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이여, 나뉘어라 - 2006년 제30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정미경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06년 1월
평점 :
몰입과 집착을 구별하지 못하고 질투와 배신을 구분하지 못하며 복수와 사랑을 혼돈하는 영혼이 존재한다. 알콜 중독자와 스토커의 공통점은 자신을 인정하려 들지 않고 모든 책임과 이유를 타인과 세계에 돌린다는 공통점이 있다. 예를 들어 그런 사람에게 잘못을 따질 수가 있느냐는 문제다. 과거와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 되는 ‘사랑’에 관한 스토리. 그 스토리의 변형은 무수히 많다. 알콜 중독자이며 천재 의사인 친구는 그 친구 때문에 자기 생이 달라졌다고 말한다. 그의 능력과 한 여자에 대한 사랑(?) 때문에? 식상한 스토리와 지루한 전개는 재미를 반감시킨다. 물론 내용과 형식을 꼼꼼이 뜯어 먹으며 갓 구운 식빵처럼 방금 나온 소설을 대하는 일은 나른한 행복에 속한다. 이제 한 세대를 마감하는 이상 문학상의 권위를 의심하는 것은 불손하다.
그러나 동의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판단이 보류된다. 대부분의 독자는 연초에 나오는 이상문학상 수상집을 1년간 한국문단의 소설에 대한 점검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나도 그중의 하나다. 내 손으로 산 책이 18권, 눈에 띠는 대로 주어다 꽂아 놓은 것이 3권이니 습관내지 중독처럼 매년 이상 문학상 수상집을 사 읽는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렇다고 매년 뛰어난 문학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 소설가 한 명 씩을 쏟아(?)내는 것도 쉽지는 않은 일일 것이다. 심사위원도 바뀌어 가고, 기수상작가 우수작이나 특별상도 사라졌지만 여전히 독자들의 시선은 이 한 권에 책에 보내는 기대와 믿음이 크다. 그러니 매년 즐거움과 실망이 교차한다. 문단 권력의 의한 나눠먹기 수상에 대한 의혹은 단순한 문학권력에 대한 의심이 아니다. 이인화의 수상으로 촉발되었던 시비와 문제제기는 조용히 사라졌지만 여전히 소설가들의 이력과 면면들, 수상선정 이유에 대해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정미경의 <밤이여, 나뉘어라>는 감동없이 진부하다. 여기서 진부하다는 것은 스토리다. 정제된 문체와 다듬어진 문장들, 탄탄한 구성과 주제를 이끌어내는 솜씨는 갈채를 보낼만하다. 그러나 내게 전해진 그녀의 소설은 신선하지도 않았으며 섬세한 감각의 날을 세우고 있지도 못하다. 완벽한 천재에 가까운 인간에 대한 열등감은 주인공의 욕망으로 대체된다. 타자에 대한 욕망은 곧 자신의 거울 역할을 한다. 가 본적 없는 북유럽의 환한 밤과 뭉크의 그림은 인물의 심리를 그려내고 삶의 진정성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가짜 절규’는 없다. 다만 뭉크의 절규가 떠난 자리에 오롯한 슬픔으로 남은 빈 자리에 액자가 걸렸던 자국만이 선명할 뿐이다. 무엇을 말하든, 방법만이 중요하다는 데 동의할 수 없다면 여전히 소설은 그 마음의 물결만 남는다. 천재의사의 치기에 가까운 몸부림은 개연성이 없다. 한 인간이 타자에 대해 품게 되는 욕망만으로 자신의 삶에 대한 보상심리를 드러내는 것도 작위적이다. 그럴 수밖에 없겠다는 동일시 된 감정과 오히려 엉성해져버린 필연성이 작가의 의도라면 할 말은 없다.
대상 수상작으로 심사위원들의 결선 투표를 벌였다는 전경린의 <야상록>에 한 표를 더해주고 싶다. 문예지에서 읽었던 김영하의 <아이스크림>은 다시 한 번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그밖에 김경욱과 구광본의 소설은 신선함을, 함정임의 ‘자두’는 지루함을, 윤성희의 ‘무릎’은 주목을 끈다. 소설적 성과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균등 배열되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안타까울 것도 아쉬울 것도 없다. 이렇게 또 1년이 지나갔다. 죽음을 향해 맹목적으로 달려가는 우리의 생이 아깝지 않다면 내년을 기다리면 그뿐이다.
누군가, 그렇게 말하였다. 모든 욕망은 타인의 욕망이라고. 스스로 욕망하지 않고, 타인을 욕망한다고. 또한 모든 욕망은 타인의 시선이다. 그렇게 누군가가 말했다. 타인의 시선 안에서만 나는 충만할 수 있다고. - 채호석, 작품론 - ''환의 절규''중에서
채호석의 작품론 서두 부분이다.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인간은 없다. 여기서 ‘타인’은 ‘타인들’로 복수의 개념일 것이다. 그러나 단 한 명의 ‘타인’의 ‘진실’을 외면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욕망’에 관한한 가장 잔인한 거울은 자신의 손에 들려있다. 거울을 보라. 그리고 내 욕망을 확인하라. 그것이 ‘타인의 욕망’인가 아니면 ‘스스로의 욕망’인가.
환한 밤을 여러 번 나누어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그대로 남는다. 뭉크의 절규가 한 작품이 아니?수없이 여러 개의 ‘절규’가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 안 순간에 한 번도 본 적 없는 그 수많은 ‘절규’들을 떠올리며 소름이 돋았던 기억이 난다. 동그란 눈과 입, 귀를 틀어막은 손보다 배경으로 꿈틀대?그 암울함이 오래 기억에 남았던 뭉크의 첫 ‘절규’를 그 후로도 오랫동안 기억했다. 좋아하는 그림이 아니라 각인된 그림이라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마라의 죽음’을 보여 느꼈던 그 선명한 피의 냄새는 오히려 순수해 보였다. 언어예술의 정점에서 문학은 언제나 인간의 상상력과 감성을 극대화시킨다. 보다 좋은 풍부하고 다양한 소설들을 기다리는 독자들의 마음은 한결같다. 아낌없는 갈채를 보낼 수 있는 작품을 기대하다가 써보겠다고 덤비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060206-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