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산문답 - 개혁을 꿈꾼 과학사상가 홍대용의 고뇌
홍대용 원저, 김영호.이숙경 지음 / 꿈이있는세상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18세기 조선의 임금은 영조와 정조였다. 왕조 중심의 역사에 익숙하기 때문에 우리는 한 인물에 대해 살펴 볼 때도 임금부터 확인한다. 나만 그런가? 당시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확인하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 인물의 생애와 사상에 영향을 미친 결정적 사건을 찾아내는 일보다 그러한 토대를 제공한 상황이 궁금한 것은 당연하다. 18세기 조선은 이앙법으로 토지의 단위 면적당 수확량이 증가했으나 백성들에게 그 혜택이 돌아가지 않았고, 중국을 통해 자연 과학적 지식이 조금씩 전파 되고 있었다. 자연스럽게 유랑민이 발생했으며 상업 자본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자연스럽게 자본과 권력이 결탁되고 신분 질서가 와해되기 시작한다. 예송 논쟁 등 그야말로 쓸데없는 소모적 권련 다툼이 이어지고 정조의 탕평책이라고 하는 개혁은 정약용 일가 등 천주교도에 대한 비교적 관대한 태도로 이어지지만 오히려 정조 사후 신유박해 등 피바람을 몰고 오는 원인이 된다. 기득권 세력에 대한 변화와 개혁의 시도는 그 어떤 혁명보다도 어려운 법이다.

담헌 홍대용은 이런 시대에 태어난 사람이다. 1731년에 태어난 홍대용은 18세기 실학자로 기억된다. 이덕무나 유득공, 박제가처럼 서자 출신도 아니고 노론 집안에서 태어나 출세가 보장된 그의 관심은 엉뚱한 곳에 있었다. 노나라 공자의 유학이 주희의 성리학으로 굳어지면서 조선 사회는 철저하게 성리학적 이념이 통치의 근간이 된다. 이것은 조선 사회 전반에 걸쳐 백성들을 다스리는 이념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생활 태도와 사상적 근간이 되어 올가미처럼 벗어나기 힘든 것으로 만든다. 성리학에 대한 근본주의적 태도는 시대의 변화와 흐름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가진 자들과 권력층의 기득권 옹호를 위한 전가의 보도가 된다.

홍대용의 기본 사상은 성리학에 대한 비판적 견해와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그의 사상의 단면을 확인 할 수 있는 책이 바로 <의산문답醫山問答>이다. 음직으로 40세가 넘어 관직에 나갈 때까지 홍대용은 치열한 현실 정치와 거리를 둔 채 세상의 이치와 만물의 원리에 관심을 갖는다. 그가 보인 관심은 당연히 고정된 틀에 사로잡힌 조선 사회의 모순이다. 정확하게 문제를 짚어내고 대안을 제시한 해결사의 모습을 보이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는 그를 혁명가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그만한 인물을 18세기 가질 수 있는 행복을 우리는 누리지 못한다. 동시대 인물인 박지원이 시대를 주유한 ‘유목민’으로 명명될 수 있을지 몰라도 시대를 온몸으로 거스른 실천적 지식인을 찾을 수는 없다.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살펴 보면 당연한 일이라고 자위할 수밖에 없다. 어쨌든 홍대용은 18세기 북학파 혹은 실학파의 대표 주자로 손색이 없는 인물인 것만은 틀림없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를 대표할 수 있는 특징은 종교에서 이성으로의 변환이다. 인간의 이성이 사물의 기준과 가치 판단의 근거가 된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과학과 기술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으로 이어진다. 관념론적 세계관으로 이해되지 않는 유물론적 세계관이 펼쳐지는 것이다. 물론 두 세계의 합종연횡은 이후 끊임없는 논쟁과 연구가 지속되지만 그러한 사유가 시작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18세기는 의미 있는 시대였다. 홍대용의 사상적 전환은 중국 방문에서 연유한다. 35세에 6개월간 북경에 다녀온 홍대용은 자연과학에 더욱 지대한 관심과 열의를 갖는다. 그러한 사유의 증거가 바로 이 책 <의산문답>이다.

허자虛字와 실옹實翁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내세워 홍대용은 기존의 통념을 명쾌하게 박살낸다. 이미 이름에서 감지하듯이 ‘허자’는 지금까지 가졌던 그릇된 지식과 사물에 대한 가치를 깨닫게 된다. ‘실옹’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통해. 헛된 것들로 가득 찬 ‘허자’와 실재적인 것들로 무장한 ‘실옹’의 대화는 ‘허자’의 깨달음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풍자된다. 우회적이고 애매한 태도가 아니라 직접적이고 통렬한 방법으로 허자를 꾸짖는 실옹의 목소리는 바로 성리학을 신봉하는 유학자들에 대한 홍대용의 비판의 목소리로 들린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듯이 동양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했다는 단편적인 사실을 확인하는 책이 아니라 홍대용이 지니고 있는 사물에 대한 혹은 세계관 자체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과 ‘패더다임의 변환’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하는 책이다. 18세기에 이런 주장과 생각들이 탄생할 수 있었던 당시의 현실과 그와 사상적 교류와 친분을 나눈 동시대 인물들에 대한 관심과 비교는 한층 더 흥미진진한 일이 될 것이다. 박지원과 정약용은 물론이고 북학파의 저작과 사상에 대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생긴다.

겨우 250여 년 전 급격한 사회 변동이 일어나기 직전의 홍대용의 사상은 <의源??이라는 저작을 통해 그 단초를 제공한다. 19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근대’와 그 이후 ‘탈근대’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살펴보기 전에 그 변화의 조짐들을 읽어내는 일은 나름의 의미를 지닌다. 짧은 내용에 중간 중간 해설을 덧붙이고 쉬운 말로 번역해 놓은 책이라서 원문과 멀어진 단점이 있고 해설 자체가 일반적이고 평범한 내용의 반복이라서 다소 지루한 느낌이 든다. 중간에 삽입된 해설 때문에 전체 내용의 흐름에 맥이 끊기기도 한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획된 책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편안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볼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의도가 좋은 결과를 낳는 것은 아니다. 출판사의 좋은 기획과 출판 의도가 좀 더 완성도 높은 책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060509-0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