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170
토머스 S.쿤 지음, 김명자 옮김 / 까치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패러다임 [paradigm]
[명사]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


네이버 백과사전의 설명이다. 그리스어에 어원을 두고 있는 이 말의 뜻이 궁금해서 책을 들었다. 간접적으로만 접했던 개념의 원전을 찾아 읽는 일은 쉽지 않다. 얼마간의 지루함과 고단함을 견뎌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물론 의외로 감탄할만한 책을 만나기도 하지만 지루한 고역이 될 때도 있다. 간단한 백과사전식 설명으로 이해되지 않는 개념이 책을 통해 명확하게 전달될 때 느끼는 기쁨은 어디에도 비교할 수 없다. 책읽는 재미와 즐거움은 다양한 형태로 나에게 전해진다.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는 긴 설명이 필요없는 현대적 의미의 고전이다. 침작하게 정신을 집중하고 읽을 만큼 어려운 내용의 책은 아니다. 다만 과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가 필요한 책이라서 1969년에 ‘추가’한 부분의 내용 중 일부 해독불가한 부분이 있다. 그러나 저자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은 ‘에세이’다. 그래서 일단 일반인의 입장에서도 개론서를 대하는 태도를 갖출 필요는 없다. 과학과 철학의 만남으로 요약할 수 있는 이 책의 의미는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야 할 것 같다.

‘패러다임’의 개념은 그 자체로도 논쟁거리였지만, 이 책에게 쏟아진 숱한 찬사와 비판은 그만큼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초판이 1962년에 이후 과학사학자들이나 과학철학자들 뿐만 아니라 인접 학문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이 책은 글자 그대로 패러다임의 전환이었다.

코페르니쿠스나 라브와지에를 비롯해 아인슈타인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혁명 전사들의 이름은 화려하게 빛나고 있다. 그들은 기존 과학의 연구방법과 태도, 이론들을 점진적으로 개선한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면서 전체 틀을 바꿔 놓았다. 저자는 기존의 과학 방법론을 ‘정상과학normal science’라 명명하고 이것이 점차 도전받고 오류를 감지하기 시작하면서 완전히 폐기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과학의 혁명으로 보았다. 저자의 이러한 생각들이 ‘패러다임’이라고 하는 용어를 통해 개념화되면서 뚜렷하게 설명되고 독자들에게 인식시키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결국 이 책을 읽고 난 후에도 패러다임의 명확한 범위와 한계가 보이질 않는다. 저자 스스로도 이것이 ‘패러다임’이다라고 규정할 수 없는 부분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간단한 이론처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과학과 철학이 만난 자리에는 사유의 연장만이 남는다. 명쾌한 결론을 기대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어쨌든 이 책은 ‘과학’이라는 학문 분야에만 적용될 수 있는 특수한 개념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쉽게 밝혀진다. 사회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과 성찰로부터 비롯된 토마스 쿤의 사유는 결국 과학을 넘어선 자리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책이 출판된지 40여년이 흐른 지금은 오늘 아침 뉴스에서도 ‘패러다임’을 들먹이는 기자의 목소리를 들을만큼 일반명사처럼 사용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의 부부과학자가 ‘면역체계 원리’를 규명했다고 한다. 이것은 과학의 패러다임을 전환한 것이라는 평가를 하는 기자의 말이 새삼스럽다.

문제는 이런 원리와 관점들이 쉽게 익힐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사유를 통해서만 완성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학문을 대하는 기본적인 태도와 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반성이 필요하다. 과학혁명의 구조를 들여다 보는 것은 당연히 역사적인 통시적 관점에서만 의미가 있다. 과거의 역사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수많은 지혜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사유의 틀을 제공하고 새로운 용어를 공론의 장으로 이끌어 낸 것이 저자의 가장 큰 역할이었다고 할 수 있다.

현실에 매몰된 근시안적인 시선으로는 절대로 가질 수 없는 폭넓은 시야와 전체를 통찰할 수 있는 안목이야말로 저자와 이 책을 높이 평가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된다. 전체 13장으로 되어 있는 짧은 분량의 책이지만 당시의 상황에서는 당연히 큰 반향을 불러왔을 것이다. 지극히 당연한 질서들 속에서 무언가 문제를 발견하고 그것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은 커다란 용기가 필요하다. 쿤이 과학혁명을 주도했다는 말이 아니라 거대 담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던 깊이와 넓이는 다양한 학문 영역에 대한 독서와 토론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최근에 인문학의 위기에 대해 새삼스럽지도 않은 이야기들이 오고간다. 중요성을 알지 못하는 것과 알면서도 외면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세상을 바라보는 나의 좁은 시선을 1mm쯤 확장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끊임없는 성찰과 모색만이 상을 바꿀 수 있다는 긴 안목을 머리로가 아니라 발로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 된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우리는 지금 내 삶의 패러다임을 뒤흔들만한 혁명을 준비하고 있는지?


061020-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