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 서해클래식 4
토머스 모어 지음, 나종일 옮김 / 서해문집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고전의 힘은 현재적 유용성이다. 지금도 여전히 그 힘을 발휘하며 통시적 관점에서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1516년에 출간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는 500년의 세월을 훌쩍 뛰어넘고 있다.

  봉건 영주 시대는 곧 자본주의 사회를 예고했다. 왕에게 복무하기 이전에 한 종교인이었던 모어는 인간의 불평등 문제와 사회 제도에 대해 깊이 고민한다. 전쟁과 살육, 가난과 기아, 범죄와 형벌에 대한 민중들의 모습은 비참했을 것이다. 그 수많은 문제점에 대한 명쾌한 대안을 제시한 것이 <유토피아>다. 어디에도 없는, 그러나 누구나 꿈꾸는 나라……

  형벌의 목적은 악을 없애고 사람을 구제하는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범죄자들이 착하게 될 수밖에 없도록, 그리고 자신들이 저지른 해악을 남은 생애 동안에 보상하도록, 사람들을 대하고 있습니다. - 본문 39페이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범죄자들의 사형 제도에 대한 견해로 모어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모든 형벌의 목적은 보복이 아닐 것이다. 봉건적 형벌제도에 대한 모어의 생각은 이렇게 확제시된다. 개인적 차원이 아닌 사회 구조적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비판으로 범죄와 형벌의 모순을 지적하면서 ‘유토피아’를 시작한다.

  르네상스와 휴머니즘의 훈풍이 불고, 종교의 절대권위에서 벗어나 종교개혁이 이루어지고, 항해술의 발달로 바다건너 미지의 세계로 그 영역을 확대 시키던 시대적 배경으로 ‘유토피아’는 탄생된다.

  라파엘 히슬로다에우스의 입을 통해 그가 경험했던 ‘가장 좋은 나라’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존이었던 모어의 친구 피터 힐러스가 등장하여 라파엘의 이야기를 같이 듣는다. 이것은 허구적인 내용이지만 소설로 보긴 어렵고 장르나 형식을 구분하는 일은 어쩌면 무의미할 지도 모르겠다.

  라파엘이 들려주는 그 나라는 시대를 넘어선 관점에서 보면 사회주의 국가에 가장 근접해있다고 해서 16세기 초에 그려진 가장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의 한 형태에 대해 많은 논란을 가져 오기도 했다. 그러나 이 책은 사회학적 관점이나 많은 학문적 이론을 적용해서 그 타당성 여부를 논하는 것은 모어의 의도를 읽지 못하기 때문이다.

  화폐가 없으며, 사유 재산을 인정하지 않고, 공동 생산을 하고 필요한 만큼 분배되며, 모든 사람이 노동에 참여하기 때문에 평등과 정의가 실현되는 나라 유토피아. 빈둥거리는 귀족과 그들의 뒤치다꺼리에 여생을 보내는 하인이 없기 때문에 가난과 범죄가 없는 사회 유토피아. 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의 노동으로 모두가 생산에 참여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휴식과 수면, 강의를 통해 지적 쾌락을 추구하며 덕을 지켜나가는 나라 유토피아. 그러나 노예제도를 인정하는 모순된 나라이면서 침략 전쟁을 부인하지만 용병을 이용하여 전쟁에 승리하는 등 갖가지 전쟁 전략을 가지고 있는 그들만의 유토피아. 전세계주의가 아니라 유토피아의 국민들만을 위한 유토피아.

  플라톤의 <국가>의 영향을 받아 철인 통치를 지지한다. 현명한 사람을 뽑기 위한 비밀 투표 등 가장 이상적이고 민주적인 사회 통치 제도이지만 공동 식사등 수도원에서나 볼 수 있는 전체주의적 발상도 곳곳에 드러난다. 이 책은 이렇게 완벽하지만은 않은 모습으로 현대인들에게 제시될 지도 모른다. 하지만 모어가 추구했던 이상적 세계의 근본에는 모든 인간에 대한 평등과 참된 진리에 대한 사랑이 배어 있다. 유토피아인들은 “덕을 자연에 따르는 삶이라고 정의”하여 스토아학파의 견해와 일치하는 듯 보이지만, 쾌락을 최고 선이라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에 가깝다. 또한 “누구도 자신의 종교 때문에 처벌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그들의 가장 오래된 규정” 중의 하나이다. 이런 식으로 당대의 철학과 시대 가치를 반영하면서도 현재에도 논란이 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모어는 그들을 통해 공감할 수 있는 삶의 모습들을 제시한다.

  우리 삶의 참다운 행복인 쾌락에 대해 정신적, 육체적 쾌락으로 나누고 육체적 쾌락은 다시 감각적 쾌락과 건강으로 분류한다. 유토피아의 진정한 가치도 쾌락에서 비롯된다는 것으로 고통 받지 않는 육체, 즉 건강 자체를 대단히 커다란 쾌락으로 말하는 것이 새롭다.

  오늘날 번영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의 모습을 보고 가만히 생각해보면, 분명히 말하건대, 나라(공공의 복지)라는 이름 아래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는 자들의 음모 이외의 아무것도 찾아볼 수가 없어요. 그들은 부정한 수법으로 긁어모은 것들을 잃어버릴 염려 없이 간직할 모든 수단방법을 고안해내고, 그러고는 가난한 사람들을 억압하여 가능한 한 싼값으로 그들의 수고와 노동을 사들일궁리를 합니다. 부자들이 나라(공공복지)를 위해서라고 말하면서 - 그 나라 안에는 물론 가난한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지요. - 이런 수단방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하게 되면, 곧바로 그것들은 법이 됩니다. - 본문 176페이지

  사회와 역사는 진보를 거듭했으며 발전할 것이라는 소박한 믿음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희망이다. 그것이 없다면 어떻게 이 시간들을 견뎌낼 수 있을까? 16세기에 모어가 했던 이 말이 현재에도 변함없이 적용된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경제 제도나 사회 체제의 변화와 발전이 모든 인간에게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 있을까? 구가와 국민의 관계와 개인의 행복은 어떤 형태로 규정할 수 있을까?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갈등이 인간 사회의 필연일지라도, 가난과 기아, 범죄와 형벌이 없고 전쟁 대신 평화만이 가득한 유토피아는 현실에서 불가능할지도 꿈을 꿀 수는 있지 않을까?


200506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