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일본의 요시노 히로시라는 살마이 쓴 「생명은」이라는 제목의 시 한 편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그 안에 “생명은 그 가운데 결여를 안고, 이것을 타자가 채워주는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었습니다. 생명 곧 ‘낱생명’은 본질적으로 불완전한 것이어서 결여를 안고 있는데, 그것을 타자 곧 그 ‘보생명’이 채워준다는 저의 온생명이론을 아주 실감 있게 표현해 주고 있습니다. 저는 이런 것들이 같이 가야 한다고 봅니다. - P. 58(장회익)

현상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달리 보입니다. 그래서 보는 위치 곧 기준좌표의 전환에 따라 사룸이 어떻게 달라 보이는지를 분명히 구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을 좌표변환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없으면 내게 보이는 것만 옳고 남이 다른 위치에서 달리 보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 P. 59(장회익)

여기서 중요한 점은 좌표변환이라는 것이 결코 간단한 작업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 또한 일상생활 속에서 늘 좌표변환을 통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가며 살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내가 좌표변환을 해보는데도 상대방의 태도가 납득되지 않을 때 상대방이 틀렸다고 판정하고 분쟁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상대성이론이 주는 교훈은 내가 하는 좌표변환 그 자체가 불완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 간단한 물리현상들조차 4차원의 좌표변환을 해야 제대로 이해가 되는데, 복잡한 사회현상들이 단순한 상식차원의 좌표변환만으로 처리될 수 있을지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아마도 4차원 못지않은 고차원적 좌표변환이 요구될 것으로 보고 이 점에 대해 서로 간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 P. 60(장회익)

이분법적 양극화현상들인 전통과 혁신, 한반도의 세계, 보수와 진보, 남과 북, 동과 서, 빈 부, 아니든 세대와 젊은 세대 갈등 등이 불가피해 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포월(匍越)의 전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탈(脫/post-), 가로지르기(cross-), 사이(inter-), 횡단(trans-)의 전략들이 바로 그것입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와 문화는 학제적(interdisciplinary), 융합적(fusionist), 통섭적(consilient)이라는 말들이 가장 적합한 핵심어가 아닐는지요. - P. 76(정정호)

민주주의도 하나의 통치체제이기 때문에 권력이 민주주의를 통해 창출됐다고 하더라도, 그것 또한 권력이기 때문에 민주주의제도를 통해 견제되고, 민주적으로 통제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권력의 창출과 권력의 견제는 민주주의의 두 개의 기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P. 118(최장집)

문학론에서도 문맥은 텍스트의 의미결정에 참여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콘텍스트가 텍스트의 의미를 좌우하는 수도 많지요. - P. 211(도정일)

인간의 사상, 생각, 아이디어가 그처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죠. 그들의 ‘생각’이 아니었다면 근대 민주주의, 자유, 인권, 평등은 불가능했거나 한참 더 기다려서야 가능했을 겁니다. 사유와 행동, 지식과 실천을 결합하는 것이 인문학적 실천이고 이런 실천은 지금 이 시대에 절실한 요청이 되고 있습니다. - P. 231(도정일)

하나의 개념은 다른 여러 개념과의 연쇄 속에서만 진실에 가까이 간다는 것입니다. 하나만으로는 진리의 왜곡이 일어나지요. 통일을 절대화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 P. 261(김우창)

“답은 문제에서 나오기 때문에 문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 P. 293(김우창)

종교의 문제 중 하나는 사람의 마음이나 존재를 열어주는 게 아니라, 어떤 도그마에 갇히게 하는 측면이 있다는 점입니다. 이것이 사람들에게 종교에 대해서 유보를 가지게 하는 이유의 하나일 것입니다. … 말이나 도그마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거나, 포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태도는 우리가 겸허하게 삶의 사실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필요합니다. - P. 321(김우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