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무장지대를 담당하는 수색중대에서 군생활을 마감할 무렵 마지막 휴가를 나왔다가 삐삐를 구입해서 복귀했다. 주둔지 마지막 언덕을 돌아 GOP 라인 부근에 이르자 삐삐의 안테나가 사라졌다. 무용지물이 된 조그만 기계장치를 보며 쓴 웃음을 지었다. 토요일에 전역 신고를 마치고 월요일부터 출근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KTF 016 번호를 예약해서 받은 전화 번호를 010으로 바꾸면서 작년에 번호가 바뀌었다. 휴대폰이 생기기 전에는 사람들이 생활이 지금보다 불행했을까?

신속하고 편리한 생활은 생각할 시간과 여유 있는 삶을 앗아갔다. 우연에 기대지 않아도 좋을 만큼 뭐든 정확하고 빈틈이 없어졌다. 숨가쁘게 살 수 밖에 없는 촘촘한 네트워크로 세상은 연결되기 시작했다. 인터넷과 휴대폰이 삶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스마트폰 시대를 맞아 이제는 문자와 메일, 소셜 네트워크로 모든 사람과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시대를 살아간다. 문득, 강원도에 여행을 다녀오는 길에 풀씨를 코팅해서 만든 책받침을 우체통에 꽂아 놓았던 친구를 떠올린다. 스무 살 무렵이었다. 그때는 전화벨이 울려도 나를 찾는 전화가 많지 않았다. 공중전화 박스를 지날 때마다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고 싶었지만 용기가 나지 않았고, 그 마음의 문을 닫고 스스로 상처 받던 시절이었다.

사랑은 언제나 목마르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보편적 정서를 담아낸 소설들의 종착역은 사랑이다. 작가는 어떤 종류의 사랑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고민할 뿐이다. 사랑을 다양하게 변주했던 신경숙의 장편소설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을 천천히 읽는 가을은 또 어떤가.

기억이란 제 스스로 기억하고 싶은 대로 기억하는 속성까지 있다. 기억들이 불러일으킨 이미지가 우리 삶 속에 섞여 있는 것이지, 누군가의 기억이나 나의 기억을 실제 있었던 일로 기필코 믿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두 눈으로 똑똑히 봤다, 고 필요 이상으로 강조하면 나는 그 사람의 희망이 뒤섞여 있는 발언으로 받아들인다. - 22쪽 

연애소설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구체적 시공간을 걷어내고 보편성을 담아내려는 노력과 흔적이 곳곳에 드러나는 이 소설은 ‘시대’와 ‘사랑’ 두 가지를 모두 아프게 읽어내야 한다. 그러한 시대가 있었고 그러한 사랑이 있었다는 말로 요약될 수 없는 행간의 깊이와 떨리는 문장과 긴 호흡이 압권이다. 그러나 지나친 감수성과 인물들이 가진 작위적 성격은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공감할 수 없는 아픔과 슬픔은 곳곳에 흘러넘친다. 오랬동안 신경숙의 소설을 읽어온 독자로서 피로감이 들기 시작한 걸까. 『엄마를 부탁해』의 감동과 여운이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일까. 서로 다른 감정을 보여주고 있지만 사랑이 차고 넘쳐 부담스럽다.

신형철은 “왜 나는 지드와 헤세의 청춘소설에 감동받은 척했던 것일까. 그들의 책은 아름다웠지만 상처가 만져지지 않았고 그래서 나는 아픔을 느끼지도 못했었는데. 그러나 신경숙의 소설은 아파서, ‘세계는 떠나버렸다. 내가 널 짊어져야 한다’라는 첼란의 시구를 생각나게 했지. 자신의 삶을, 동료의 죽음을, 심지어 공동체의 운명을 짊어져야 했던 한 시대의 ‘크리스토프’들이 여기 있네.”라고 말했지만 나는 지드와 헤세의 청춘소설에 감동받았다. 그것은 작가의 힘이나 작품의 위대함 때문이 아니라 나이와 감수성과 상황 때문이었다. 오래전 기억을 더듬어 청춘의 한 구석의 먼지를 털어내야 하는 일은 기쁨이거나 고역이다. 신경숙의 소설은 너무 아파서, 한 시대의 ‘크리스토프’들이 한 자리에 모여 있는 듯해서 부담스럽다.

내가 그쪽으로 갈 수 있는 마음인지 그럴 수 있는 상황인지는 상대가 아닌 자신에게 물어야 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네 명의 청춘과 윤교수는 한 시대와 서로 다른 방식의 사랑과 아픔을 토해낸다. 그러나 어느 시대에도 모든 사람은 ‘크리스토프’일 수밖에 없는 것은 아닐까.


강을 건너는 사람과 강을 건너게 해주는 사람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네. 여러분은 불어난 강물을 삿대로 짚고 강을 건네주는 크리스토프이기만 한 게 아니라 한 사람 한 사람이 세상 전체이며 창조자들이기도 해. 때로는 크리스토프였다가 때로는 아이이기도 하며 서로가 서로를 강 이편에서 저편으로 실어나르는 존재들이네. 스스로를 귀하고 소중히 여기게. - P. 63쪽

오래된 기억 속의 조작된 추억들을 수채화로 채색하고 싶은 사람들이나 가장 비극적인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되고 싶은 사람에게 권할 만한 소설이지만, 신경숙의 소설 중에서는 만지작거리다가 다른 소설들을 우선 추천하게 될 것 같은 작품이다. 어쩌면 지극히 개인적인 차원에서 말해질 수밖에 없는 청춘소설 한 권을 읽은 셈이다. 그리고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기억의 언저리를 기웃거렸을 뿐이다.

또다시 주어진 시간과 과거의 결과인 현재를 돌아본다.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려도 듣지 못하는 순간이 있고 간절하게 기다려도 전화벨이 울리지 않는 때도 있는 법이다. 우리는 때때로 그 모든 순간을 인생이라고 부른다. 다 지나가는 인생.

인생은 매순간 우리에게 힘든 결단과 희생을 요구합니다. 산다는 것은 무의 허공을 지나는 것이 아니라 무게와 부피와 질감을 지닌 실존하는 것들의 관계망을 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살아 있는 것들이 끝없이 변하는 한 우리의 희망도 사그라들지 않을 것입니다. - 291쪽


100928-0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