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종교는 과학이 되려 하는가 - 창조론이 과학이 될 수 없는 16가지 이유
리처드 도킨스 외 지음, 존 브록만 엮음, 김명주 옮김 / 바다출판사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한 이론이 수많은 검증을 견뎌내고 수많은 옳은 예측을 했을 때 그것은 과학적 사실이 된다. 곧 어떤 이론이 대단히 강력한 지지를 받아서 모든 합리적인 사람이 그것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 제리 A. 코인, 17

 

종교와 과학의 오해 혹은 진실

 

사실(fact)와 진실(truth)은 다르다. 객관성을 기초로 한 사실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동의하는 것이지만 진실은 컨텍스트(context)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주관적이다. 예술의 영역에서는 객관적 사실보다 주관적 진실을 드러내는 데 목적을 두고 있지만 과학의 영역에서는 검증 가능한 객관적 사실이 학문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반복 실험이 가능하거나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증거가 필요한 과학이 세상의 모든 진실을 드러낼 수는 없다. 정상과학에 대한 도전과 새로운 증거들은 토마스 쿤의 말대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오며 과학혁명을 일으켜 왔다. 이론의 합목적성을 달성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와 노력은 오늘도 여전히 과학의 발전을 추동하며 인류 문명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21세기에도 여전히 종교와 과학이 충돌하고 있다는 사실은 놀랍기만 하다. 인간 이성의 발달과 과학 문명의 발달로 인해 근대 이후의 종교는 중세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신의 역할을 규정하는 것이 아닌가. 이미 오래 전에 각자의 영역에 대해 합의가 된 것이 아닌가. 종교가 있든 없든 혹은 어떤 종교를 가지고 있든 종교의 순기능과 역기능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으며 현실 세계에서도 매일 확인하는 것이 아닌가.

 

당대 최고의 과학 출판 에이전트이자 편집자로 평가받는 존 브룩만이 엮은 왜 종교는 과학이 되려 하는가는 아직도 끝나지 않은 과학과 종교의 갈등에 대한 현실을 잘 보여준다. 여기서 과학과 종교의 갈등은 창조론진화론이라는 아주 오래된 갈등으로 구체화된다. ‘창조론은 다시 지적 설계라는 변형된 이론으로 대표된다.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벌어진 키츠밀러 대 도버 학군 사건은 이 책의 핵심 논쟁에 대한 현실적 충돌이다. 200512월 연방법원 판사 존 E. 존스 판사가 지적 설계를 공교육 기관에서 진화론과 함께 가르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림으로써 지적 설계는 과학이 아니라는 법적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종교와 과학의 문제를 법으로 제한할 수는 없는 노릇이고 더구나 사람들의 생각을 통제할 수는 없다.

 

어쩌면 진화의 신비는 생명 세계에서 특별하고 신비로워 보이는 모든 것들을 일상적인 생물학적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우리의 설명들을 증거를 통해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 닐 슈빈, 123

 

그러면 1859년 다윈의 종의 기원이후 인류의 기원에 대한 논쟁은 인접 학문 분야의 발달과 오랜 검증을 거쳐 핵심적인 이론으로 뿌리를 내렸다. 하지만 사람들은 오랫동안 전지전능한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믿었던 인간의 조상이 원숭이라는 사실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받아들여야하는 발상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 누구에게나 쉽게 수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당대에는 그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창조론을 믿어 의심치 않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진화론은 수용 불가능한 것일까?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각 분야의 세계적인 과학자 열여섯 명은 한 목소리를 낸다. ‘지적 설계는 과학이 아니다라는 명제에 대해서 말이다. 지적 설계론이 사실인지 아닌지 혹은 진실인지 그렇지 않은지의 문제는 차치하고서라도 과학이냐 아니냐의 논쟁은 더 이상 불필요할 만큼 명확해 보인다. 그러나 과학이 요구하는 어떤 절차적 검증도, 연구도, 논문도 없는 상태로 주장만 난무한 이 이론이 여전히 이슈가 되고 법적 판결을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한 이유는 과학의 대결 때문이 아니라 진화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 때문이다. 생명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혹은 진화의 과정에 발생하는, 아직 증거가 없는 빈 구멍들은 지적 설계론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다. 아직 인간의 과학으로 인류가 쌓은 지식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세계의 빈자리를 모두 보이지 않는(?) 누군가의 지적 설계로 메워버릴 수는 없다.

 

리처드 도킨스, 스티븐 핑거 등 세계적인 과학자들은 분명하고 자신 있는 목소리로 지적 설계를 허구성을 폭로하고 결국 과학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이라는 존재를 숨긴 채 지적 설계라는 명분을 내세우는 사람들에게 일격을 가한다. 명확하고 논리적인 증거와 그간의 과학적 발견을 통해 지적 설계가 얼마나 무모한 주장인지 확인하는 일은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우리는 이들의 주장을 통해 과학의 역할과 종교의 의미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생명의 기원과 우주의 신비가 주는 철학적, 존재론적 질문에 대해 고민해 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과학이 종교의 자리를 대신할 수 없으며 종교는 더더욱 과학의 자리를 탐낼 수 없다는 자명한 사실을 받아들이는 대신 과학과 종교로 해결되지 않는 질문에 대해 진지한 성찰이 필요하다. 그것은 게으르거나 회피한다고 해서 누군가 해결해 줄 수 있는 문제는 아니기 때문이다.

 

영구적인 논리적 해법이나 사실적 해법이 없는 인간 존재의 문제들을 다루는 데에 과학은 유독 적합하지 않다. 예컨대, 죽음을 피하고, 외로움을 극복하고, 연인을 찾고, 정의를 확보하는 문제들이 그렇다. 과학은 이렇게 해야 한다거나, 이래야 한다고 말할 수 없다. 과학은 오직 이렇게 할 수 있다거나, 이렇다고 말할 수 있을 뿐이다. - 스콧 애트런, 166

 

 

20120110-0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