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결혼 시키기
앤 패디먼 지음, 정영목 옮김 / 지호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밖의 하늘 멀리 헬리콥터 한 대가 흰 구름을 배경으로 날아간다. 벌써 가을이 당도해 버린 것인가. 지난 번에 주문한 <서재 결혼 시키기>는 책에 관한 여러 책들 중 하나다. 독서에 관한, 책에 관한 타인의 취향이 궁금할 때 가끔 환자(?)들의 책을 읽는다. 그들은 하나같이 비슷한 증상과 성향들을 보여 재미있다. 물론 부분적으로 나도 비슷한 증상을 경험했고 그렇게 지내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일은 쉽지 않기 때문에.

  어린 시절에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행복중의 하나는 책읽는 부모를 만나는 일이라고 한다. 독서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양질의 도서를 책장 가득 채워주는 것보다 아이와 함께 조용히 책읽는 시간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그 분위기가 집안 전체를 가득 메운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앤 패디먼은 바로 그런 집에서 자란 대표적인 경우이다. 남편을 만나 결혼하는 과정보다 서재를 합치는 일련의 과정들이 흥미롭게 보인다. 영혼을 합치는 작업을 눈으로 확인하는 듯한 느낌이다.

  이 책은 저자가 살아온 과정을 책이라는 주제로 묶은 수필집이다. 성장배경과 가족들의 이야기를 책과 관련된 에피소드와 연결시켜 편안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은 불편하고 딱딱한 이야기가 아니라 위트와 유머 넘치는 글솜씨로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웃음을 만들어준다. 권위적이거나 목에 힘주고 설교하거나 진지하고 깊이있는 이야기로 독자들을 긴장시키지 않는 방법을 저자는 알고 있는 듯하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책들과 인연을 맺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는 가끔씩 책을 읽는 행 위 자체를 돌아보게 하는 즐거움을 준다. 여전히 책읽기는 필수가 아니라 선택이라는 신념을 버리지 않고 사는 나에게 생활이 되어버린 사람들의 이야기는 유쾌하고 즐겁게 여겨진다. 결국 살아가는 일들이 모두 자연스럽게 자신이 읽고 쓰는 일로 연결되어 버린 앤 패디먼은 행복해 보인다. 누구나 그렇게 자연스런 행복을 원한다.

  어느집에나 같은 책 두권이 꽂혀 있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내가 읽고 선물했던 책과 선물받았던 책들이 가장 많은 경우다. 양이 많지 않아 나란히 꽂아두고 나름의 추억으로 삼는다. 패디먼 일가처럼 교열에 관한 편집증적 증상을 보이지는 않지만 직업병 수준에 가까운 맞춤법과 표준어에 대한 관심은 글쓰기로 이어지지 않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다. 수많은 오탈자를 담고 있는 일상적인 생활들이 더 정겹다. 엘리베이터에 앞 게시판에 붙혀놓은 반상회 안내문에 아저씨들의 실수가 짜증으로 여겨지지는 않으니 말이다. 언제나 세상을 정확하고 꼼꼼하게만 살 수 있겠는가.

  “모든 것은 책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표지의 인용부호가 패디먼의 삶을 요약하는 훌륭한 문장이 된다. 그녀의 전 생이 책으로 가득하다는 말이니 달리 설명이 필요없다. 수많은 책에 관한 책중에 하나임이 틀림없지만, 책 좋아하는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기에 손색없는 아주 괜찮은 책이다.


200508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