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 - 철학 논고 비트겐슈타인 선집 1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지음, 이영철 옮김 / 책세상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정말 아주 사고하고 단순한 이유 때문이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그것인데 철학에 관심을 갖는다고 해답을 얻을 것이라는 헛된 희망을 가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사유의 실마리들을 끊임없이 제공하는 것만은 사실이다. 개인의 존재에 대한 수많은 질문과 대답 속에 그리고 그 논의들 속에서 나의 의미를 찾는다는 것은 어쩌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내게 중요한 것은 그 과정이다. 산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거나 발딛고 살고 있는 현실과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고민은 영원할 것이다. 철학책을 읽는다고 해서 철학적 인간이 되는 것도 아니고 철학적 사고를 하게 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저 사유의 단초들을 발견하고 고민하고 또 다른 시선과 관점들을 익혀가는 과정일 뿐.

우선 모든 인간에게 우선되는 조건은 언어이다. 언어가 존재에 우선한다. 서양철학에서 언급하는 ‘존재’라는 용어에 대한 회의와 불가해함에 대한 논의도 많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존적 인간에 대해 부여된 의미를 개인의 존재라고 이해하고 있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아직도 이해하지 못했다. 어쨌든 한 개인의 존재는 언어로 표상된다. 언어로 생각하고 말하는 인간은 그 자신의 언어의 한계 안에서만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게 된다. 나는 이것이 두렵다. 내 존재의 한계는 언어라는 사실이. 이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한 개인의 존재는 언어로 규정된다. 사르트르의 말대로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철학이 걸어왔던 수많은 시행착오와 인류의 사유의 역사 속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또 하나의 철학자일 뿐일 수도 있다. 그의 독특한 이력과 천재성이 유감없이 발휘된 논문들이 그의 의미를 과대 포장하거나 그의 인식의 틀을 왜곡할 가능성이 있다. 나같은 문외한에게 그는 더욱 그러한 존재다. <비트겐슈타인은 왜?>라는 책을 통해 캠브리지 대학교수시절 칼 포퍼와의 ‘부지깽이 스캔들’을 알게 되었다. 단순한 대가들의 논쟁이 아니라 비트겐슈타인의 인간적인 측면과 그의 삶을 처음 접했던 책이다. 그렇다고 해서 20세기 언어 분석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의 사상을 이해할 수는 없었다.

책세상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선집이 출판되고 1권 <논리-철학 논고>를 여러번 만지작거리다 내려놓았다. 이해할 수 없는 책에 대한 두려움과 안타까움이 뒤섞인 심정이었다. 쓸데없이 대가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거나 경외감을 느낄만큼 감정적인 인간은 아니지만 책값은 아까울 수 있는 법이다. 본문은 겨우 100페이지 밖에 되지 않는 이 책을 집어 들고 한 줄 한 줄 조금씩 읽어 나갔다. 언어의 한계에 부딪혔지만 사유의 단초들을 읽어낼 수 있었다. 5, 6절의 논리 관계와 함수는 전혀 이해되지 않았지만 사물과 세계에 대한 분석과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선언들은 오래오래 그리고 천천히 생각해 볼만한 부스러기들을 건졌다.

한 사람의 철학자의 대표적인 논문 한 편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이후에도 그의 책들을 몇 권 더 읽어 보고 싶은 호기심과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큰 수확이다. 그가 머리말에서 “도대체 말해질 수 있는 것은 명료하게 말해질 수 있다 ; 그리고 이야기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우리들은 침묵해야 한다.(P. 15)”고 말한 명제에 대해 절대적인 신뢰와 동의를 보낼 수는 없다. 나중에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논리를 수정했고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된다.

1918년 완성된 초고가 러셀의 서문을 달고 1921에 출판되기까지 비트겐슈타인의 논문은 인정받지 못한다. 그가 스스로 러셀의 서문을 읽고 동의하지 않다가 나중에는 러셀에게 출판에 관한 일을 일임하게 된다. 우여곡절 끝에 출판된 논문은 독일어로 쓰였다. 역자 이영철은 독일어의 모호한 의미나 어휘의 번역이 독자의 오해를 불러 일으킬만한 부분에 대해 적절한 역주를 달아놓았다. 적절한 곳에 적당한 설명이 책을 읽는 데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분명한 것은 이 책을 돋보이게 한다.

<철학적 탐구>나 <문화와 가치>를 더 읽어 보아야겠지만 이렇게 짧은 문장과 명확한 논리로 자신의 철학적 주제들을 밝혀내는 일은 결코 쉽게 판단할 수는 없어 보인다.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에 대한 분석과 탐구가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비트겐슈타인이 시도한 방법은 냉정한 이성의 칼 끝을 대하는 느낌이었다. 1절부터 마지막 7절까지 하위 분류 체계에 의해 명확한 논리와 정확한 언어로 풀어내는 과정들에 대한 분류를 철학적 범주로 나누어 놓은 철학자들의 분류법이 어떠하든 한 편의 글이 지니는 파괴력과 현대 사상에 끼친 영향은 놀라울 뿐이다.

  7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 마지막을 장식하는 문장이다. 어찌보면 이렇게당연한 이야기들을 우리는 일상에서도 지키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싶다. 이성과 감성의 혼합체인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과 세상에 대한 해답을 동시에 내 놓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 무수한 말을 늘어놓는 사람들에 대한 그의 선언은 깊은 여운을 남긴다. 그렇다면 말할 수 있는 것들의 한계가 내 존재의 한계란 말인지 아직도 확실치 않다.


060901-0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