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는 정말 암흑기였나 살림지식총서 25
이경재 지음 / 살림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 대한 평가가 궁금해질 때가 있다. 아니, 평가가 궁금한 게 아니라 도대체 어떤 시대인지가 궁금하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 대한 객관적 안목에 대한 답은 모두 역사 속에 숨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나간 시대에 대한 편견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잘못된 역사 인식에서 비롯된다. 그 인식의 힘은 물론 교육에서 출발한다. 학교에서든 사회에서든 특정 시대에 대한 오해와 편견은 쉽게 바뀌지 않는 규정을 지어버린다. 그것이 자연스럽게 바뀌거나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두 번째는 시대를 관통하는 사상의 흐름이다. 여기에는 문화와 종교, 철학과 예술 등의 요소들이 포함되지만 그것을 하나로 묶어내는 위험을 무릅쓴다. 한마디로 시대를 정의하는 일은 그만큼 어렵고 위험하기까지 하다.

중세에 대한 우리들의 오래된 편견은 ‘암흑’이다. 중세는 암흑의 시대다라는 편견이 많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이유는 그렇게 배웠기 때문이다. 일단 그렇게 외웠고 배경에 대해서 심각하고 깊이있게 고민해 본 적이 별로 없다. 그래서 이경재의 <중세는 정말 암흑기였나>라는 책은 당연한 명제에 대한 문제제기로 보인다. 하지만 그 당연한 문제제기가 논쟁적이거나 설득력있게 진행되고 있지는 못한다.

중세는 주지하다시피 종교와 철학의 문제 그리고 신과 인간의 문제로 요약된다. ‘안다’와 ‘믿는다’는 철학과 종교의 특성을 대비하는 표현이 될 것이다. 아는 것과 믿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며 또한 결합적인 문제이다. 믿기 위해 알아야 하고 그 믿음을 확신하기 위해 철학이 필요한 시대를 우리는 보통 ‘암흑’이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신 중심의 사회에서 인간의 존엄성은 당연히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 신의 이름으로 자행된 부정과 비이성적 교리의 힘은 해석 당사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변의 진리 행세를 했던 것이 사실이다. 어쩌면 종교의 이런 부정적 측면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인간의 자유와 개별적 존재로서의 존엄성을 존중받게 된 것은 중세 이후이다. 과학적, 합리적 사고가 가능하게 된 것은 전지전능한 신에 대한 모욕이며 도전이었을 것이다. 이런 시대의 특징을 우리는 ‘암흑’이라고 부른다. 물론 시대적 가치와 사상을 외면한 채 현재적 관점에서 지나간 시대를 재단한다는 것은 정말 위험한 일이다. 하지만 시대가 달라져도 변하지 않는 인간의 기본적인 가치가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쉽게 지나가버린 시대 상황을 탓할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그런 의미에서 중세라는 불분명한 시대를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암흑의 시대’라고 명명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시대구분조차 모호한 인문학적 시대구분을 논의의 중심에 놓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위험한 것일 수도 있다. 중세에 대한 관심은 단순한 역사 시대 구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이전 시대와 이후 근대와의 연결 고리를 찾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겠다. 모호한 시대구분과 성격은 지금 이 시대를 규정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어떤 시대적 특징이 곧바로 그 시대를 새롭게 할 수 있는 힘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거시적 관점에서, 혹은 미시적 관점에서 한 시대를 바라보는 일은 우리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다만 지금까지의 논의처럼 단순하게 한 마디 말로 규정 지을 수 없는 복잡성에 대해서 반성하는 태도는 바람직하다고 본다.

인류의 문화와 인간의 삶이 발전(?)하고 있다면 개인의 인권과 사상이 존중받고 이성과 합리적 사고가 존중받는 시대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면 단순한 비교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 나가야 할 새로운 가치 속에서도 중세는 분명 ‘암흑’이라는 색깔을 쉽게 벗어던지지 못할 것이다. 그것에 대한 반론과 반성은 의미있는 일이지만 단순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라는 호기로운 목소리로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중세의 철학적 토대와 인간의 의식을 고찰한다고 해서 그 시대를 ‘암흑의 시대’라고 볼 수 없는 이유가 자연스럽게 밝혀지는 것은 아니다. 먼 미래에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를 또 다른 의미의 ‘암흑’이라고 부를지 알 수 없는 것이다.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와 생활의 방식은 인간 개개인의 인권과 행복이 어떤 형태로 비쳐질지 알 수 없다. 역사에서 객관적인 시각이란 애당초 불가능하다는 전제하에 보다 다양한 시선과 관점으로 시대를 바라보는 노력과 고민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싶다.


060828-0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