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 자유의 역사
존 B. 베리 지음, 박홍규 옮김 / 바오 / 2005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으로 박근혜의 머리통을 한 대 갈기고 싶다. 다소 과격한 표현인가? ‘유신 공주’ 박근혜의 정체성부터 묻고 싶어지는 발언들이 사람들을 미혹케 한다. 대중은 바보인가? 대한민국의 체제 수호와 정체성을 지키겠다는 파수꾼 박근혜는 어떻게 현실 정치의 중앙에서 행세하고 있는가. 부끄러운 우리의 정치 현실의 단면을 보고 있는듯 하다. 보수과 진보, 우익과 좌익을 논하기 이전에 창피하고 부끄러운 수준의 이념 공방을 보면 대한민국을 뜨고 싶다. 우리나라에서 ‘사상의 자유’를 논하는 것 자체가 죄라는 것은 모두가 다 안다. 부끄러운 현실이다. 문명국가 한국은 아직도 야만의 정서와 믿음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21세기 한국에서는 사상 논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문명국가와 민주주의 국가에서 이미 용인된 사상의 자유가 없다. 한국의 정치적 군사적 특수성 때문이라는 위협은 이제 지나가던 개도 웃게 되었지만 현실은 변하지 않고 국가 보안법은 여전히 존속되고 있는 나라에 살고 있다.

  헌법 19조, 20조에 양심과 신앙의 자유는 명시하고 있지만 사상의 자유는 인정하지 않는다. 양심의 자유에 일부 포함되어 있는 듯 보이지만 헌법 37조 2항에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 ․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 한하여 벌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고 못 박고 있어 국가권력에 의한 통제를 헌법에 명시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언제쯤 ‘사상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나라가 될 수 있을까? 언제쯤 반공 이데올로기와 레드 콤플렉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1914년,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에서 출판된 존 B. 베리(John Bagnell Bury, 1861-1927)의 <사상의 자유(A history of freedom of thought)>가 박홍규 교수에 의해 완역본으로 다시 나왔다. 이 책은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시대별로 사람의 생각을 가두고 억압했던 인류의 역사를 종교를 통한 사상 통제의 역사로 풀어내고 있다. 각 시대별로 사상의 자유를 위해 피흘렸던 선각자들의 이론과 저작을 통해 이성적 존재라고 믿었던 인간이 얼마나 긴 세월동안 야만의 시대를 겪어왔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특히 중세를 암흑기라 했던 이유는 ‘교회의 영향력이 최고도에 달했던 시기’였으며 ‘이성은 기독교가 쌓아올린 인간 정신의 감옥 안에 사슬로 매여’ 있었기 때문이다. 종교의 자유는 완전한 사상의 자유를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그래서 이 책은 기독교와 가톨릭으로 대표되는 종교의 배타성이 어떤 방식으로 인간의 이성을 억압해 왔으며 고통스런 역사속에서 어떤 식으로 그것을 극복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인간의 사상의 자유의 역사이다.

  베리가 종교를 중심으로 ‘사상의 자유’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것은 “지금까지 나는 거의 전적으로 종교에서의 사상의 자유만을 고찰해왔다. 왜냐하면 그것은 일반적인 사상의 자유를 측정하는 온도계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본문 190페이지)”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기 전까지 종교가 사상의 자유를 측정하는 온도계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리의 우려대로 인류의 ‘사상의 자유’는 이데올로기라는 직격탄을 맞는다. 우리 사회도 예외가 아니어서 반공을 국시로 하여 지난 반세기 동안 지독한 사상 탄압과 맞물려 언론의 자유까지 유린되었다. 종교의 근본주의가 가장 심각한 나라가 되었으며 아직도 양심적 병역거부와 사상의 자유가 없는 지구상의 특별한 나라가 되어 가고 있다.

  분당에 800억짜리 교회가 지어지고 있다. 부자가 천국에 가는 것은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보다 어렵다는 예수의 가르침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것인가. 개신교 세계 50대 교회중 44개가 대한민국에 있으며, 세계 10대 교회 중 7개가 대한민국에 있다. 규모와 신도수로 특정 종교를 비난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다만 이 책에서 언급한 특정 종교의 배타성이 인류 역사에서 초래했던 불행과 과오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우리 사회에서 종교의 역할에 대한 심각한 반성과 자성의 목소리가 필요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정치적 목적과 종교적 목적이 결합되어 자행되었던 지난날은 이대로 묻혀 가는 것인가?

  “다른 그 어떤 자유보다도 양심에 따라 자유로이 알고 말하고 토론할 수 있는 자유를 내게 달라” - 존 밀턴(John Milton), 본문 120페이지

  토머스 페인(Thomas paine)의 <인간의 권리(Rights of Man)>에도 이와 동일한 항의가 등장했다. “관용이란 불관용의 반대가 아니라 그것의 모조품이다. 그 둘 모두 독재이다. 하나는 양심의 자유를 억누를 권리가 있다고 자처하고, 다른 하나는 그것을 부여할 권리가 있다고 처한다.” - 본문 133페이지

  밀턴과 페인의 말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사상과 양심의 자유 혹은 관용과 불관용을 논하는 것 자체가 그 사회의 건강성을 역설적으로 반증한다. 우리 사회의 미래는 어떠해야 하는지 베리는 100년전에 설파했고 대부분의 문명 국가와 민주주의 국가에서 이미 끝나버린 논쟁들을 우리는 여전히 유효한 갈등 요소로 감싸고 있으니 부끄러울 따름이다. 지난해 종교의 자유를 외치며 학교를 상대로 외롭게 싸웠던 일, 양심적 병역 거부 문제로 매년 1천여명이 넘는 젊은이들이 감옥에 갇히는 일, 지금 현재 동국대 강교수에 대한 국가보안법 적용 논란 등은 우리 사회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내가 의지했던 권위와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생각들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 그 호두껍질처럼 단단하게 나를 깜싸고 있던 암흑의 세월들을 난 이제 믿지 않는다. 그 첫 단추는 부모로부터 학교로부터 채워진다. 지금 우리의 초등 교육은 어떠한가? 베리의 걱정은 아직도 유효한가? “너의 부모를 믿지 말라”는 말은 곧 “모든 것을 의심하라”는 말이다. 이 한마디에서 삶은 시작되고 나라는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이 촉발된다. 전도유망함의 제 1계명만이라도 제대로 가르칠 수 있다면, 그것을 배울 수 있는 학교가 있다면 진정한 행복을 배울 수 있을 텐데……

   우리는 모든 노력을 총동원하여 사상의 자유가 인류 진보의 원칙이라는 점을 젊은이들에게 각인시켜야만 하는데, 그러나 걱정스럽게도 이 일은 앞으로 오랫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다. 왜냐하면 우리의 초등교육 방식이 권위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 본문 274페이지

   “너의 부모를 믿지 말라”라는 말은 전도유망함의 제1계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들은 바를 권위에 의지하여 받아들이는 것이 어떤 경우에 정당하고 어떤 경우에 정당하지 않은가를 아이들 - 이제 막 이해할 만한 나이가 된 - 에게 설명해 주는 것은 반드시 교육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 본문 275페이지

 
200510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