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한다는 것 - 고병권 선생님의 철학 이야기 너머학교 열린교실 1
고병권 지음, 정문주.정지혜 그림 / 너머학교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찰나에 불과한 내 삶을 돌아보면 느리고 답답하게 보인다. ‘철이 든다’는 말은 세상에 대한 판단력, 사람들에 대한 이해, 삶에 대한 목표 등이 생겼다는 말이다. 아울러 생에 대한 가치관이 정립되고 사회역사적 안목이 생겼으며 삶에 대한 태도와 방법을 주체적으로 결정하게 되었다는 말이다. 그런 측면에서 살펴볼 때 나는 여전히 사춘기 소년에 불과한 지도 모른다. 영원히 철들고 싶지 않다는 꿈을 꾸고 때묻고 물들지 않겠다는 자신감을 내비치며 청년정신을 잃지 말아야 한다고 스스로 다짐한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이런 생각들은 겨우 서른이 넘어서야 제대로 자리를 잡은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직접 경험은 물론 간접적인 경험과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지켜보기도 하고 세상사를 관찰하고 고민하는 과정에서 나름대로 정리된 생각들이 지금의 나를 규정한다. 상식과 합리의 기준이 다르고 이성과 논리의 힘을 개인의 이익과 자기 합리화를 위해 사용하지 않는다면 어렵지 않게 우리가 나아갈 방향과 목적이 보일 것도 같은데 사람들의 생각은 조금씩 다르다. 이 생각은 도대체 어디에서 온 것일까? 홍세화는 『생각의 좌표』를 통해 그 이유를 묻고 우리들이 생각하는 방향에 대해 반성을 촉구한다. 그러나 어른들의 경우 이 생각을 바꾸는 것은 산을 옮기는 것만큼 어렵다. 그렇다고 학교에서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지도 않는다. 그러면 아이들은 어디에서 배워야 하는 것일까.

  너머학교에서 나온 고병권의 『생각한다는 것』은 십대를 위한 철학이야기 책이다. ‘철학’이라는 말만 들으면 딱딱하고 어렵다고 생각한는 친구들이 많지만 사실 철학은 생활이며 실천이다. 책 속의 어려운 개념이나 철학자들의 고리타분한 대화가 아니라 실제 삶을 위한 도구이며 행복한 삶을 위한 준비물이다. 사람이 행복하게 살기 위해 하루하루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라면, 자신의 삶이 행복해지기를 바란다면 ‘공부’와 ‘돈’만으로 해결될 수 있을까? 어른들은, 학교에서는 왜 행복과 삶에 대해 진지하게 가르치지 않는걸까? 경쟁에서 이기는 방법, 공부 잘하는 방법, 돈버는 방법에 대한 관심과 이야기는 넘쳐난다. 대형서점도 학습법과 재테크, 자기계발서들이 점령한지 오래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만큼 여유있고 행복해지고 있는 걸까.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활동하는 고병권은 다양한 철학적 탐구와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독자들과 만나왔다. 이 책은 십대를 위한 철학 입문서이다. 어깨에 힘을 빼고 짧은 글들을 통해 철학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열린교실’ 시리즈의 출발에 서 있는 이 책은 이후에 출간될 책들에 대해서도 관심과 기대를 갖게 한다. 새로운 기획과 신선한 책들은 청소년들에게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고 절실한 선물이다.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것들을 책을 통해서라도 접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모두가 같은 꿈과 미래를 향해 부나방처럼 달려들지 않도록 다양성을 인정하고 차이를 이해하는 사람들의 생각의 변화가 우선이지만 아이들의 생각도 조금씩 달라질 필요가 있다. 결국 아이들의 생각은 어른들의 생각이 세뇌된 것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삶의 주인으로 우뚝 서는 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울까.

“그가 엄청난 범죄를 저지른 것은 아무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이히만의 경우를 보면, 악마란 악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히만은 자신이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따져보지 않았던 거예요. 그냥 주어진 일을 기계처럼 무조건 했던 것이죠. 생각이 없으면 우리도 언제든 악마가 될 수 있는 겁니다. - 고병권, <생각한다는 것>, 50쪽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통해 ‘생각’의 중요성과 ‘철학의 의미’를 아주 쉽게 간단하게 설명하는 대목이다. 생각을 하지 않으면 왜 ‘악마’가 될 수 있는지 역사 속 인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청소년들을 우리들의 미래라고 말하면서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키우고 무엇을 가르치는지 생각해보자. 삶을 이해하고 세상을 따듯하게 해 줄 수 있는 생각과 판단력과 능력을 함께 길러주고 있는지 공부하는 기계가 되어 수능 성적표로 인간의 등급을 매기는 일에 몰입하고 있는지 말이다.

  아이들의 다양한 꿈을 스스로 찾아나갈 수 있도록 곁에서 도와주고 생각을 이끌어 주고 조금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땀흘려 일하고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어른인가 반성해본다. 다르게 산다는 것은 대충 산다는 말이 아니다. 굳이 남들처럼 살지 않겠다는 반항도 아니다. 내가 왜 이렇게 살아야 하고 이 길을 선택했는지에 대한 고민이며 이렇게 사는 것이 진정 내가 원하는 것이고 내 삶이 행복해지는 길인가에 대한 반성이다. 그래서 생각한다는 것은 살아간다는 것이다.

‘생각한다’는 것은 ‘생각을 낳는 것’, 즉 ‘다르게 생각하는 것’이고, 그것은 또한 ‘다르게 살아가는 것’ 입니다. 철학은 ‘생각하는 기술’이지만, 그때 생각의 기술이란 ‘삶을 가꾸는 기술’이었잖아요. - 고병권, <생각한다는 것>, 76쪽

  수많은 경우의 수가 있는 십대에게, 모든 가능성에 도전할 수 있는 청춘에게 던지는 질문들은 그들을 행복하게만 하려는 것이 아니다. 때대로 불면의 밤을, 고통스런 고민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렇게 ‘철학을 한다’는 것은 생각하고 공부하고 자유롭고 행복하다는 말과 다름없다. 조금 더 먼 미래를 보고 보다 나은 나를 위해 행복하고 즐거운 인생을 위해 철학 즉 생각한다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 책을 통해 생각을 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 한번쯤 고민해 보는 것은 어떤가.

‘철학을 한다’는 말은 참으로 여러 말과 통하는 것 같네요. 행복하게 산다는 것, 생각한다는 것, 공부한다는 것, 자유롭다는 것, 친구를 만든다는 것, 이 모든 말들이 ‘철학을 한다’는 말과 통하는 것 같습니다. - 고병권, <생각한다는 것>, 123쪽


100606-051

댓글(0) 먼댓글(1)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고병권이 쓴 '민주주의'
    from 그린비출판사 2011-05-25 15:43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무엇인가’를 묻는 책들이 태풍처럼 출판계를 흔들어놓고 있다.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바람이 채 가라앉기 전에, 뒤를 이어 유시민의 『국가란 무엇인가』 바람이 불고 있다. 이제 여기에 다시 고병권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바람을 추가해야 한다. 그러나 고병권이 몰고 올 바람은 일시적으로 불고 지나갈 바람이 아니라, 끊임없이 반복해서 되돌아올 바람이다. 그것은 한국의 정치·사상 지형에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파열을 내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