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란 무엇인가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개념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지 못하면 그것에 대해 잘 모르는 것이라는 리처드 파인만의 말은 새겨 둘만하다. 우리는 매일매일 수많은 지식을 얻는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허우적거린다. 명료한 시선과 냉철한 판단력으로 그것들을 분류하고 정리하며 개념화시키지 못한다. 지식과 정보의 양보다 질을 따져야 한다. 독선적이지 않은 범위 안에서 자신만의 범주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앎의 세계를 넓혀야 한다고 믿는다.

그런 면에서 유시민은 두 얼굴의 사나이다. 지식인과 정치인. 이제 어떤 사람으로 분류하느냐는 그의 향후 행보에 달려있거나 국민의 선택에 달려있다. 스스로 걷는 길도 중요하지만 공인으로서의 삶을 선택했다면 공인의 선택도 그만큼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오래 전부터 지식 소매상으로 자처하며 글을 써 온 유시민은 정치적 수사보다 그의 수많은 글을 통해 먼저 만났다. 노무현과 함께 떠오르는 정치인이 되어 국회의원, 보건복지부 장관을 거쳐 이제는 차기 대권 후보로 거론되는 영향력 있는 정치인이 되었다.

면바지를 입고 국회 본회의장에서 야유를 받던 청년 유시민의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 어린 나에게 신선한 충격이었고 양복에 넥타이를 맨 공장에서 찍어낸 어른들의 모습과 달랐기 때문이다. 평생 흰 셔츠에 넥타이를 매고 한 벌 양복을 입은 모습으로 학교에 출퇴근했던 아버지처럼 유시민의 아버지도 학교 선생이었단다. 명민했을 어린 시절의 모습, 똘망똘망한 눈으로 책을 들여다보는 귀여운 모습이 떠오른다. 나보다 한참 나이가 많은 그가 웃음 많은 장난꾸러기의 모습과 오버랩 되는 이유를 모르겠다. 하지만 이번에 그가 들고 나온 책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다. 그것은 적어도 내게 각인된 유시민의 이미지다. 차가운 철창 안에서 ‘항소이유서’를 쓴 20대의 청년, 경제와 역사와 철학을 넘나드는 지식 소매상, 유려한 문장과 명쾌한 논리로 설득력 있게 독자를 사로잡는 베스트셀러 작가, 진보자유주의자를 자처하는 차세대 대권주자가 된 정치인.

『국가란 무엇인가』는 지난 겨울부터 그의 트위터를 통해 집필 소식을 언뜻언뜻 알게 된 책이다. 이 책의 내용은 큰 틀에서 이전에 유시민이 쓴 책의 맥락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양한 지식의 향연을 즐길 수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인류가 쌓아온 지적 토양을 자양분 삼아 2011 대한민국의 현실을 짚어 볼 수 있도록 일곱가지 질문을 던진다. 그것은 홉스의 『리바이어던』으로 시작되어 박상훈의 『정치의 발견』에 이르는 지적 성찰의 과정이다. 대략 40 여권의 책을 인용하고 분석하며 현재 대한민국을 이루고 있는 정치, 사회적 토대를 정치하게 살펴보는 유시민의 안목은 명료하다. 파인만의 말을 적용하자면 개념 있는 지식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가 던진 일곱 개의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을 이끌어 냈던 책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국가란 무엇인가?
- 홉스, 『리바이어던』
- 버트런트 러셀, 『사람들은 왜 싸우는가』
- 카야노 도시히토, 『국가란 무엇인가』
- 마키아벨리, 『군주론』
- 존 로크, 『시민정부론』
- 애덤 스미스, 『국부론』
- 데이비드 흄, 『도덕감정론』
- 장 자크 루소, 『인간 불평등 기원론』
-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 헨리 데이비드 소로, 「시민정부에 대한 저항」
- 마르크스, 엥겔스, 『공산당 선언』
-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2. 누가, 어떤 사람이 다스려야 하는가?
- 앨빈 토플러, 『권력이동』
- 플라톤, 『국가』
- 맹자, 『논어』
3. 애국심은 고귀한 감정인가?
- 피히테, 『독일 국민에게 고함』
- 톨스토이, 『국가는 폭력이다』
- 에르네스트 르낭, 『민족이란 무엇인가』
-다카하시 데쓰야, 『국가와 희생』
4. 혁명이냐, 개량이냐?
- 헤롤드 J. 라스키, 『국가란 무엇인가』
- 카를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 Ⅰ, Ⅱ』
- 케인즈, 『고용, 이자 및 화페의 일반이론』
- 하이에크, 『노예의 길』
5. 진보정치란 무엇인가?
- 소스타인 베블런, 『유한계급론』
- 김상봉, 박명림, 『다음 국가를 말하다』
- 이남곡, 『진보를 연찬하다』
- 막스베버, 『직업으로서의 정치』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헨리 데이빗 소로우, 『시민의 불복종』
- 프랑수아-자이에 메랭, 『복지국가』
6. 국가의 도덕적 이상은 무엇인가?
- 라인홀트 니버, 『도덕적 인간과 비도적 사회』
-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7. 정치인은 어떤 도덕법을 따라야 하는가?
-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실천이성비판』
- 막스 베버, 『직업으로서의 정치』
-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사회주의의 전제와 사민당의 과제』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 박상훈, 『정치의 발견』

맺음말
- 프랜시스 후쿠야마, 『강한 국가의 조건』

이 책들 중 대략 삼분의 일을 읽었고 하이퍼링크 책읽기를 통해 읽어야 할 책 몇 권이 목록에 추가되었다. 인용한 책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정보가 전무한 사람에게 이 책은 인류의 정치 사상사를 소개받는 책으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어찌됐든 책은 책을 부르고 또 하나의 새로운 개념과 논쟁을 촉발하는 역할을 하기 바랄 뿐이다.

용산참사 이야기를 통해 ‘국가’의 의미와 역할을 고민하는 것으로 시작되는 이 책은 결국 진보자유주의를 주창하는 유시민의 생각과 주장들이 곳곳에 배어 있다. 자유와 정의가 양립할 수 있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예약본 표지에 선명하게 손글씨로 인쇄된 ‘시민은 자유롭게 국가는 정의롭게’가 이 책을 웅변한다. 진보자유주의자 유시민의 생각은 ‘국가’에 집중된다. 국가의 역할과 의미를 생각하며 정부와 국가의 관계를 짚어보고 도대체 어떤 정부를 가져야 우리가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가. 그것은 정치인 유시민의 바람이 아니라 바로 모든 사람의 꿈과 희망이다. 하지만 현실은 책 속의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다. 바란다고 해서 그렇게 되지도 않는다.

이 책에의 핵심은 ‘진보정치’에 있다. 쉽게 말하자면 자유주의와 진보주의의 연합을 제안하는 것이다. 실제 선거에서 막강한 파괴력을 보여주기도 했고 현실적인 대안으로 논의되기도 하지만 사람의 생각을 하나로 모으는 것은 산을 옮기는 것보다 어렵다. 향후 유시민의 정치적 행보와 정치 현실을 생각해 보면 이 책의 의미가 새로울 수도 있겠다.

하지만 문제는 남는다. 이 책을 지식인 유시민의 책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정치인의 책으로 볼 것인가. 내용의 갈피들을 살펴보면 유시민의 정치적 이상과 포부 그리고 개인적 고뇌를 읽어낼 수 있다. 독자들의 판단과 행동은 물론 책이 아니라 현실이다. 이 책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현실적인(?) 힘을 가질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나는 여전히 그의 사유과정과 지식 소매상으로서 안내자 역할을 기대해 본다. 그가 앞으로 어떤 자리에서 무슨 일을 하든 그 바람은 순진한 독자의 바람일지도 모르지만.

이 책을 통해 수많은 인류의 지적 자산을 섭렵하고 현실 정치에 대해 고민해 보는 기회로 삼는다면 충분하다. 책과 현실, 그것은 영원한 애증의 관계이다. 지식은 실천이지만 현실을 위한 도구로만 볼 수 없고, 책 속에만 갇힌 지식 또한 무의미할 뿐이다. 국가는 우리에게 무엇이고 나는 또 어떤 현실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라 바로 나의 생각과 행동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110424-0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