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신영복선생님의 '강의'를 읽다가 문득문득 인용했던 이 책의 초판이 나온것이 벌써 17년쯤 전이라니. 88년에 난 고3이었다. 통혁당 사건으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특별 가석방으로 20년 20일만에 출소하신 분의 글들을 다시 읽는다. 사적 체험과 인식의 폭이 같은 책을 다르게 만드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스무살 무렵 이 책을 건성으로 읽을 때와의 느낌은 완연히 다르다. 69년 1월부터 88월 8월까지 감옥에서 쓴 글들을 읽어나가며 참 많은 생각을 했다.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감옥에 들어가 고3이 되던 해 여름 출소하실 때까지의 글들을 읽으며 그 끝에 적혀 있는 날짜를 답답하게 헤아리고 있었다. 마치 내가 수감된 사람처럼 88년의 여름을 기다리듯이... 3공화국 박정희를 거쳐 전두환, 노태우까지. 검열될만한 내용이 전혀 없고 그저 개인적으로 부모님과 형수, 계수에게 보내는 엽서 형식의 글들이다. 어찌보면 참으로 개인적이고 공감할 수 없는 내용들이다. 하지만 칼날같은 인식의 힘으로 그 긴 기간을 한결같이 꼿꼿하게 버텨내는 이성의 힘은 차라리 두렵기까지 하다.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삶이란 무엇인가? 세상살이에 대한 나약함과 안이함이 생활속에 스며들때 찬 얼음물같은 글들이다. 타인의 불행을 거울삼아 내 행복을 감사하게 여기자는 단순한 논리 이전에 두고두고 새겨 볼 이야기들이다. 인간과 인간에 대한 애정과 스스로에 대한 치열한 연찬. 그것은 긴 시간이 주어져 있고, 자유가 주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면 누구나 가져야하는 삶의 자세라고 얘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선생님의 글들이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내 생활을 돌이켜 보고 어줍잖은 힘겨움과 고통에 대해서 얘기하지 않기로 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처럼 삶에 대한 태도와 자세를 돌아보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무엇을 할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이 해답없는 문제에 대해 다시 고민 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

세상이라 이름 붙혀지 더 큰 감옥에서 생활하고 있는 나의 모습을 본다. 자유로운가? 어디가 감옥이고 어디가 세상인가? 스스로 만든 마음밭의 감옥속에 갇혀 사는것은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