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설의 팡세
에밀 시오랑 지음, 김정숙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진리’. 우리는 더 이상 그 무게를 감당하고 싶지도, 그것에 속거나 공범이 되고 싶지도 않다. 나는 쉼표 하나를 위하여 죽게 되는 세상을 동경한다. - P. 8(언어의 위축)

  아포리즘aphorism은 시에 가까운 짧은 산문이다. 뚜렷한 하나의 생각이나 가치를 특별한 시선이나 생각을 압축적이고 간결하게 표현한 글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특별한 생각을 한다. 공감할 수 있는 자기만의 언어로 그것을 표현할 수 있다면 아포리즘이 된다. 그러니까 일차적으로 생각과 시선의 문제이고 이차적으로는 표현의 문제와 결부된다. 짧은 단상을 수첩이나 일기장에 적어놓은 것들이 하나의 일관된 생각으로 모아지기도 하고 하나의 주제나 대상에 대해 갖고 있는 다양한 관점들을 표현하면 아포리즘이 된다.

  형식은 내용을 규정한다. 짧고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긴 글보다 더욱 정확하고 치밀한 표현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래 생각하고 낯선 시각과 자신만의 언어가 필요하다. 형식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내용만이 모든 것을 말하는 것도 아니다. 아포리즘에 담긴 말들은 작가의 영혼을 대변하고 내면의 고백을 드러낸다.

  이성복의 아포리즘 <그대에게 가는 먼 길>을 두고두고 오래 읽은 기억이 난다. 사랑에 관한 문학에 관한 시인의 내밀한 고백은 그의 시보다 직설적으로 표현되어 깊은 감동을 주었다. 산문집과 달리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고백과 같았다. 오랫동안 전해오던 사소함들을 모아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글을 쓴다는 것은 오랜 글쓰기 훈련과 탄탄한 문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 된다.

  1976년 65세의 나이에 쓴 에밀 시오랑의 <독설의 팡세>는 신비로운 역설과 아이러니로 가득하다. 철학적 사유로 빚어낸 짧은 글들은 오래 두고 곱씹어 볼 만한 언어들로 가득하다. 시간, 고독, 종교, 사랑, 음악, 역사, 공허 등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삶에서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내밀한 고백과 시니컬한 시각, 독설에 가까운 비틀기는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관점들에 대한 반성을 요구한다.

  우울증과 자살에 관한 심각한 후유증이나 니체에 대한 몰입 등 그의 젊은 날이 이 책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누구나 겪게 되는 삶에 대한 회의나 인생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 모두 철학자를 만들어주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사람들은 그저 한치 앞을 볼 수 없는 시간의 벽 앞에서 우왕좌왕하지만 미래에 대한 기대나 일말의 ‘희망’을 볼모로 삶을 지탱해나가고 있다. 긍정적인 태도와 유쾌한 웃음 뒤에 숨은 진실에 대해서는 애써 외면하면서.

  에밀 시오랑은 슬픔과 우울 그리고 불면과 절망 속에서 무엇을 보았을까? 이 책은 그에 대한 작은 고백에 불과한지도 모른다. 개인적 삶이 평범하지 못했고 세상을 비극적으로 인식한 듯한 태도와 달리 그의 글은 아름다운 언어의 서정으로 가득하다. 역설적이게도 그것은 그의 삶을 지탱해 준 유일한 희망이었을지도 모르겠다. 80세가 넘도록 살아낸 것도 아이러니 하지만 젊은 나이에 조국을 떠나 40세이 이르도록 직업도 갖지 않고 대학 구내 식당을 전전하며 그가 고민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아주 오래 전에 쓴 아포리즘이 지금 읽히는 것은 시대를 뛰어넘어 공감할 수 있는 역설이 빛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에게 삶은 때때로 비극적 환상을 심어주기도 하고 눈부신 기대로 유혹하기도 한다. 그것이 무엇이든, 어떻게 펼쳐지든 켜켜이 먼지 앉은 세월의 두께를 이겨내야 하는 시찌프스의 형벌이 인간의 조건인지도 모르겠다.

침대에서 일어나면서 기적 같은 일로 오늘 하루를 채우겠다고 결심하는 마술사가 된다. 그러고는 침대에 다시 누워 사랑, 돈…… 난처한 문제들을 저녁까지 되씹는다.

*

실망하기를 거부하는 인간보다 저질의 인간은 없다. - P. 89(고독의 서커스)


  누군가의 글을 읽는 것은 그 사람과의 대화를 의미한다. 대면적 접촉을 넘어 깊은 사색의 영역을 공유한다는 면에서 일상적인 대화보다 한 인간에 대해 깊이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모든 것이 객관적이고 수치화될 수는 없다. 특히 인간의 내면에 관한 한.

  그리하여 한 사람은 한 사람을 만나게 되고 그 사람을 알게 될 수록 사랑하게 된다. 모든 관계가 그러하진 않겠지만, 어쩌면 모든 고통과 비극의 시작은 사랑이다. 그래서 에밀 시오랑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사랑의 존엄성이란 흥분의 순간이 지나고 남아 있는 허탈한 애정에서 오는 것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랑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는 무한을 내포하고 있다. - P. 137(사랑의 생명력)



090322-0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