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의 구애 - 2011년 제42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편혜영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의 경우, 책을 선택하는 데는 몇 가지 경로에 따른다. 다른 분야의 책도 마찬가지 경로를 따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대개의 경우 작가의 명성, 전작의 우수성, 출판사의 홍보, 각종 문학상 수상, 주변의 추천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인의 경우 평론집을 통해 책을 찾아 읽는 경우가 거의 없다. 더구나 한국 문학 전체의 흐름을 읽고 신진 작가와 기성 작가의 작품을 두루 읽고 그들의 신작을 적절하게 선택하거나 평가하는 일은 쉽지 않다. 최근 몇몇 통계를 보면 책을 읽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부익부빈익빈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읽는 사람은 1인당 평균 독서량이 작년보다 증가했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더 줄었다. 10명 중 6명은 1년에 한 권도 읽지 않으며 베스트셀러의 집중 현상은 점점 심화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가는 책 읽는 사람 입장에서 쉽지 않은 고민이다.

 

재와 빨강으로 처음 만난 편혜영의 소설 저녁의 구애는 주목할 만한 작가의 발견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재와 빨강에서 보여준 작가 색깔과 문장이 작가 고유의 것으로 육화될 것인지 중간에 힘을 잃어버릴 것인지 지켜보는 일은 소설을 읽는 즐거움 중 하나이다. 독자는 언제나 여러 선택지 중에서 최선을 희망한다. 합리적인 소비에 버금갈 만큼 책의 선택은 자신의 시간과 영혼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소설 한 권 읽는데 뭐 그리 복잡할 것 있냐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분야별로 제대로 읽어나가고 즐기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고려할 만한 사항이 많다.

 

편혜영의 소설집 저녁의 구애에는 8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소설집은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일정기간 동안 정리하는 의미가 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시간이 흐른 만큼 성장하고 변화하는 것은 자연스런 인간의 모습이다. 작가도 마찬가지다. 내적 변화와 외적 상황에 따라 작가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한다고 믿는다. 이 소설집은 편혜영의 한 시기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소설집일 것이다. 그것을 무엇이라 평가하든 말이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문장 혹은 몇 개의 키워드로 작품 세계를 드러낼 수도 있다. 김형중은 해설에서 그것을 동일성의 지옥이라고 표현했지만 독자들이 그렇게 읽어낼지는 의문이다. 그렇다면 편혜영의 저녁의 구애는 어떻게 읽어낼 수 있을까. ‘지루한 세상에 불타는 구두를 던지라는 신현림의 말대로 그것은 시대와 무관하게 반복되는 일상성에 대한 도전이며 그 간극을 뛰어넘는 한숨이다.

 

동일성과 일상성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삶에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며 시찌프스처럼 무한 반복되는 일상을 견디는 일이 인간의 삶이라는 비극적 인식은 편혜영 소설의 기본 전제이다. 하지만 그 일상은 모든 사람에게 조금씩 다르다. 같은 공간 같은 시간에 함께 생활하면서도 서로 다르게 받아들이고 반응할 수 있다. 편혜영은 지극히 평범한 일상을 비틀어보아야 하는 소설가라는 직업에 충실한 듯하다. 기다릴 무언가가 있고 해야 할 일이 있고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을 행복이라고 한단다.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이 조금씩 다를 수 있겠지만 소설가는 행복을 말하지 않는다. 아니 그것을 우회적으로 드러내거나 허망한 실체를 드러내는 것이 소설의 역할인지도 모른다. 편혜영도 마찬가지다. 넓은 의미에서 편혜영의 소설은 희망 없는 시대,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적나라한 보고서로 읽히기도 한다.

 

김은 누구나 이기적이므로 누구에게든 이기적이라고 비난하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타당하지 못하다고 생각했다. - 40

 

우정이라는 것은 애정의 정도와는 아무 관계가 없으며 자신에게 헌신적이거나 유익할 때에만 유효한 감정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나 모든 지나간 일을 되새기는 과정이 그렇듯 과거의 어떤 일이 미친 결과나 상처는 아무런 파동 없이 떠올랐고 그러는 과정에서 어느새 시간이 훌쩍 지나버린 것에 대한 서글픔과 뻔한 회한만 남았다. - 40

 

표제작 저녁의 구애의 몇 문장이다. 인간과 삶에 대한 통찰은 소설의 가장 큰 미덕이 아닐까. 소설을 읽으면서 밑줄을 치는 일은 때로 우스꽝스럽게 여겨진다. 소설보다 더 극적인 생을 사는 사람들, 현실보다 밋밋한 소설들, 사람과 책 사이에서 현실과 허구의 매트릭스를 경험하는 우리에게 책읽기는 현실에 대한 확인이며 꿈이다. 그래서 때때로 너무 상투적이고 진부해서 진심으로 여겨지지 않는 말의 홍수를 견디는 일이 현실이라고 생각한다.

 

얘기를 하는 동안 김은 여자에게 말한 것들이 이제껏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것임을 깨달았다. 자신의 말은 모두 어디서 읽거나 누구에게 들은 얘기 같았다. 너무 상투적이고 진부해서 진심으로 여겨지지 않는 말이었다. 반면에 그래서 진심처럼 들리기도 했다. - 61

 

토끼의 묘동일한 점심산책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루함과 건조함, ‘저녁의 구애에서 보여주는 허망함과 피곤함, ‘관광버스를 타실래요?’정글짐의 낯설음과 불분명함, ‘크림색 소파의 방을 통해 확인되는 안타까움과 불안, ‘통조림 공장의 그로테스크함과 우울한 전망.

 

스타카토처럼 짧게 던져지는 문장과 모래바람이 불 듯 서걱이는 건조함은 희망없이 미래를 바라보아야 할 우리들의 모습을 지극히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소설의 아이러니는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이렇게 시니컬하게 비틀고 무미건조하게 툭툭던지는 문체에서 비롯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들뜬 감정을 가라앉히고 냉정한 시선으로 우리의 삶을 돌아보고 생의 비의(悲意)를 확인하고 싶다면 편혜영의 소설이 제격이겠다.

 

전화를 끊으면 그는 누군가 자신을 낯선 도시로 내몰았고,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도록 공교히 음모를 꾸몄으며 자신은 순진무구하게도 그 유혹에 쉽게 넘어가버렸다는 생각을 했다. 늘 구군가에 의해 설계된 인생을 살아온 느낌이 되살아나면서 화가 났다. 자신을 통제하는 대상이 있다는 생각 때문만은 아니었다. 자신이 그 통제에 안도감을 느낀다는 것 때문이었다. - 167

 

 

20111225-1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