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가을 하늘이 짙은 먹구름을 껴안고 있다. 차가운 가을비가 내렸고 아침 안개가 짙게 하루가 시작되는 날 사람들은 대부분 내일을 계획하기보다 과거의 시간을 더듬는 일이 어울린다고 생각할 것이다. 따끈한 커피와 감미로운 음악도 좋고 적당한 속도로 국도를 달리는 일도 어울리는 날이다. 시간을 여행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글쓰기다. 여전히, 살아야 한다면 글쓰기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유혹하는 글쓰기on writing>라는 스티븐 킹의 책에도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최근의 글쓰기에 관한 책들을 읽고 있는 중이지만 이 책은 가장 미국적이고 상업적이다. 우선 이 책은 소설 작법에 관한 실전 교범이라 할만하다. 모든 글쓰기는 동일한 측면이 있다. 그 원칙과 방법들에 대해서도 스티븐 킹은 가장 정확하고 쉽고 편안하게 설명해 준다. 그것은 곧바로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소설 창작론으로 연결된다. 먼저 단숨에 그의 글들이, 그의 책이 읽히는 이유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이 책의 구성과 문체가 놀랍다. 스티븐 킹은 먼저 ‘이력서’를 통해 자신의 유년시절과 작가로 살아가는 현재의 모습까지 솔직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연장통’을 통해 글쓰기의 도구인 어휘와 문법에 관해 명확하게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핵심인 ‘창작론’에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상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초보자가 범할 수 있는 오류들을 꼼꼼하고 알기쉽게 지적해 준다.

  소설을 써서 대중적인 작가가 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지침서로서 손색이 없다. 하지만 몇가지 염두해 둬야 할 문제가 있다. 우리 나라의 문단 실정과 상황, 출판계의 출판 관행들과는 동떨어진 그의 경험과 노력들은 우리에게 적용시킬 수 없다. 또한 <유혹하는 글쓰기> 자체가 또 하나의 소설이다. 솔직하게 쓰라거나 많이 읽고 많이 쓰라거나 혹은 쓸데없는 부사를 쓰지말고 연습을 게을리하지 말고 매일 쓰며 배경스토리는 중요하지 않다거나 대화를 쓸 때 독자가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주라거나 하는 등의 이야기는 상식선에서 알만한 내용들이다. 말하자면 스티븐 킹은 글쓰기에 관한 책도 이렇게 재미있고 흡인력있게 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듯한 느낌이 든다. 그의 글은 그만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그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지루하지 하게 하지 마라고 수없이 외쳤던 <네 멋대로 써라>의 데릭 젠슨의 외침부터 스티븐 킹의 가르침대로 많이 읽고 많이 쓰고 연습을 거듭하고 몇가지 유의사항을 염두에 두면 작가가 될 수도 있을 법하다. 하지만 그들은 작가의 역량에서 중요한 사실들을 언급하지 않은 느낌이다. 물론 처음 글을 쓰는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으로 가득한 이야기만을 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고 자신을 점검해 볼만 충고와 고언을 아끼지 말았어야 한다. 글은 아무나 쓰지만 모두 다 작가가 되는 건 아니지 않는가.

  무엇을 쓸 것인가, 나는 왜 써야 하는가, 나는 쓸 능력이 있는가 하는 아주 단순하고 근본적인 질문에 부딪히면 글을 쓸 수 없게 된다. 물론 이 문제를 해결해야만 글을 쓰겠다는 억지도 우습지만 고민하지 않는 글쓰기는 있을 수 없다. 자기 만족을 위해 스티븐 킹의 말대로 글쓰는 것 자체가 즐겁고 유쾌하며 행복해지기 위해서만 글을 쓸 수는 없는 것이다. 대중적 인기로 엄청난 판매량과 영화 판권등으로 돈방석에 앉아 40여권이 넘는 소설을 펴낸 작가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은 나름대로 의미도 있고 실전에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도 많지만 소설처럼 읽고 서너 마디를 기억할 정도 이외에는 남는게 별로 없다.

  <미저리>, <그린마일>, <쇼생크탈출> 등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의 원작자가 쓴 글쓰기에 관한 책에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앞서 언급한대로 재밌는 ‘소설 창작론’에 관한 소설을 읽은 느낌이다. 그것이 스티븐 킹의 의도였다면 이번에도 그는 성공했다. 가상 독자를 설정해 놓고 이야기를 진행시켜 나가는 데는 분명히 상업적 영향력과 판매부수를 염두에 둬야 한다. 킹 자신은 돈을 위해 글을 쓰지 않았다고 쓰지 말라고 말하고 있지만 그가 말하는 글쓰기 방식은 철저하게 자본에 기대고 있다. 물론 어떤 작가도 독자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누군가에게 읽힐 목적으로 글을 쓴다고 하더라도 킹이 제시하는 방법과 목적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글이라는 형식과 책이라는 매체에 대한 시선과 목적이 사뭇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책들이 요즘 재밌게 다가온다. 이태준의 <문장강화>처럼 철저하게 고답적인 방식의 글쓰기 강의가 있는가 하면 같은 소설가이면서도 문화적 토양과 시대가 다른 소설가의 글쓰기에 관한 견해는 많은 차이가 있다. 독자들은 다만 내가 목적한 글쓰기의 방향과 시선을 유지한 채 다양한 법들을 섭렵하고 내 몸에 맞는 옷과 펜을 고르고 써야겠다. 누구나 글을 쓰면서 살아가지만 모두가 다 작가가 될 필요는 없다. 내 글쓰기의 목적과 방향은 무엇인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는 대목이다.


200510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