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지음 / 푸른숲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 입학 무렵으로 기억한다. 어머니를 졸라 집에 개를 한 마리 키우기로 했다. 그 나이 또래 아이들이 그렇듯이 개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지극했다. 아버지는 손수 판자를 잘라 개집을 지어 페인트칠까지 해서 멋진 개집도 만들어 주셨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개의 눈에 눈꼽이 끼고 밥도 잘 먹지도 않고 개집 밖으로 나오지도 않았다. 동물병원에 데리고 갔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그 안타까움의 크기만 기억한다. 개가 죽고 나서 까만 비닐 봉투에 담아 시냇가에 가 땅을 파고 개를 묻던 아버지의 모습이 선명하다. 그 모습을 바라보던 어린 초등학생의 마음속에 지금까지 사진처럼 선명한 죽음에 대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그 후론 집에서 아무것도 키우지 않는다.

  개는 보통 인간과 가장 친근하면서 충직한 동물로 인식되어 있다. 주인을 살린 개 이야기를 초등학교 때 배운 기억도 난다. 지금은 사람들이 애완용으로 아파트에서도 개를 키운다. 오히려 도시에서 개를 키우는 사람들이 늘었다. 외로움과 그리움의 부피가 커진 탓이다.

  김훈의 장편소설 <개>가 전하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개발바닥 내발바닥’이다. 신산스런 삶의 과정을 밟아 나가는 인간의 발은 개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이 바로 우리들 삶의 기록이기 때문이다. 힘겹고 고통스런 순간들 너머에도 생은 존재하며 삶은 어떤 형태로든 지속된다. 이 소설은 그렇게 사람들에게 말하고 있는 듯하다. 너도 개다!

  이 소설은 청소년을 위한 우화소설로 분류될 만하다. 어른을 위한 소설로도 손색없지만 이제 성인들은 쉽게 감동하지 않는다. 다만 어린 시절 개에 대한 추억이 한 두 가지쯤 있었을 법한 많은 사람들에게 이 소설은 유년의 기억으로 안내할 수도 있겠다.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이라는 부제가 말해주듯이 철저히 개의 시선을 빌어 세상을 둘러본다. 배경은 개가 태어난 어느 평범한 농촌과 주인을 만난 어촌이다. 고려의 가전체를 흉내내 어설프게 세태를 비판하거나 인간의 일그러진 모습을 풍자하지는 않는다. 담담하고 편안한 문장으로 개의 발바닥을 따라간다. 특별한 사건과 인상적인 갈등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암캐인 흰순이와 동네를 지배하는 악돌이를 내세우기는 하지만 그 개들은 소설의 내용을 좌우하는 결정적 역할이 아닌 조연에 불과하다.

  이문열의 소설 <오딧세이아 서울>을 기억하는 독자들은 이런 종류의 소설이 갖는 미덕을 쉽게 평가하기 어렵다. 이문열의 소설에서 주인공은 몽블랑 만년필이다. 사물에 의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는 도덕 교과서가 되기 쉽다. 가르치려 들거나 비판의 잣대를 들이밀기 십상이다. 다만 새로움에 대한 도전이며 식상함에서 벗어나 잠시 소설의 문법을 잊고 맑은 샘물을 한 모금 마시는 기분 정도면 되겠다.

  하지만 그 이상은 없다. 그래서 아쉽다. 억지스런 감동은 없지만 주인의 죽음으로 알 수 없는 운명 앞에 놓인 주인공 개의 울부짖음으로 소설은 막을 내린다. 과정으로 읽기엔 힘이 부족하고 결말이 던지는 메시지는 모호하다. 내용상 김훈 특유의 문장이나 표현들을 감상하는 재미도 없다. 자칫 특징 없는 소설로 남겨질 수 있는 소설이 될 수도 있겠다.

  누구나 공감하는 기억의 조각을 찾아내는 퍼즐게임은 즐겁다. 소설가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정서를 쓰고 싶은 욕망이 있다. 내밀한 언어의 정제된 고백보다 편안하게 다가오는 수필처럼 부드러운 문장들이 필요한 때도 있는 법이다. <개>는 그렇게 쉽고 편안한 저녁의 대화처럼 일상적인 모습이다. 복잡하고 어려운 이야기를 풀어 놓지 않아 마음 불편하지 않은 것이 커다란 미덕이다.

  과작(寡作)인 그의 작품을 기다리는 많은 독자들에게 이 소설은 어떤 느낌으로 다가갈지 궁금하기도 하다. 그의 많지 않은 작품을 대할 때마다 독자들이 느끼는 신선함이나 감동을 이어갔으면 좋겠다. 개인적인 바람이지만 단 한 편이라도 영원히 각인될 수 있는 작품들을 만나고 싶다. 모든 작가와 독자들의 공통된 희망일까?

  소설 외적인 이야기지만 책은 손맛이다. 언제부턴가 ‘민음의 시’가 양장본으로 나오더니 이제 소설들도 걸핏하면 양장본으로 출판된다. 뭔가 있어 보이지도 않고 책장의 부피만 차지한다. 편안하게 접어가며 읽을 수 있고 둥글게 한 손에 말아쥐고 있는 편리함도 사라졌다. 분량과 책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양장본의 유행이 왜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다. 좀 더 소설다운(?) 표지와 제본이 나는 좋다.


200508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