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세계 살림지식총서 85
강유원 지음 / 살림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다수의 사람들이 행하고 있다 하여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며, 압도적 다수가 책을 읽지 않는다는 사실을 놓고 보면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은 소수의 책 읽는 이들이 벌이는 일종의 음모임에 틀림없다. (본몬 4페이지)

  강유원의 <책과 세계>는 이렇게 도발적인 선언으로 시작된다. 상식과 타성에 젖어버린 책에 대한 생각들을 일순간 뒤집어버리는 한 마디가 통렬하다. 같은 하늘 아래 살고 있는 전인류의 40%가 손으로 음식을 먹는다. 이들을 미개하다고 할 수는 없다. 옳다 그르다의 문제로 판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책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읽어도 읽어도 아무것도 달라지는 것이 없을 수도 있다. 대지와 호흡하고 하늘을 우러르며 두 뺨에 스치는 바람이 일러준대로 살아가는 삶이 더 행복하거나 인간적(?)일 수 있다.

  지식을 위한 방편이라고 하기엔 시대가 너무 달라졌고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 시대에도 여전히 나무를 베고 종이를 만들어 책을 찍어내는 일이 유효한가? 저자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고전들을 들쑤셔본다. 국가론, 갈리아 전기, 우정론, 신국, 신학대전, 군주론, 리바이어던, 백과전서를 거쳐 국부론, 종의 기원까지 인간과 세계를 변화시킨 고전의 의미를 재해석해보는 것으로 대부분의 내용을 할애하고 있다.

  책이 가지는 매체로의 속성 또한 다양하다. 진흙판에서 죽간, 최근의 e-book에 이르기까지 매체 자체가 가지는 역할과 의미도 다양하게 해석된다. 인간을 중심으로 결국 책은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인간과 세계의 관계 속에서 책은 나름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며 인류가 발전(?)을 거듭하며 문명을 이룩해 오는 과정에서 책의 역할과 의미를 강조하며 그래서 ‘책’은 중요한 것이다는 교훈적 결론과는 거리가 멀다. 이를테면 책의 재조명 작업 정도로 불릴 수 있겠다.

  20세기를 ‘극단의 시대’라고 평했던 어느 역사의 말을 되새겨본다. 15세기 이후 축적된 인류의 이성과 문화의 발달이 현재의 관점에서도 지속 가능한 일인가? 고전을 통해 자아를 들여다보는 일이 과연 의미 있는 일이며, 무언가 세계를 바로 볼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게 하는가? 알 수 없는 일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사실일 수도 있다고 저자에게 설득 당했다.

  물론 수많은 반론과 각론이 있을 수 있겠지만, 책과 세계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탐색 없이 책읽기에 몰두하거나 아이들에게 책 읽히기에 목매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다시 한번 살펴야 한다는 의미 정도는 읽어낼 수 있다. 아울러 단 한권의 책, 고전이 인류에게 미친 영향과 의미들을 다시 한번 새겨봐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현재도 여전히 유효한 가치를 지닌 실용적 목적이 아니라 역사와 시대를 들여다 볼 수 있고 그것을 통해 현재를 조망해 볼 수 있다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 현재에는 현재의 고전이 만들어지고 있을 것이다. 넓게 보고 깊이 읽는 안목이 절실히 필요해진다. 얼마나 더 들여다보아야 안개 속에서 어렴풋하게나마 길이 보일런지......

  인간을 움직이는 힘은 궁극적으로 두 가지이다. 하나는 공포이고, 다른 하나는 탐욕이다. 공포는 자신의 몸에 가해지는 고통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요, 탐욕은 자신의 몸에 가해지는 즐거움에 의해 생겨난다. (본문 11페이지)

  저자의 말처럼 인간을 움직이는 두 가지 힘 중에 나는 늘 탐욕을 탐한다. 누구나 그런가? 고통을 즐기고 즐거움을 음미하는 듯한 태도는 가식이다. 고통스러운가? 아니면 즐거운가? 어느 쪽인가? 그것이 직접적으로 몸에 가해지는 일들이라면 더욱 본능에 충실해진다. 책과 무관한 인용일 수 있으나 생각해보면 온몸이 떨리는 즐거움을 어떻게 얻을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은 개인마다 다르지 않은가. 오늘도 공포를 통한 고통이 아니라 탐욕을 통해 즐거움을 얻기 위해 몸부림치는 나를 포함한 전 인류를 위해 건배할 일이다.


200509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