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숲을 거닐다 - 장영희 문학 에세이
장영희 지음 / 샘터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책이다. 더 이상 이 책을 평가하는 것 지나친 주관으로 여겨진다. <문학의 숲을 거닐다>라는 다소 서정적인 제목으로 장영희 교수의 칼럼 모음집을 읽었다. ‘문학의 숲, 고전의 바다’라는 제목으로 3년간 신문에 연재되었던 내용을 책으로 묶었다. 객관적으로 좋은 책이다. 눈부신 햇살이 아침 창을 두드릴 무렵 클래식 음악을 틀어놓고 향 좋은 커피 한 잔과 함께 책장 넘기는 소리를 즐기고 싶은 사람에게 권할 만한 책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하드커버와 그림을 곁들여 멋을 낸 것도 맘에 들지 않았고 수필 형식이라고 하지만 대부분 미국과 영국 문학 중심의 책 선정도 맘에 들지 않았다.

  1급 장애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서강대 영문과 교수로 재직하며 중․고 교과서 집필, 번역가 등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저자의 치열한 삶의 모습에는 갈채를 보내고 싶다. 하지만 학생들을 가르치며 혹은 일상 생활에서 겪은 소소한 경험들이 작품들과 밀착되거나 생동감있게 엮이지 못하고 인식론적 접근으로만 그친데 대한 아쉬움이 많다. 저자가 신문의 칼럼 형식으로 원고지 10매의 제한된 분량과 시간적인 압박을 받았음을 고려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머리를 식힐(?) 책으로 고른다면 문안하겠다.

  수필 형식의 책을 돈주고 사서 아깝지 않은 경우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끔 같은 일을 반복한다. 동질감을 나눌 수 있거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글들을 만나 기쁜 마음으로 책장을 덮을 때가 많지 않다. 편협된 가치관이나 주관적인 세상에 대한 잣대가 작용하기 때문이 아니라 열린 마음으로 타인의 생각들을 모두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은 아닐까 싶다.

  “문학은 인간이 어떻게 극복하고 살아가는 가를 가르친다”는 윌리엄 포크너의 말로 3년간의 칼럼을 마무리하는 저자는 유방암 치료후 척추암으로 투병중이다. 보다 깊이 있는 그녀의 글을 만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편안하고 유려한 문체는 쉽게 읽힌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건강한 모습으로 새로운 내용으로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나쁜 신문 <조선일보>에 연재된 칼럼이었다면 사지 않았을 것이라는 편견과 무관하게, 좀 더 꼼꼼하게 책을 고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


200505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