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적 모순이란,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신호입니다. - 1, 19

 

다만, 비율의 문제일 뿐 사람은 이성과 감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만나는 사람에 따라,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른 태도를 보일 뿐이다. 물론 같은 일을 해도 일을 하는 방식에 차이가 나기도 한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나 의견을 모아야 하는 일은 합리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수많은 사람들의 서로 다른 생각을 조율하고 거기에 감정적 판단까지 끼어들 때 당신이 선택하는 첫 번째 기준은 무엇인가. 자신에게 돌아올 이익? 공동체 전체의 발전? 그 둘이 상충한다면?

 

전근대적 사고방식은 다름 아닌 우리가 남이가’ ‘가족 같은등등의 구호를 내세우는 인정에 호소하는 오류에서 비롯된다. 세상 일이 어찌 칼로 자르듯 처리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기본적인 태도와 기준조차 세워지지 않은 채 인간관계에 따라 처리하거나 어떤 일인가가 아니라 누군가에 따라 달라진다면 어떨까. 분위기 좋고 화기애애하다는 명목아래 갈등이 없는 조직 같지만 사람들이 가진 생각은 제각각이다. 말하지 않을 뿐 목소리 큰 몇몇 인간들이 떠드는 소리를 외면하거나 자신이 불이익을 받을까 조심스러워할 뿐이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생각을 하겠다는 뜻이다. 나를 변화시키겠다는 의미다. 남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경우 갑질에 익숙하다. 자신의 생각이 틀렸다는 걸 도통 인정하기 힘든 집단이다. 기본적으로 책을 읽지 않는 집단이기 때문일까. 하늘에 대고 침을 뱉는 겪이지만 소일 삼아 소설 몇 권을 뒤적이며 일 년을 보내는 교사에게 우리는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는지도 모른다.

 

아이들을 위한 책이지만 탁석산의 달려라 논리는 교사들이 먼저 읽어야 하는 책이다. 알기 쉽게 든 예문들은 모두 부모와 아이들,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 매일 벌어질만한 상황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얼마나 많은 논리적 오류를 저지르며(그것은 물론 학생과 학부모가 저지르는 경우가 더 많지만) 학생들에게 궤변을 늘어놓거나 부정확한 판단력을 정답처럼 이야기하는지 나부터 반성한다. 개인적인 취향과 가치관을 옳은 것처럼 강요하지는 않는지 모르겠다. 생각을 열어주고 논리적으로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려면 끊임없이 읽고 생각하고 공부해야 한다.

 

170~190쪽 남짓 3권으로 나눈 이유는 딱딱한 논리에 대한 포장이다. 분량을 덜어주고 일러스트를 삽입하고 일기와 대화를 통해 상황을 이해하기 쉽도록 배려했다. 오류를 설명하고 논증을 이해시키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엿보인다. 서양 철학사를 암기하는 대신 이 책으로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학교 교육의 바탕을 다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물론 교사들도.

 

의사소통이란 결국 서로 논증을 주고받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 1, 145

 

타인의 이야기를 듣지 않거나 듣고도 왜곡하거나 합리적 논거를 살필 수 없다면 대화는 불가능하다. 의사소통은 사랑해라고 고백하는 연인 사이가 아니라면 결국 서로 논증을 주고받는 것이란 사실을 외면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사실 대부분의 대화, 일처리, 문제해결, 의사도소통의 바탕에는 논증이 필수다. 공식적인 회의, 업무상 주고받는 메일, 논술 평가 등 우리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끊임없이 글을 쓴다. “글을 쓰는 데는 얼마나 아름다운 표현으로 꾸며 주느냐보다 얼마나 탄탄한 논증이 토대를 이루느냐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라고 저자의 말을 새겨 듣자. 논증이 무소불위의 해결책이라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서로 생각이 다른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 114

 

자신이 틀릴 수도 있음을 인정하고 남에게는 관용의 원칙을 적용하면서 좋은 논증을 향해 나아가자. - 3, 175

 

가장 비논리적인 책이 시집이다. 정교하고 논리적인 언어의 결합체인 시가 비논리적이라니 그게 무슨 말이냐 막걸리냐고 화를 낼 시인도 있겠으나 내가 시를 읽는 이유는 마음밭에 울타리를 걷고 경계를 허무는 일이다. 내려놓고 시선을 돌리는 일이다. 간만에 읽는 손택수 시인의 시들이 반갑다. 익숙했던 시인들과 낯선 시인들의 시집을 뒤적이는 일처럼 남은 일은 익숙한 일들과 낯선 일들 사이에 조금 더 분명하게 경계를 세우는 일이다. 그 경계가 모호해질 즈음 또 다른 경계가 보이지 않을까 싶다. 떠도는 먼지들이 빛난다에서 한 편을 옮겨 적는다.

 

수묵의 사랑

 

수묵은 번진다

너와 나를 이으며,

누군들 수묵의 생을 살고 싶지 않았을까만

번짐에는 망설임이 있다

주저함이 있다

네가 곧 내가 될 수는

없는 법이니

경계를 넘어가면서도 수묵은

숫저운 성격, 물과 몸을 섞던

첫마음 그대로 저를 풀어헤치긴 하였으나

이대로 굳어질 순 없지

설렘을 잃어버릴 순 없지

부끄러움을 잃지 않고 희부연히 가릴 줄 아는,

그로부터 아득함이 생겼다면 어떨까

아주 와서도 여전히 오고 있는 빛깔,

한 몸이 되어서도 까마득

먹향을 품은 그대로 술렁이고 있는

수묵은 번진다 더듬

더듬 몇백년째 네게로

가고 있는 중이다

 

141214-123~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