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세상 - 위기의 시대를 좌우할 열쇳말
박성민 외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확실성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다. 이것을 인간의 패배라고 할 수 있을까? 나는 그 반대라고 믿는다. - 일리야 프리고진, <확실성의 종말>

 ‘삶을 지배하는 것은 지혜가 아니라 행운Vitam regit fortuna, non sapientia’이라는 키케로의 말을 부정하기가 어렵다. 행운은 우연의 다른 말이 아닐까? 사람이 살아가는 일이 모두 인과관계의 틀 속에서 해석이 가능하다면 삶은 정교한 퍼즐과 같아서 수학적 연산과 논리적 예측이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 물론 그렇지 않다. 세상은 불확실하고 삶은 불안하다. 우연과 행운에 기대어 사는 것이 인간이 숙명인지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끊임없이 예측 가능한, 안전한, 확실한 삶을 꿈꾼다. 불가능한 꿈에 도전하는 어리석음을 포기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점점 더 불안하고 피곤하다.

  인간의 역사는 이와 같은 불확실성을 줄이는 과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리야 프리고진의 말대로 미래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 가는 것이다. 따라서 ‘확실성’이라는 말 자체가 모순일지 모른다. 알 수 없는 미래, 불안한 확증은 어차피 모든 변화 가능성을 내포한 말이기 때문이다. 세상의 지배원리가 모든 불확실성을 담고 있다. 인간은 그 불확실성에 끝없이 도전해 왔지만 세상은 달라지지 않았다.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쪽으로 문명은 발달해 왔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들의 삶이 예측 가능해진 것도 아니고 평화롭고 안정된 방향으로 진화해 온 것도 아니다. 세상은 변함없이 불안하며 예측할 수 없다.

  『불확실한 세상』은 현대 사회에 대한 진단이면서 과거와 미래 사회에 대한 해석이다. 열 명의 각 분야 전문가가 보여주는 ‘불확실성’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떤 원인과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 독자들에게 되묻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에 대한 반성이며 모르고 있는 분야에 대한 성찰이다.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사실들에 대한 지적 통찰을 위해 준비된 책인지도 모른다. 이 책은 정치, 경제, 문화, 지구, 과학과 기술 분야 등 5개 분야에 각각 2명의 전문가가 ‘불확실성’을 주제로 쓴 글을 모은 책이다. 서문에 밝히고 있듯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소개한 내용을 조금 더 확대 발전시키면 한 권의 책으로도 손색이 없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각론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들이 하나의 주제로 모여 흐르는 방법을 택했기 때문에 ‘따로 또 같이’ 읽기 좋은 책이다. 순서나 계통이 필요한 읽기가 아니라 입체적이고 유기적인 관계를 생각하며 네트워크를 만들어가면서 읽어야 하는 책이기도 하다. 관련 분야에 대한 충실하고 깊이 있는 관심과 공부는 물론 독자들의 몫이다. 어찌 보면 수박 겉핥기식으로 해당 분야에 대해 제반 소개로 그칠 수 있는 단점도 안고 있다. 이런 종류의 책들이 흔히 범하기 쉬운 오류이다. 하지만 이 책은 제한된 분량 안에서 충분한 고민과 정밀한 글쓰기를 통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해 내고 있다.

정치란 '불확실'을 '확실'로 바꿔 대중들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도록 '가시거리'를 확보해 주는 기술인 것이다. 좋은 정치란 대중이 그 존재를 느끼지 못하도록 새벽에 쓰레기를 몰래 치우는 청소차와 같은 것이다. - P. 29

  대한민국 사람들이 정치에 대해 가지고 있는 혐오감은 상상을 초월한다. 국민위에 군림하고 권력집단이 되어 자신들의 기득권을 보호하고 이권에 개입하는 협잡꾼에 불과한 정치인이 거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정책 방향과 정권이 바뀌고 나면 또 다시 뒤집어지는 세상에서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시궁창의 쥐새끼만도 못한 이념 논쟁과 지역감정 부추기기로 일관하며 정책은 없고 선거의 몰이배만 있는 정치판을 보며 우리는 어떤 미래를 꿈꾸고 어떤 세상을 예상할 수 있겠는가.

  한국 사회에서 아마도 가장 불안한 분야가 정치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이 책은 정치에서 출발한다. 박성민은 “사회가 개인의 감정이나 판단 혹은 도덕이 아니라 시스템에 의해 움직여야 미래를 안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라고 밝히고 있는데 공감이 가는 말이다. 우리의 정치 현실은 양지로 나온 조폭과 유사하다.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공천 여부가 결정되고 지역색이 뚜렷하며 소신도 정책도 없이 오로지 당선가능성만을 점친다. 선출직 정치인의 경우 당연한 현실이겠지만 상식도 없고 자신의 말고 행동이 끊임없이 모순되는 정치인들을 볼 때마다 사람들은 정치를 외면하고 현실을 부정한다.

  『야성적 충동』, 『블랙스완』, 『넛지』 등 최근 경제학의 ‘불확실성’에 주목한 많은 책들을 토대로 한 박종현과 최정규의 글은 정확하고 날카롭다. 우리에게 정치보다 훨씬 피부에 와 닿는 경제현실은 ‘불확실성’을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실감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분야이다.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대한 저자의 용어정리를 살펴보면 왜 사람들의 경제행위가 논리가 아닌 감정과 직감에 의해 결정되는지 짐작해 볼 수 있다. 우리는 의외로 구멍이 많은 존재이다. 수많은 지식과 논리로 무장하고 있는 것 같지만 세상을 변화시키고 움직이는 힘은 여전히 감정과 직관에 의한 판단일지도 모른다.

리스크(주사위 도박)란 무엇이 일어날지 확실히는 알 수 없으나, 그 확률 분포를 알고 있는 경우를 지칭하는 용어임에 반해, 불확실성(주식 투자)이란 일어날 개연성은 있으나, 그 확률 분포를 알지 못하는 경우를 지칭하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 P 92

실물 자산이나 금융 자산에 투자를 하거나 직장을 바꾸거나 결혼을 고려하는 등의 불확실한 상황에서 논리가 아닌 '감정'과 '직감이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 P 93


  문화뿐만 아니라 전지구적인 불확실성은 환경, 과학, 기술에도 고스란히 적용된다. 그래서 광우병, 유전자 조작 식품(GMO) 등 예측하기 어려운 일들이 벌어지지만 우리의 불안은 오히려 증폭될 뿐이다. 석유의 고갈, 지구 온난화 등 과학과 환경 분야의 불확실성은 오히려 고조하고 있다. 문명이 발달하고 과학이 발달하는데도 불구하고 우리의 삶은 지속적으로 나아졌다고 볼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손 놓고 앉아 당할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강양구의 말대로 사랑과 우애 그리고 연대를 직접 실천하는 길만이 인간의 길이다.

  세상은 불안하고 불확실한 곳이다. 이것을 인정하고 그 불확실성에 대한 원인과 결과를 살펴보는 일은 인간과 세상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계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이 불확실한 세상을 확실한 세상으로 바꾸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불안을 덜어주고 함께 손잡고 걸을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어진다. 불확실한 세상을 살아가는 확실한 방법은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조금 더 가까이, 그리고 냉정하고 따뜻한 시선으로 삼과 세상을 바라보자. 함께 걷는 누군가가 곁에 있다면 조금은 위안이 되고 덜 불안할 것이다.

불확실한 세상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가장 큰 선물은,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잠시 잊고 살았던 사랑, 우애, 연대 등의 가치를 떠올리고 직접 실천할 수 있는 기회이다 - P. 246


100516-0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