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의 건강법 - 개정판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민정 옮김 / 문학세계사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톡한 소설을 만났다. 밀란 쿤데라 이후 몰입할만한 외국 작가를 만나지 못했다. 번역과 정서의 문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어휘와 문장에서 느껴지는 섬세한 느낌들이 주는 문체가 내용과 어울려 전체로 다가와야 하지만 쉽지 않다.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를 일부러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머릿속에서 겉도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대부분의 외국 소설은 나에게 그렇게 읽힌다. 번역시는 더욱 그렇다. 하지만 아멜리 노통브의 <살인자의 건강법>은 그런대로 좋은 평가를 내릴만하다.

  우선 내용 자체가 주는 신선함이다.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를 인터뷰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작가의 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선언적 의미로 읽힌다. 주인공인 타슈의 입을 통해 문학에서 오용되거나 독자들이 읽어내고 싶어 하는 비유와 상징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냉소가 시원하다. 공간의 이동도 시간의 흐름도 이 소설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오로지 인터뷰를 통한 기자와 작가 사이의 대화로만 구성되어 있다. 장편소설에서 신경써야할 다양한 인물이나 복잡한 갈등도 간접적인 복선과 암시도 다 필요 없다. 그저 두 사람의 대화를 통해서만 소설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기자는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타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그의 전 생애를 밝혀낸다. 유년시절의 지독한 사랑과 추억 때문에 세상과 단절한 채 살아가는 추악한 외모를 가진 늙인이의 진실을 밝혀낸다. 그러나 기자가 밝혀내는 결국 늙은 대가의 숨겨진 삶이 아니라 진정한 ‘문학’ 속에 가려진 진실 찾기 게임이다. 문학적 진실이란 과연 무엇인가? 현실과 문학의 모호한 경계위에서 위태로운 줄타기를 즐기는 듯한 이 소설은 작가 스스로가 밝히는 자신의 문학론으로 읽힌다.

  소설은 결국 허위적 진실이다. 허구라는 말도, 진실이라는 말도 모두 맞거나 모두 틀린다. 말장난이 아니다. 소설은 양면성을 지닌 두 얼굴의 사나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 안에서 비평가나 독자들의 상상력은 자유지만 해석은 위험하다. 현실보다 진지한 모습으로 다가오는 소설이 부담스러울 때가 있는 것처럼 소설의 의미 자체를 탐색하는 듯한 이런 종류의 소설 또한 쉽지 않다.

  또 하나의 축은 ‘사랑’이다. 작가 타슈의 어린 시절 절대 사랑이었던 사촌 레오폴딘. 그 사랑은 완벽했다. 탸슈의 입장에서. 성장하기 이전, 그러니까 2차 성징이 드러나기 이전의 상태로 가장 순수한 모습만을 사랑했고 추억하는 현실 속의 환상이다. 그런 환상을 현실에서 지켜내는 방법은 일탈 행위 뿐이다. 살인을 통해 영원한 기억 속에 묻어버린 타슈는 그 후 전 생애를 글쓰기 속에 묻혀 산다. 다소 비현실적인 내용이지만 남녀간의 진부한 사랑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사랑 이전의 사랑을 확인한 후 작가가 보여줄 사랑 얘기가 궁금하다.

  인류의 삶은 지속될 것이고 새로운 작가들은 끊임없이 우리에게 나타날 것이다. 그들이 내놓는 수많은 작품들 속에서 나름의 진실은 각각의 목소리를 낸다. 훌륭하고 위대한 문학으로 남겨질 작품은 결국 보편성의 문제가 아닐까 싶다. 물론 대중성과는 다른 문제이다. 특별한 의미와 내용을 담고 색다른 방식으로 다가오는 그녀의 소설이 매력적인 이유는 단순한 발랄함이나 재치만으로 설명하기는 힘들다.

  기자와 타슈가 보여주는 대화의 특성은 간결하고 직설적이다. 이전의 다른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타슈의 말들은 현란하고 자유롭다. 끊임없이 쏟아지는 요설들은 작가의 언어에 대한 화려한 요리 솜씨를 보여준다.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능력은 작가로서 가지는 첫 번째 장점이다. 촌철살인의 은유와 풍자, 비틀고 후려치는 어법을 통해 ‘문학’ 자체에 대한 작가의 방법론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르다는 것은 미덕이다. 특이한 내용과 색다른 방식으로, 무엇보다도 <살인자의 건강법>이라는 주목할(?) 만한 제목으로 일단 독자들에게 주목받고 많은 소설들을 쏟아내고 있는 작가의 다른 작품 몇 편을 더 읽어봐야겠다. 그래야 그녀에 대한 평가는 그 이후의 일이겠다.

 


200509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