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페인 유골 분실 사건 - 상식의 탄생과 수난사
폴 콜린스 지음, 홍한별 옮김 / 양철북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어떤 그릇된 것이 그릇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습관이 오래 굳어지면 겉보기에 옳은 것처럼 보이게 된다.” - P. 35

어떤 기준으로도 분류하기 어려운 책을 만나면 조금 당황스럽다. 형식과 내용의 독창성은 좋은 책이 갖추어야 할 미덕이지만 잘못하면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도 있다. 지루하고 비슷한 방식의 글쓰기보다 맛깔스럽고 재밌는 내용과 형식은 독자에게 신선한 즐거움을 준다. 세상에 태어나는 수많은 책들 속에서 그런 책을 찾아 읽는 것 또한 독자들의 안목에 기대할 수밖에 없다.

폴 콜린스의 『토머스 페인 유골 분실 사건』이라는 책을 보고는 눈을 의심했다. 세계의 혁명을 꿈꾸었으나 자본주의의 상품 코드가 되어버린 체 게바라도 아니고 논쟁을 하다가 부지깽이를 휘두른 비트겐슈타인과 칼 포퍼의 이야기도 아니고 기행을 일삼았던 작가나 예술가의 일대기도 아니고 『상식』(1776)과 『인권』(1791)을 썼던 미국과 프랑스의 사상적 혁명가 토마스 페인의 이야기라니?

관심을 가질만한 인물의 재탄생인지 아니면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거리가 새로 발견된 것인지 궁금했다. 하지만 책을 읽어나가는 동안 영국과 미국 사람들에게 토머스 페인이라는 인물이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가장 급진적이고 괴팍한 형태의 ‘상식’이 지금도 논란이 되고 있다면 18세기에 그가 쓴 소책자 ‘상식’의 파괴력을 짐작할 만하다. 그 내용은 차치하고 그의 쓸쓸한 생애에 먼저 눈길이 간다. 상식과 인권을 주장했기 때문이 아니라 결국 토머스 페인의 인생은 ‘종교’의 문제가 핵심처럼 보인다. 토머스 페인은 무신론자였을까?

그들이 믿는 신을 믿지 않는다면 인간의 기본적인 가치, 상식, 인권을 말할 수 없다는 논리는 아니겠지만 페인의 삶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그의 사상이나 그가 쓴 책의 내용이 아니라 바로 ‘신’에 대한 그의 생각을 더 궁금해 하는 사람들의 속내를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종교는 상식과 인권에 앞서는 걸까?

문학을 전공한 이 책의 저자 폴 콜린스는 토마스 페인이라는 실존 인물의 죽음부터 그의 생애와 사상을 점검하기 시작한다. 거꾸로 더듬어가는 시간여행은 우리들의 상상력을 극대화시킨다. 마치 추리소설을 읽는 것처럼 토마스 페인이 죽은 현실적 공간에서 출발해서 그의 유골을 추적하는 과정은 흥미진진한 영화처럼 펼쳐진다. 하지만 그것은 비극이다. 토머스 페인의 페인이 쓴 『상식』은 어떤 책인가?

왜? <상식>은 1776년 1월 10일 출간된 뒤 세 달 만에 12만부가 팔렸다. 그 뒤 3년 동안 판매량이 50만 부까지 늘었다. 종이가 귀하던 시절이라 다들 책을 돌려 가며 보았다. 미국 인구가 250만이었고, 그 가운데 상당수는 문맹이었으니 글을 아는 사람은 모두 이 책을 읽었다고 봐야 한다. 식민지 시대 미국에서 성격을 제외하면 그 어떤 문서도 넘볼 수 없는 지위다. - P. 34

가공할 만한 파괴력을 지녔던 책의 저자 토마스 페인은 죽음 이후가 더 극적이다. 미국의 <독립선언문>의 영향을 주었고, 『인권』을 발표해 프랑스 혁명을 옹호했던 토머스 페인의 유골은 그만큼 중요한가. 아니다, 그렇지 않다. 이 책은 삶과 죽음의 경계로서 ‘유골’의 의미를 찾아 나서는 것이 아니다. 그의 삶이, 그의 사상이 걸어온 길을 죽음 이후의 ‘유골’의 행적이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 저자고 말하고 싶은 진실은 아닐까?

그 진실은 여전히 유효한 토마스 페인의 사상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고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국민과 국가의 관계 그리고 인간이 가져야 하는 당연한 권리와 자유의 의미에 대해 분명하고도 상식적인 대안을 내놓은 페인의 삶을 유골을 통해 미루어 짐작하는 아이러니! 이 책은 죽음 이후를 추적하는 기이한 방식으로 시대를 풍미했던 한 사상가를 기억하고자 한다.

“어떤 그릇된 것이 그릇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습관이 오래 굳어지면 겉보기에 옳은 것처럼 보이게 된다.” - P. 35

적어도 마르크스가 나오기 전까지 가장 중요한 개혁가로 기록될 만한 인물, 토마스 페인은 어떤 삶을 살았든지 어떤 죽음을 맞이했든지 인류에게 인상 깊은 말들을 남겨 놓았다. 그것은 시대와 상황을 고려할 때 더없이 중요한 목소리였으며 아무나 흉내내기 어려운 용기였음을 기억한다. 이 책이 우리에게 의미 있는 것은 소설처럼 극적인 유골찾기를 통해 독자들의 흥미를 이끌어내기 때문도 아니고 방대한 자료와 기록을 바탕으로 정교한 시간의 퍼즐 맞추기를 완성하기 때문도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 혹은 살아야 할 미래의 ‘가치’에 대해 근본적인 고민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아니 그보다 먼저 『상식』과 『인권』을 읽어봐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저자는 감히 이렇게 외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토머스 페인은 바로 당신의 등 뒤에 서 있는 것은 아닐까?

토머스 페인은 어디에 있는가?
독자여, 그가 없는 데가 어디인가? - P. 272


110309-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