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슬라보예 지젝 지음, 이수련 옮김 / 인간사랑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내가 살고 있는 21세기를 한 세대, 아니 22세기의 후세들이 어떻게 정리하게 될지 궁금하기도 하고 흥미롭기도하다. 물론 아직 시작도 하지 않은 게임과 같이 우리가 만들어 가야할 미래는 아득하고 막막하기만 하다. 전지구적 환경의 변화는 경제, 정치, 군사, 환경, 특히 문화적 징후들은 우리가 예측할 수 없을만큼 급박한 변화와 조정을 거치고 있는 상태다.
수 백년 간 지속된 인류의 사상적 변모는 사회변동과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간다. 사회정치적 배경과 인간의 사유방식은 멀게 느껴지지 않는다. 세상을 인식하고 우리를 돌아보는 철학방식은 중심개념과 논의의 초점이 하나로 일치될 수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특히 근대 이후 ‘다양성’이라는 가장 두드러진 특성을 보여주는 일련의 현상들은 계급의 붕괴와 시민사회의 발달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각종 예술과 문화의 주체로서 당당하게 참여하게 된 ‘민중’들의 힘이 발휘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0여년 전의 일일 뿐이다. 그래도 그 변화의 속도를 정신을 차릴 수 없을만큼 급진적이며 변화양상 또한 파격적이다. 그 숱한 변화와 다양한 문화 현상 속에서 현대인의 사유 특징을 나름의 방식대로 읽어낸다는 것은 또 어떤 의미가 있을까?
슬라예보 지젝의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이라는 책은 1989년에 출판된 그의 초기작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지젝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민과 사유 방식들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의 사상적 배경과 문화 해석의 논리들이 어디서 출발하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는지 선명하게 보여주는 그의 대표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 1부 증상에서는 마르크스가 어떻게 증상을 고안해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증상에서 증환으로 나아가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는 프로이트와 알튀세르, 카프카의 작품이 동원되며, 헤겔식 농담과 영화 ‘타이타닉’을 동원하여 이해를 돕는다. 물론 문화 현상들이 지젝의 이론을 대변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론과 언어 형식에 매몰될 수 있는 개념들을 이해하기 위한 방식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
제 2부 타자 속의 결여에서는 ‘케 보이’와 ‘당신은 두 번 죽는다’는 제목으로 이데올로기의 정체성과 왜상, 동일시, 욕망의 그래프를 통해 본격적으로 지젝의 사상을 배경이 되는 라캉의 이론들을 꼼꼼히 분석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포스트 구조주의자’라는 총체적 분류방식을 거부한 지젝은 라캉의 누빔점과 타자의 개념의 오독을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 제 3부 주체에서는 실재의 주체 개념을 확인하고 ‘메타언어는 없다’는 후기 구조주의자들의 유명한 명제를 분석하며 지젝 나름의 주체와 실재 사이의 개념을 확립하고 있다. 그것은 라캉이 말한대로 상징계와 상상계의 모호한 구분과 구별되는 실재계에서 존재하는 주체의 역할과 개념을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내가 읽은 지젝은 뼈와 살에 달라붙지 않았다. 이물감을 느낄만큼 거부감이 들었다는 것은 아니지만 내 안에 소화되어 내재화 되지 못했다는 말이다. 그것은 개념과 언어때문이었다. 철학의 대상자체가 ‘언어’로 귀착되기 시작하고 모든 사유 방식의 근원이 되는 ‘언어’에 대한 분석과 해석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20세기 언어 분석철학부터 시작된 이 기나긴 여행은 언제쯤 또다른 변화와 도전을 겪게 될지 알 수 없다. 지난 세기 가장 명민한 철학자로 일컬어지는 비트겐슈타인의 관한 <비트겐슈타인은 왜?>라는 책을 보았을 때와는 사뭇 다른 느낌이다. 지젝의 사상적 배경과 변모과정을 설명한 <누가 슬라예보 지젝을 미워하는가>를 통해 대강의 모습을 그리고 시작한 책읽기였지만 선명한 개념과 인식 방법을 체득하긴 쉽지 않은 일이었다.
마르크스든, 헤겔이든, 라캉이든 그들의 개념을 재해석하고 있는 지젝이든 인류의 사상적 진보는 계속될 것이며 그들이 하고 싶은 말을 귀기울여 들어보고 21세기에 그려나갈 우리의 모습이나 지나온 20세기를 정리해서 현재를 살아가는 ‘누빔점’을 삼을 수 있다면 충분히 의미있는 일이지만 내게는 좀 더 정밀한 책읽기와 사유가 필요한 듯 싶다.
200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