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므 파탈 - 치명적 유혹, 매혹당한 영혼들
이명옥 지음 / 다빈치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예술의 지향점은 늘 현실 밖에 존재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사회적 윤리와 도덕 속에 결합된 미술과 음악 그리고 문학은 지루함을 견딜 수 없게 한다. 정신적 순결함과 고결함을 느끼게 하는 수많은 작품들을 폄하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예술의 본질은 현실에서의 일탈이 아닐까 싶다. 반영론적 관점에서 보이지 않는, 보려고 하지 않는 현실의 모습들을 들춰내는 것이 예술의 중요한 기능이라면 인간의 본질적 욕망과 내면의 감정들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작품들은 비난과 찬사를 동시에 받아왔다.

  프랑스어 ‘숙명의 여인, 운명적인 여성’쯤으로 어원을 해석해볼 수 있는 ‘팜므 파탈(femme fatale)’은 매우 흥미롭다. 지은이 이명옥은 주제 선정의 탁월함을 내용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심리학이나 사회학적으로 접근할 수도 있는 주제를 그림속에 나타난 여성들을 중심으로 편안한 설명과 함께 그림을 읽어주고 있다. 그래서 어렵지 않게 그리고 흥미를 가지고 그림 감상 능력이라는 덤도 얻는다.

  ‘유혹은 사랑보다 숭고하며, 쾌락은 죽음보다 강렬하다.’는 선언으로 책은 시작된다. 인간의 본능에 해당하는 유혹과 쾌락에 대한 정의가 선정적이다. “치명적인 매력으로 남성을 유혹해 지옥으로 빠뜨리는 악녀, 남성을 섹스로 유인해 파멸시키는 탕녀가 바로 팜므 파탈이다.”는 작가의 정의는 사람들이 왜 ‘팜므 파탈’에 열광하는가를 “현실 속의 여자에게서 해소할 수 없는 끈끈한 욕망을 매력적인 팜므 파탈에 투영했다. 윤리 도덕을 뛰어넘고 싶은 은밀한 갈망을 팜므 파탈을 통해 충족시켰다.”고 분석한다. 타당한 해석이 아닐 수 없다. 여성에 대한 혐오와 증오심, 공포와 욕망이 뒤범벅이 된 남성은 지옥 같은 고통을 겪는다. 사디즘과 마조히즘, 갈망과 거부, 쾌락과 죽음. 이 모순된 남성의 심리가 여성에게 반영되어 아름답고 사악한 팜므 파탈의 이미지가 형성된 것이다.

  잔혹, 신비, 음탕, 매혹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가지고 살로메부터 해밀턴 부인에 이르기까지 주인공들의 생애와 특징, 다양한 화가들의 그림들을 소개하며 ‘팜므 파탈’에 대한 19말의 들불처럼 번진 현상들을 설득력있게 소개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19세기 말인가에 대한 작가의 말을 들어보자.

  19세기 이전의 요부들은 비록 아름답고 요염하지만 치명적인 매력을 지니지 않았다. 또한 사회 전반에 걸쳐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지도 않았다. 한 유형이 고착되기 위해서는 판에 박힌 이미지가 끊임없이 되풀이 되어야한다. (본문 182페이지)

  이러한 현상들이 지금은 광고와 영화를 통해 하나의 이미지로 재생산되고 있다. “19세기에 선풍적인 인기를 끈 팜므 파탈의 이미지는 오늘날 광고와 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성을 상품화한 섹시한 여인상을 형성하는데 독특한 기여를 했다. 도발적이고 선정적인 자태로 남성을 유혹하는 팜므 파탈은 환상의 사랑이 실제 사랑보다 훨씬 강렬한 감정이요, 자극적인 것임을 증명한다.”

  개인의 삶이 파편화되고 속도감을 더해 가면서 유혹과 쾌락도 가속도를 더해간다. 더욱 강렬한 생의 자극이 필요한건 현대인들만의 속성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것이 사랑이든 아니든 치명적인 유혹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사랑’과 결합될 수 있다면 상황이 달라질까? 이 책에 등장하는 모든 여인들을 도덕적 잣대와 윤리적 속성으로 판단한다면 전부 손가락질을 대상일 뿐이다. 하지만 신화나 역사 속에 이름을 남길 정도의 유명세와 상관없이 현실 속에 숨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유사 팜므 파탈’에 대해, ‘팜므’는 아니지만 치명적인 그 모든 ‘유혹’들에 대해 갈등하게 되는 것은 ‘파탈’일지도 모른다.

  그림만으로도 충분히 화려하고 매혹적인 책이 될 수 있음에도 색지를 넣은 듯한 지나친 디자인으로 오히려 혼란스럽고 품격을 떨어뜨린 단점을 지닌 책이기도 하다. 미와 교코의 <성의 미학>에서 다룬 폭넓은 주제와 달리 ‘여성’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집중함으로써 전달 방식은 분명하고 선명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팜므 파탈’이라는 주제가 19세기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문학과 미술에서 비롯된 요부형 여성을 일컫는 말일지라도 ‘동양’의 여성들이 제외된 아쉬움이 크다. 
 
200507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