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자 이야기
조경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와 세상과의 거리는 얼마나 될까?

“토론과 논쟁에 자신이 없다면 상대방의 인신을 공격하라!”는 세네카의 일갈은 토론과 논쟁에 대한 반어이자 역설이다. 상대의 인격을 모욕하거나 인신 공격을 시작하는 순간 게임은 끝난다. 자신의 패배를 인정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세상을 살다보면 그런 일이 있다. 신념과 주관대로, 마음이 시키지 않는 일에 대해 굽히느니 차라리 부러지는 편이 낫다는 생각 자체가 자괴감을 가져 올 때가 있는 법이다. 산다는 일은 역시 녹록치 않으며 옳고 그름은 항상 법의 잣대 이전에 주관의 잣대로 모든 것이 재단된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느낌이 들 때 소설은 어떤 힘을 가지고 있는지 회의한다. 조경란의 <국자 이야기>는 나와 세상과의 이야기다. 나와 또 다른 나의 이야기는 문학에서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 되어 왔기 때문에 새로울 것도 없고 참신하지도 않다. 그렇다면 하늘아래, 아니 문학에 새로운 것이 남아 있기는 한 걸까? 없다고 한다면 그것을 드러내는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 조경란의 <국자 이야기>는 나와 ‘타자’의 이야기다. 여기서 타자는 내 안의 또 다른 나이며 가족이며 타인이다.

이 ‘타자’와의 불화가 소설의 모티브가 된 것은 하루 이틀의 이야기가 아니다. 다만 그것을 풀어내는 방식과 ‘타자’와 나와의 관계나 밀도가 문제일 뿐이다. 조경란은 <국자 이야기>에서 기본적으로 내 안의 나와의 만남을 이야기하기 위해 가족을 이야기한다. 아버지와 엄마와 동생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나는 봉천동에 산다’와 ‘난 정말 기린이라니까’, ‘잘 자요, 엄마’는 부모와의 관계를 풀어낸다기 보다 가장 가까운 곳에서 거주하는 인간에 대한 관찰을 보여준다. 그것은 봉천동이라고 하는 특정 장소에 얽힌 일화들이 뒷받침되어 사실감을 더해 준다. 현실 속에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사물과 사람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나를 발견하는 일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이 가족의 범위를 연장하면 ‘국자 이야기’의 외삼촌과 조카로까지 확대된다. 신체의 일부와 같은,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국자로 상징되는 외삼촌의 이야기는 타자와 구별되는 특징을 저마다 하나씩 가지고 있을 법한 현대인의 상징으로 비춰진다. ‘돌의 꽃’이나 ‘100마일 걷기’ 그리고 ‘입술’과 ‘좁은 문’을 하나의 범주로 묶을 수는 없으나 사람과 사물들 사이의 관계들을 통해 ‘나’를 확인하는 과정과는 사뭇 다른 양상의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소설의 말미에 해설을 부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없으나 안읽은 적도 없다. 손정수는 조경란의 이 소설집을 ‘나를 이야기하는 칼리그람으로서의 글쓰기’라고 명명했다. 칼리그람은 부분을 보면 전체를 볼 수 없고 전체를 보면 부분을 확인할 수 없는 점묘화와 같은 기법이다. 예를 들어 무수히 많은 龍자를 써서 용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멀리서 보면 용을 그린 그림이지만 수많은 ‘龍’이라는 글자는 확인할 수가 없다. 글자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에서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조경란이 ‘나’를 이야기하는 방식이 이와 유사한 방식이라는 평론가의 글에 공감할 수 없으나 전체적인 그림이 틀린 것도 아니다. 모더니즘 계열의 난해한 소설은 아니지만 사건 중심의 감상적 소설이 아니기 때문에 ‘재미있게’ 읽었다고 말할 수는 없겠다.

이전과 이후를 조금 더 살펴 볼만한 흥미로운 작가다. 소설을 읽는 재미가 타인의 생을 들여다보고 내 생을 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한다면 색다른 방식을 경험할 수 있는 소설이다. 또한 차라리 철저하게 개인에게 매몰된 자세와 태도가 타인에게 훨씬 효과적인 화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어설픈 감상과 불완전한 몰입이 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 면에서 조경란의 소설은 주목할 만하다.

미친듯이 세차게 퍼붓는 휴일 저녁의 비도 언젠간 그친다. 어느 시인의 말처럼 그 때 내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해 보는 것뿐이다. “몇 번이라도 좋다. 이 끔찍한 생이여, 다시 한 번!”이라고 외칠 정도의 애착은 없지만 인간에 대한 애정 이 전에 세상에 대한 애정부터 가져 볼 일이다. 책을 읽는 행위 자체에 대한 자괴감을 지울 수 없는 밤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자기 합리화를 넘어 그것이 내 한 부분을 지킬 수 있는 힘이라면!


060717-0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