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이름은 내게 사랑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었던 밤들을 떠올리게 했다. 한 번도 가보지 못했던 그 나라마저도 내게는 미칠 듯이 사랑스러웠으니까. 우린 연인이었다. 그 나라에서 케이케이가 왔다. -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 중에서

  독자가 고민하지 않고 책을 사는 작가는 얼마나 행복한가. 또 얼마나 큰 부담일까. 김연수는 내게 그런 작가 중 한 사람이 되었다. 그가 쓴 많은 소설과 산문을 통해 나는 그가 천상 소설가라는 생각을 했다. 은희경이나 김영하처럼 번개를 맞은 것처럼 우연히(?) 소설가가 된 경우도 있겠지만 오랜 시간 습작과 준비를 거쳐 작가가 되는 사람이 더 많을 것이다. 김연수는 그 중간쯤 서 있는 사람이 아닐까 싶다. 물론 주관적인 판단이지만 작가가 되는 과정보다 독자들은 그의 작품만을 읽어낸다. 나이, 성별, 학력, 직업, 이력들이 작품 이해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철저하게 작가의 문장이 작가를 말해준다.

  나는 지금부터 나올 김연수의 소설이 더 궁금하다. 깊은 사유와 감각적인 인상, 꾸준한 인문학에 대한 독서를 통해 지적이면서도 섬세한 감수성의 세계를 보여준 그의 소설들은 그를 이상문학상 작가로 만들었고 수많은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하지만 나는 더 농익은 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일 준비가 되어 있다. 재능 없는 성실함처럼 답답한 일이 또 있을까? 게으른 천재의 잔재주도 짜증나기는 마찬가지다. 김연수는 그 중간쯤 서 있는 작가라고 생각한다.

  신작 소설집 『세계의 끝 여자친구』는 청춘의 중간 결산쯤 되는 소설집이 아닐까 싶다. 9편의 단편을 모아서 묶어낸 이 책은 작가가 견지해온 슬픔을 기저에 두고 있다. 사랑과 슬픔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것이 작가의 천형이라면 김연수는 자신의 본분에 충실한 작가라고 볼 수 있다.

비록 형편없는 기억력 탓에 중간중간 여러 개의 톱니바퀴가 빠진 것처럼 보이긴 하겠지만, 어쨌든 인생은 서로 물고 물리는 톱니바퀴 장치와 같으니까. 모든 일에는 흔적이 남게 마련이고, 그러므로 우리는 조금 시간이 지난 뒤에야 최초의 톱니바퀴가 무엇인지 알게 된다. - ‘세계의 끝 여자친구’ 중에서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처럼 ‘세계의 끝 여자친구’, ‘당신들 모두 서른이 됐을 때’, ‘달로 간 코미디언’은 사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사랑처럼 진부한 것은 참을 수 없다는 말은 문학에서 통용되지 않는다. 사랑이 아니라 사랑을 이야기하는 방식이 문제다. 삶의 이야기하는 다양한 방식 중 하나로 사랑을 택했을 뿐 김연수의 이야기를 연애 소설로 읽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모든 사랑의 슬픔을 끊임없이 설명하고 색다른 방식으로 수다를 떨기 때문이다.

  모든 일에는 흔적이 남는다. 우리가 살아온 생의 이면에는 늘 깊은 생채기가 남고 켜켜이 세월의 흔적이 남겨진다. 김연수는 그 갈피와 무늬에 물을 부어 흐릿해지는 기억을 재생한다. 우리에게 과연 사랑은 무엇이고 그 사랑이 남긴 삶의 과정들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는 전언이다. 나는 그렇게 김연수의 소설을 읽는다.

우리는 모두 헛똑똑이들이다. 많은 것을 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대부분의 사실들을 알지 못한 채 살아간다.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 대부분은 ‘우리 쪽에서’ 아는 것들이다. 다른 사람들이 아는 것들을 우리는 알지 못한다. - ‘세계의 끝 여자친구’ 중에서

  그래서 우리는 모두 헛똑똑이로 산다. 다른 사람들이 아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은 생의 진실이 아니라 당연한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는 쉽게 그것을 인정하지 못하는 속성을 갖고 태어난다. 타인에 대해 안다고 생각하는 것, 타인이 아는 것을 나도 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식의 방법과 태도에 대한 오만이다.

  ‘내겐 휴가가 필요해’라고 말하는 주인공은 실존 인물을 모델로 한 듯하다. 바닷가 도서관에서 10년 동안 책을 읽었지만 그가 내린 결론은 아무도 알지 못한다. 바닷가에서 사체로 발견된 그는 현실 속에서 고문 경찰관이다. 하지만 존재의 근원도 세상의 진실도 어쩌면 책 속에서 찾지 못했을 것이다. 아니 그가 알아 낸 것을 우리는 아무도 모른다.

  책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만 일깨워 줄 뿐이다. 책읽기가 때때로 무의미한 노동이 아닐까 싶은 자괴감이 드는 것은 타인의 진실을 알 수 있다는 허망한 믿음 때문인지도 모른다. 작가가 무엇을 쓰려고 했든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혼자만의 환상을 만들고 사람과 사랑과 세상에 대한 또 다른 벽을 절감했다.

  내게도 청춘이 지나가버렸다. 불안한 것은 참을 수 있어도 진부한 것은 참을 수 없었던 청춘이. 그러나 이제 사람들은 진부한 것은 참을 수 있어도 불안한 것은 참지 못한다. 꿈은 없어도 돈이 없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모든 ‘나’에게 어울리든 그렇지 않든 말이다.

난 불안한 것 참을 수 있어도 진부한 건 도저히 못 참아. 꿈과 돈 사이에서 갈등하는 청춘이라는 건 너무 진부해. 나한테는 정말 안 어울려.  - ‘당신들 모두 서른 살이 됐을 때’ 중에서


091021-098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10-22 1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01 20: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08 2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