 책을 읽는 내내 낯설다. 민음사의 의도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라틴 아메리카의 낯선 지명과 가보지 않아 상상하기 힘든 더운 날씨와 분위기를 느낄 수 없어 아쉬움은 남는다. 온몸에 습기가 달라붙는 더위인지 바싹마른 고온인지 알 수 없고, 사회 문화적 배경에 대해 속속들이 알 수 없어 그들이 느끼는 감정과 전달 방식이 생생하게 다가오지 않아 답답했다. 밀란 쿤데라의 소설들처럼, 일테면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나 <농담>, <불멸>처럼 장편이 전해주는 작가의 목소리를 잡아내기 힘들어 개인적으로 버거웠던 소설이다.

  90세 생일을 맞이한 노인이 포주 카바르카스에게 전화를 걸어 여자를 부탁한다. 평생을 창녀들과 함께 살아온 주인공에게 얼마남지 않은 생에 대한 선물로 처녀를 주문한 것이다. 14세의 소녀를 맞이한 주인공은 손도 대지 않은채 하루 밤을 보낸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단추 공장에서 중노동에 시달리는 소녀는 잠이 들어 주인공을 기다렸던 것이다. 주인공은 소녀에게 ‘델가디나’란 이름을 붙여주지만 그의 본명도 사는 곳도 알지 못한다. 주인공의 이름도 독자들은 알 수가 없다. 익명성이 모호함 때문일지 모르지만, 그는 독특한 생의 방식을 취하고 있는 신문 칼럼니스트로서 명망있는 늙은이로 그려지지만, 특별한 인물로 다가오지는 않는다. 그것은 그가 느끼는 생에 대한 고독과 비애 때문이다. 나이와 상관없이 소녀의 무의미한 몸짓이 보여주는 생의 신산스러움 때문이다.

  소설 전편에서 두 인물의 대화는 드러나지 않으며 노인의 심리와 내면의 독백을 통해 소녀에 대한 감정이 사랑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무덤덤하게 들여다 볼 수 있다.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선입견으로 14세 소녀에 대한 90세 노인의 사랑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면 이 소설 읽기는 실패하고 만다. 나이를 잊고 한 인간이 다른 인간에 대해 최초로 느끼는 열정과 그것을 통해 느끼는 생의 의지를 읽어내면서 나는 또다른 삶을 들여다 본다.

  “나이는 숫자가 아니라 느끼는 것이라고” 말하는 주인공의 독백은 죽음을 목전에 둔 극단적인 나이를 통해서 오히려 극명하게 인간의 존재 방식과 삶의 의미를 되묻고 있다. 그렇다면 14세 소녀는 누구인가하는 질문이 남는다. 그를 위한 소품에 불과한 것인가. 소녀가 그에게 느끼는 감정과 변화는 대단히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관점에서, 그리고 간접적인 방식으로만 드러난다. 그곳에는 여전히 대화가 없다.

  언어가 사랑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소설을 읽는 이유와 방식은 사람마다 다르다. 나는 때로 고통스럽게 때로 힘겹게 소설을 읽는다. 문학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정말로 ‘진부’한 의미를 찾을 생각은 없다. 다만 “섹스란 사랑을 얻지 못할 때 가지는 위안에 불과하다오”라고 전하는 노벨 문학상에 빛나는(?) 대가의 소설속 주인공이 남긴 한 마디가 제 나름의 의미를 갖고 한 조각 퍼즐이 되어 내 생의 어디쯤엔가 끼어 들 수 있는 여지가 있다면 그것으로 만족스럽겠다.

  여전히 비소리 때문에 잠이 오지 않는 밤이다.


200505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