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움과 상상력은 끝을 알 수 없어 행복하다. 독자는 늘 2% 부족하고 낯선 이야기를 기다린다. ‘傳冊論’을 내세워 세상에 있지도 않은 허황된 이야기로 선비들을 미혹케하는 ‘傳’은 읽지 말아야 하며, ‘冊’은 바른 이치를 깨닫게 해준다고 말했던 홍대용 등 조선 후기 성리학자들은 ‘소설 무용론’을 주장했었다. 그러나 아직도 가장 건재한 장르는 소설이다. 가장 널리 읽히는 책의 종류도 소설일 것이다. 이유는 단순하다. 재밌으니까.

  김현 선생의 말처럼 현실 원칙과 쾌락 원칙의 ‘금기’ 사이에서 갈등과 억압을 강요당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적절한 장르는 소설일지도 모른다. 아무리 미디어 매체가 발달한다고 해도, 소설의 위기가 도래했다고 엄살을 떨어도 활자화된 소설은 여전히 잘 팔리고 재밌게 읽힌다. 시대가 변하고 세월이 흐르면 또 다른 양상을 보일 지 모르지만 아직까지는 ‘여전히’라는 말을 사용해도 무방할 듯하다. 이렇게 소설이 건재한 이유는 천명관의 <고래>같은 소설이 끊임없이(?) 쏟아지기 때문이다.

  문학동네 심사위원들의 다소 과장된 주례비평에 손을 들어주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천명관이라는 걸출한 입담꾼이 탄생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기존의 소설작법이나 현대문학의 주된 흐름속에 몸을 담그지 않은 소설가의 탄생은 신선하다. 남진우와 신경숙의 결혼과 무관하게 지나친(?) 상업화와 문단 권력의 문제로 몸살을 앓았던 ‘문학동네’를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는다. 천명관은 <프랭크와 나>라는 단편 하나를 써서 문학동네 신인상을 받았고, 뒤이어 <고래>로 10회 문학동네 소설상을 받았다. 별로 권위있는 상은 아니지만 그 이유로 세상에 나온 책이다.

  <고래>는 내용이 형식을 압도한다. 소설은 글이 위주가 된다는 가장 기본적 상식을 뒤엎는 소설이다. 이 소설은 철저하게 입말 위주이다. 이문구 선생이나 박상륭 선생의 소설보다 철저하게 입말 위주의 소설이다. 판소리의 창자나 무성영화의 변사만큼 요설적 화자의 이야기에 독자들은 넋을 빼앗길 수 밖에 없다. 그 기괴하고 흥미진진한 이야기에 밥 때를 놓칠만큼 흥미롭다. 세상에 쏟아져 나온 그 수많은 엽기적인 이야기와 환타지와 무협지로 모자란 것이냐고 묻는다면, 또 다른 종류의 흥미라고 답할 수 밖에 없다. 무려 450페이지 달하는 두꺼운 장편은 단숨에 읽힌다. 화자의 화려한 스토리텔링만으로 지루함을 견뎌내기는 어려운 법이다. 각각의 이야기들이 씨줄과 날줄로 얽혀 탄탄한 서사구조를 이루어낸다.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현실 가능태의 문제나 ‘그래서 어쨌다는 거냐?’는 질문에 짤막한 대답 정도는 해 줄 수 있는 소설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에는 멈칫거릴 수밖에 없다. 어쩔 것인가 완벽한 소설은 세상에 존재하지도 존재할 수도 없는 것을. 그런면에서 <고래>는 분명한 성과와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잠 안오는 겨울밤 머리맡을 책임질만 소설로 손색이 없다.

  <총잡이>, <북경반점>의 시나리오를 쓰다가 소설을 써보라는 동생의 권유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는, 아직도 영화를 더 미쳐있는 소설가 천명관. 빚진 것도 책임질 일도 없기 때문에 보다 자유롭고 새롭고 낯선 이야기들을 들려 줄 것으로 기대한다. 적지 않은 나이에 세상에 소설을 내놓은 작가는 살아온 시간이나 쌓여온 세월만큼의 저력을 기대해 본다. 나이에 기대 작품의 수준을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미처 발산하지 못한 내공을 기대한다는 뜻이다. 두려움이 없다면 한없이 자유로울 수 있을 테니까 말이다.

  노파와 금복, 춘희가 보여주는 여인들의 삶의 과정을 전근대와 근대, 탈근대로 대표되는 시대 정신으로 읽어내는 것은 도식적인 책읽기가 될 것이다. 하지만 역사와 시대 정신을 무시하는 것도 하나의 축복이다. 진지하고 성찰적인 태도만이 소설의 태도가 아니라고 믿는다면 특별한 방식으로 세상을 해석하고 지나간 시간들을 우리에게 말해 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어차피 그것이 우리들의 이야기고 세상에 떠도는 이야기에 대해 질서를 부여하고 정돈하고 엮어내는 방식만을 달리했다는 겸손의 말을 하더라도.

  목적과 실용성을 묻지 않는 책읽기의 즐거움에 빠져 보고 싶다면 소설만을 고집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한 번쯤 푹 재미있게 읽어볼 만한 소설이다. 이제 시작인 소설가에게 작은 박수를 보낸다. 박민규와 구별되는 또 다른 소설의 재미를 기대해 본다.


200512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