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란 문학과지성 시인선 373
이병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 일찍 쓰련다. 찬란했다고.

차가운 물의 명백함을, 물이 들어 지워지지 않는 그 격렬한 시간들을 차마 어떻게 마주한 것인지. 균형이었는지. 전부였는지. 그러므로 조금 미리 쓰련다. 당신도 찬란했다면 당신 덕분에 찬란했다고.


  한 편의 시와 다르게 한 권의 시집을 읽는 것은 전혀 다른 의미와 무게로 다가온다. 한 편의 시는 낱낱의 아름다움을 드러내지만 한 권의 시집은 전체 의미를 드러내는 유기체와 같이 시인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긴 호흡으로 풍부한 소리를 내는 교향악과 같다. 한 편의 시가 기교를 뽐내는 독주와 같다면 한 권의 시집은 다양한 인물 군상을 드러내는 대하소설과 같다. 그래서 한 시인의 시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집을 읽고 또 그 다음 시집을 읽으며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즐거움을 맛보아야 한다.

  창비에서 나온 『바람의 사생활』과 문학과지성사에서 나온 『찬란』은 시세계의 차이와 변화보다 시간의 흐름과 출판사의 이미지가 달라졌을 뿐인 것 같다. 예전에 참여와 순수 문학을 대표하던 출판사의 이미지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특성이 모호해진 것은 사실이다. 어쨌든 이병률의 새 시집 『찬란』은 시집 뒷면의 시인의 시작노트처럼 우리들 삶의 ‘찬란’에 대해 적고 있는 것이라고 믿고 싶다.

  너무 이르다고 해서 찬란하며 너무 늦었다고 해서 찬란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찬란은 생의 매순간마다 가장 아름답고 빛나는 순간에 대한 헌사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우리들의 ‘찬란’은 언제였을까? 매순간 찬란할 수 있었으면 좋겠지만 어느 한 순간, 지나고 나면 그 때가 찬란했음을 뒤늦게 깨달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눈에 뭔가 들어가 있다. 괜히 필요하지도 않은 눈물을 흘렸고 그것도 모자라 인공 눈물까지 샀다. 병원은 커다란 안경을 통해 내 눈동자를 들여다보았다.

유리 조각이 박혀 있다고 했다.

- ‘내가 본 것’ 중에서

  시는 지독히 주관적인 영역의 문학이다. 그래서 시인의 눈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기도 하고 자신의 감정을 확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자신의 눈에 박힌 유리조각은 알지 못한다. 우리는 누구나 타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본다고 생각하지만 손톱만한 자신의 실수도 알아차리지 못할 때가 많다. 스스로 삼가고 반성할 줄 아는 사람이 되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가.

  동일한 사건과 사물에 대해서도 사람들은 전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다. 기억은 더욱더 그러하다. 내가 본 것은 내 안에서 다른 일과 사물과 사건이 된다. 그래서 내가 본 것은 언제나 불안하기만 하다. 나와 타인을 믿을 수 없는 것은 인간에 대한 신뢰가 없기 때문이 아니라 어쩌면 내 눈과 기억과 판단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시인의 눈은 ‘내가’라는 수식어가 주는 의미를 다시 확인하게 한다. 주관적 판단과 사물에 대한 감각을 어떻게 표현하더라도 그것이 독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면 그것은 주관이 아니라 객관적 정서와 맞닿아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 안

혹시 이 안에 계시지 않습니까

나는 안에 있다
안에 있지 않느냐는 전화 문자에
나는 들킨 사람처럼 몸이 춥다

나는 안에 살고 있다
한시도 바깥인 적 없는 나는
이곳에 있기 위하여
온몸으로 지금까지 온 것인데

문자는 그것으로 그치지 않는다

혹시 여기 계신 분이 당신 맞습니까

나는 여기 있으며 안에 있다
안쪽이며 여기인 세계에 붙들려 있다

나는 지금 여기 있는 숱한 풍경들을 스치느라
저 바깥을 생각해본 적 없는데
여기 있느냐 묻는다

삶이 여기에 있으라 했다


  안에 있는 사람과 밖에 있는 사람이 있다. 사람은 그렇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나는 안에 있는 사람이다. 끝없이 밖을 지향하는 사람이 있지만 나는 안이 편하고 좋다. 밖에서 안을 지향하는 사람도 있고 밖에 있는 것을 만족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안’이 있고 ‘밖’이 있다. 우리가 어디서 삶의 의미를 찾고 ‘당신’을 찾을 지 알 수 없으나 분명한 것은 안의 세계가 진정한 우리들의 모습이 아닐까 싶다.

  그 모습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어느 순간 ‘찬란’한 것이 아니라 모든 생이 찬란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시인은 독자들에게 당신의 모든 생이 찬란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려고 한 것은 아닐까? 오월의 녹음은 눈이 부시다. 창 밖의 나무들이 바람에 스치는 소리도 찬란하고 눈부신 햇살은 더더욱 찬란하다. .내 생의 찬란함, 아니 우리 모두의 찬란함을 위하여 이병률의 시집 한 권과 작은 마음의 여유를 준비해 보는 것은 어떨까 싶은 밤이다.

겨우내 아무 일 없던 화분에서 잎이 나니 찬란하다
흙이 감정을 참지 못하니 찬란하다

감자에서 난 싹을 화분에 옮겨 심으며
손끝에서 종이 넘기는 소리를 듣는 것도
오래도록 내 뼈에 방들이 우는 소리 재우는 일도 찬란이다

…… 중략 ……

지금껏으로도 많이 살았다 싶은 것은 찬란을 배웠기 때문
그러고도 겨우 일 년을 조금 넘게 살았다는 기분이 드는 것도
다 찬란이다

- ‘찬란’ 중에서



100514-0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