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수난사 - 여자보다 강한 어머니들 이야기 인사 갈마들 총서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어머니 보고싶어요 어려서부터 우리집은 가난했었고 남들 다하는 외식 몇 번 한 적이 없었고 일터에 나가신 어머니 집에 없으면 언제나 혼자서 끓여먹었던 라면 그러다 라면이 너무 지겨워서 맛있는것 좀 먹자고 대들었었어 그러자 어머님이 마지못해 꺼내신 숨겨두신 비상금으로 시켜주신 자장면 하나에 너무나 행복했었어 하지만 어머님은 왠지 드시질 않았어 어머님은 자장면이 싫다고 하셨어 어머님은 자장면이 싫다고 하셨어 야이야~아 그렇게 살아가고~~ 그렇게 후회하~고 눈물도 흘리고~……’

21세기 아이들이 랩으로 소화한 god의 <어머님께>라는 노래의 일부다. <불효자는 웁니다>로 시작된 ‘어머니’에 관한 노래는 80년대에 산울림의 <어머니와 고등어>가 짧은 가사와 경쾌한 리듬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땅의 어머니들은 여전히  노래를 부르신다. 내가 어렸을 때 어머니가 혼자 흥얼거리시던 ‘얼굴’이라는 가곡이 있다. ‘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린 얼굴 내 마음 따라 피어나던 하얀 그때 꿈을. 풀잎에 연 이슬처럼 빛나던 눈동자 동그랗게 동그랗게 맴돌다 가는 얼굴……’ 그래서 내게 ‘어머니’의 노래는 ‘얼굴’이다. 지금도 가끔 궁금하지만 한 번도 여쭙지는 않았다. 어머니가 떠올린 ‘빛나던 눈동자’는 누구의 것인지.

  아버지와 전혀 다른 정서와 이미지로, 항상 눈물과 함께 등장하는 대한민국 모든 ‘어머니’는 오늘도 안녕하신지 모르겠다. 여자와 아주머니 구별되는 ‘어머니’의 이데올로기는 과연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궁금했다. 강준만의 『어머니 수난사』는 조선시대부터 2008년까지 역사적 관점에서 어머니의 역할과 사회적 의미를 고찰하고 있는 책이다.

  아들을 낳아야만 대접받는 사회에서 시작된 어머니의 수난은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를 거쳐 전쟁 미망인의 고통을 넘어 입시전쟁을 통해 인정 투쟁으로 계속되도 있다. 한마디로 규정할 수 없는 ‘어머니’는 신성함의 탈을 쓰고 여성들의 굴레로 남아있다. 성역할의 올가미는 문화적인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근대 이후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급변했지만 가정에서 ‘어머니’의 상징성은 변함이 없어 보인다.

  이 책은 강준만 특유의 화법과 글쓰기 방식에 먼저 주목해야 한다. 후주(後註)가 34페이지 달할 만큼 본문 내용은 방대한 참고자료를 바탕으로 삼고 있다. 철저한 고증과 각종 자료에서 인용한 글쓰기 방식은 시대별로 ‘어머니’의 위상과 의미를 밝히는 데 더없이 객관화된 방식이다. 공시적, 통시적 관점의 적절한 조화로 군더더기 없이 시대별로 깔끔하게 정리된 내용은 대한민국 여성들의 ‘수난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여성의 역사라는 측면에서도 바라볼 수 있을 만큼 잘 정리되어 있다.

  하지만 이전의 책에서도 저자가 사용한 이 방법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신문과 방송은 사실(fact)의 전달이 기본이지만 책은 이것과 조금 다르다고 본다. 저자의 해석과 분석보다 인용이 많은 책은 독자에게 저자 특유의 개성과 일관된 관점을 직접 체험하기 어렵게 한다. 발터 벤야민이 인용문만으로 책을 쓰고 싶다던 욕망을 실현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이것은 책이 아니라 거대한 신문으로 읽힌다. 책과 신문의 ‘어머니’ 관련 기사들을 정교하게 편집해 놓은 느낌이다. 저자의 의도가 바로 이것이었다면 매우 성공적이지만 한 권의 책이 들려주는 커다란 울림은 부족하다. 맺는말에서 ‘아줌마 혐오와 어머니 신성화’를 넘어서 현실의 문제를 성찰하고 있지만 이것으로는 부족하다. 문학이 아닌 다음에야 현실적 대안과 문제들을 조금 더 깊이 있게 다루고 사적 전개 과정이 도대체 어떤 영향과 결과로 이어졌는지 조금 떠 꼼꼼하게 짚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지나친 정보의 나열로 난삽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객관적 사실의 나열로 독자들이 자연스럽게 ‘어머니’의 문제를 인식하도록 하는데 의미를 둘 수 있겠지만 인용된 책과 자료들이 당시 여성과 사회 현상에 대한 분석인 경우가 많이 2차적 해석이 아닌 단순한 정보의 나열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은 조금 아쉽다.

  그래도 여전히 강준만의 저작은 읽을 만하다. 누가 이만한 노력과 정성을 쏟아 하나의 주제를 통해 꼼꼼하게 사적 전개 과정을 읽어낼 수 있겠는가. 그가 보여준 학문과 사회 현상에 대한 접근 방법과 언론에 대한 대응 방식은 그의 글을 신뢰할 수 있게 하는 또 하나의 힘이다. 색다른 글쓰기 방식에 대한 아쉬움보다 그의 노력과 성과가 훨씬 크다는 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인물과사상사의 ‘인사갈마들총서’ 시리즈가 보여준 재미와 믿음은 흰 화면에 한복을 입은 여인의 뒷모습을 내세운 어색하고 촌스런 표지가 오히려 순수한 진실을 보여주기에 적합하다. 화장을 하지 않은 어머니 얼굴의 주름을 우리는 어떤 마음으로 바라보았는가. 이 책을 통해 쌓여온 세월의 무게와 대한민국의 ‘어머니’를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100107-0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