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효의 글쓰기 만보 - 일기 쓰기부터 소설 쓰기까지 단어에서 문체까지
안정효 지음 / 모멘토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어는 인식의 한계를 드러낸다. 말은 곧 사람됨을 규정하고, 글은 곧 그 사람 자체를 나타낸다. 말과 글은 다르다. 발화 의도와 글을 쓰는 목적이 같더라도 전달 방식과 매체가 다르기 때문에 전달 효과도 다르고 결과도 다르다. 물론, 글은 말보다 어렵다. 그래서 사람들은 글보다 말을 좋아한다. 그래도 쓰지 않고 살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점점 줄어든다. 그래서 글은 말보다 점점 진해진다.

글쓰기를 가르칠 수 있을까? 그렇다면 글쓰기에 답이 있다는 말이 된다. 일차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글쓰기는 가르쳐야 하겠지만 문학적인 글쓰기는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를 배우려는 이유를 알 수 없다. 끊임없이 노력하고 꾸준히 써라. 한 마디 말로 끝내 버릴 수도 있을 것 같은 글쓰기에 대해 오랫동안 소설을 써온 작가의 말에 귀 기울여 본다.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는 정말 만보다. 만보는 한가롭게 거닐다는 뜻이다. 글쓰기를 배우기 위해서는 속보가 불가능하다. 오랜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며 꾸준한 훈련이 뒷받침 되어야 하고 지속적인 노력과 열정이 보태져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에 대한 가르침이 이미 제목에 숨어 있다. 단권의 책으로 대가의 반열에 오른 작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로또 복권보다 어려운 확률에 도전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만한 문학적 재능과 역량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런 종류의 책을 거들떠보지도 않을 것이다. 문학에 대한 작은 관심과 소설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소일거리 삼아 읽어볼 책이다.

한 작가의 창작론은 사실 지루하기 짝이 없다. 한 사람의 연애 이야기처럼 자신에겐 목숨처럼 소중했지만 남들에겐 따분하고 재미없는 이야기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특별하다고 해서 모두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시중에는 글쓰기에 대한 책이 넘쳐나는 이유는 배움의 열망이 그만큼 뜨겁다고 볼 수 있다.

520여 페이지로 구성된 이 책은 일단 분량 초과다. 작가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나중에 보태진 넷째, 다섯째 마당은 사족이다. 알면서 보탠 이유는 무언가? 유명 작가된 이후의 몸가짐과 태도까지 충고하고 있는 부분은 애써 눈감으려 해도 지루한 잔소리에 불과하다. 실질적인 글쓰기에 관한 셋째 마당까지는 소설가로서 150여권의 책을 번역한 번역가로서, 그간의 노하우를 나름의 방식대로 자연스럽고 알아듣기 쉬운 말로 풀어낸다. 학생을 지도하듯 편안하고 직설적인 어법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돌려 말하거나 어려운 어휘, 전문 용어가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고개를 끄덕이며 안정효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게 된다. 초보자들이 겪게 되는 실수와 놓치기 쉬운 부분들을 짚어 주고 반드시 지켜야할 수칙들을 꼼꼼이 일러준다. 자상하고 친절한 안내자의 역할을 하고 있어 소설을 써보고 싶은데 딱딱하고 이론적인 이야기만 늘어놓은 책들을 보며 한숨지었던 독자들에게 제격이다.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와 가장 닮은 책이다. 제목이 ‘글쓰기 만보’지만 사실은 ‘소설쓰기 만보’이다. 문학적인 글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도 아니고 산문에 국한된 특히 소설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들려주는 실전 비법에 해당된다. 정규 코스를 거쳐 형식과 틀을 갖추어 나가는 방식의 이야기가 아니라 자세와 방법이야 어찌됐든 경기에 이기는 훈련만을 요구하는 거리의 허슬러처럼 여겨진다. 재밌고 유쾌한, 감동적이며 치밀한 소설 쓰기는 문학에 대한 이론과 문법보다도 실전에 관한 수많은 조언과 지침들이 피부에 와 닿는다. 그래서 이 책은 야전교범이라기보다 선임병들의 직접적인 조언처럼 훨씬 실감나게 다가온다.

대부분 외국 작가들의 낯선 소설들을 예문으로 들어 실제 적용 문제에 있어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고 지나치게 긴 예문과 동어 반복에 해당되는 설명들이 긴장감을 떨어뜨리는 흠으로 볼 수 있다. ‘만보’라는 제목으로 그 모든 단점들이 다 가려질 수는 없다. 스스로 독자들에게 말했듯이 좀 더 탄탄하고 치밀한 내용의 구성이 아쉽다. 소설이든 아니든 독자들은 그렇게 한가하거나 여유있게 즐길만한 여유가 없을 수도 있다.

데릭 젠슨의 <네 멋대로 써라>나 나탈리 골드버그의 <뼈속까지 내려가서 써라>보다 후한 점수를 주기는 힘든 책이다. 이태준의 <문장강화>와 같은 이론적 체계적 글쓰기 책이 아니라면 좀 더 간결하고 인상적인 몇 가지 패턴이나 기법들을 전수해줬으면 하는 것은 개인적인 바람일까? 이 책을 읽는 모든 독자들이 소설가를 꿈꾸는 것은 아니다. 작가들의 힘겨움과 노력, 열정과 한숨을 배우는 것도 이 책을 얻게 되는 덤이다. 한 권의 소설을 읽으면서 소설뿐만 아니라 작가의 땀과 눈물까지도 읽어 낼 수 있다면 더없이 행복한 독서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런 의미에서 접근한다면 읽을 만한 글쓰기에 관한 이야기이다.


060910-1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