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 장정일 단상
장정일 지음 / 행복한책읽기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햄버거에 대한 명상>으로 장정일을 처음 만났다. 이후 <길안에서 택시잡기>까지가 장정일과의 인연이었다. 그의 소설을 읽지 않은건 산문에 대한 편견이 아니라 ‘아무 뜻 없’이 손이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책도 사실 이웃 블로거(시라노의 酒冊잡기)의 리뷰가 아니었다면 모르고 지나갔을 것이다. 오랜만에 만난 장정일은 40이 넘었다. 10여년을 훌쩍 넘긴 세월이었으니… 소설 ‘내게 거짓말을 해봐’ 필화 사건으로 언론에 보도될 때도 소설에 대한 관심은 별로 없었다. 편견때문이 아니라 시를 통해 그의 성향과 사유의 방식들을 지나치게 드러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두 권의 시집이후 시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혐오로 점철된 그의 발언 들은 차라리 애처롭기까지 했었다. 무엇 때문이었을까? 그의 말을 전적으로 수용할 수는 없다.

  이 책은 그야말로 雜文 모음이다. 그렇다고 절대 글이 잡스럽지는 않다. <생각生覺>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지만 형식은 혼란스럽다. ‘아무 뜻도 없어요’는 지난 몇 년간 쓴 단상들을 펼쳐놓고 있으며, ‘신작시’ 7편, ‘전영잡감’이라는 영화평 10편, ‘삼국지 시사파일’이라고 쓴 칼럼과, ‘나의 삼국지 이야기’로 이루어진 책이다. 그래서 사실 단상으로 꽉 채워진 것보다 뒷부분의 글들은 부록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세상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과 단상 속에서 촌철살인의 한마디 한마디를 풀어낼 수 있는 것이 작가의 능력이라면 장정일은 차고 넘친다. 왜냐하면 정말 오랜만에 책을 보며 혼자 낄낄거리고 키득거렸으니까 말이다. 주변사람들이 힐끗힐끗 쳐다볼 정도였다. 나만 그랬을까? 개인적으로 통쾌하고 직설적이며 정곡을 찌르는 글들이 고플 때가 많다. 쓸데없이 돌려 말하거나 젠체하거나 점잖빼는 글들에 신물이 났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물론 사안에 대해 다르겠지만 장정일은 일정부분에 적합한 문체를 지니고 있다. 그 부분을 잘라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의 글 중에 ‘성조기’라는 표현을 비판한 부분이 나온다. 읽다가 책꽂이의 국어사전을 얼른 꺼내 찾아보았다. 나도 무심코 써왔던 표현이라 가슴이 뜨끔했기 때문이다. 한자로 ‘星條旗’로 별과 세로 줄이 그려진 깃발이라는 뜻으로 미국 국기의 외양을 표현한 것 이외에 다른 뜻을 찾을 수 없으나 장정일은 미국 국기를 ‘성조기’라고 표현하는 것은 친미(親美)를 넘어 숭미(崇美)에 해당한다고 흥분하고 있다. 나는 장정일보다 미국을 더 싫어한다. 그런데도 이 말에는 동의할 수 없다. 혹시 장정일은 ‘星條旗’를 ‘聖條旗’로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었다.

  그의 글을 읽다가 온 몸이 경직되고 순간 가슴이 두근거리며 한참동안 멍하게 허공을 응시하고 삶의 자세를 다시 한번 가다듬게 하는 글을 만났다. 당연한 말이면서 실제 누군가의 입을 통해 듣게 되는 통렬함이여. 직업병 때문인지 몰라도 밑줄을 쫙 그어놓은 부분은 다음과 같다.

  “짐승은 배울 수 있지만 아무래도 깨달을 수 없고, 인간은 어쩌다 깨달을 수는 있지만 결코 배우지는 못한다.” 하므로 교육에 관해서는 단 한가지 원칙만 유효하다. 선생은 절대 학생에게 ‘주입’하지 말고 ‘암기’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 배움은 다 쓸데없다. 어떻게 하면 “깨닫게 해 줄 것인가”를 고민하는 게 교육이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 25주년 기념일이다. 이 날을 기억하는지 하늘도 눈물을 흘리고 있다. 민주화 영령들의 평안을 진심으로 기원하며 오늘 나의 삶의 자세를 가다듬는다.


     살아남은 자의 슬픔

               

                             - 브레히트

  물론 나는 알고 있다. 오직 운이 좋았던 덕택에
  나는 그 많은 친구들보다 오래 살아 남았다.
  그러나 지난 밤 꿈 속에서
  이 친구들이 나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강한 자는 살아 남는다."
  그러자 나는 자신이 미워졌다.



200505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