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체적 대상이면서도 이 땅의 언어로는 설명할 수도 없고 규정되지도 않는 존재가 엄마다. 어머니와는 또 다른 느낌인 이 말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인류의 역사만큼 오래되었고 진화의 과정에서 생물학적 관계로 설명되어질 수도 있는 존재가 엄마일 것이다. 눈에 보이고 살아있는 존재지만 정서적으로만 감당할 수 있는 말이 엄마다.

  아주 오랜만에 신경숙의 소설을 읽었다. 잊고 있던 친구의 편지를 받은 것처럼 반갑고 쑥쓰러웠다. <엄마를 부탁해>. ‘고양이를 부탁해’도 아니고 엄마를 부탁한다니. 

  첫 페이지부터 심상치 않더니 이 소설은 이제 많은 사람들의 숨겨 둔 눈물 보따리를 겨냥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공연하게 드러내는 것 같다. 세상에 엄마가 없는 사람은 없다. 누구에게나 ‘눈물나는’ 엄마가 숨겨져 있다. 돈이 많고 적음 때문도 아니고 직업 유무 때문도 아니다. 자식에게 엄마는 그저 엄마일 뿐이다. 전 존재의 완전한 합일로만 이해할 수 있는 엄마의 모습들을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떠 올릴 것이다. 

  나도 이 책을 읽는 내내 ‘엄마’를 생각했다. 몇 번이나 눈물이 나려고 해서 곤란했다. 눈물을 흘릴 상황이 아니었고 애써 참으려니 견딜만했다. 감정이입이나 동일시된 감정들을 건드리고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요소들을 담아낸 작가의 선택과 집중은 탁월하다. 수많은 사람들에게 책을 다시 읽게 할 수 있고 가슴 뭉클하게 만들 수 있는 따뜻한 소설 한 권을 만났다. 마지막 페이지가 다가올수록  아까운 책을 만난 기쁨이 적지 않았다. 

  아마 농촌에서 부모님이 생활하시고 도시에서 생활하는 자식들이 오가는 형태의 가족도 머지않아 없어지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시대가 변하면서 농업 문제가 다른 형태로 해결되지 않으면 농촌의 생활 모습은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다. 그렇다면 이 소설은 시골에 사시는 엄마에 대한 마지막 기억이 될 지도 모르겠다. 

  가슴에 묻어둔 엄마의 이야기를 이렇게 절절하게 풀어낼 줄 아는 작가의 능력이 놀랍기만 하다. 잃어버린 엄마의 이야기는 폐부를 찌르고, 간결하고 쉬운 문장들은 가슴을 적신다. 촉촉한 가을비를 바라보며 읽다가는 아무도 모르게 눈물을 흘려야할 지 모르니 조심해야겠다.
개인적으로 눈물샘을 자극하는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는데 이 책은 많은 사람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다. 이 가을에 엄마를 생각해 보는 일이 새삼스럽지만 아주 소중한 일이 될 것이다. 

  장편 소설의 중심축은 서울역에 내린 엄마의 실종으로 시작된다. 아버지와 서울역에 내려 지하철을 못탔고 아버지가 두 정거장을 지나 다시 서울역에 돌아왔으나 엄마를 찾을 수 없었다. 소설을 쓰는 나레이터가 직접 나선다. 신경숙은 스스로 화자가 되어 엄마의 이야기에 몰입했을 것이다. 소설가인 큰 딸은 ‘너’라는 2인칭으로 소설을 시작한다. 다소 낯선 형식이지만 화자를 객관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나친 감상과 주관적 서술에 치우칠 수 있는 내용을 경계한 탓일 것이다. 

  오빠 형철이와 아버지도 화자로 나서 어머니와 아내의 이야기를 풀어 놓는다. 이 소설이 장편이면서도 지루하지 않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잃어버린 엄마에 대한 다소 일반적인 단순한 사건을 이끌어 나가는 힘은 시점의 이동에서 보여주는 놀라운 섬세함이다. 각자의 입장에서 엄마를 바라보고 이해하고 또 남편의 입장에서 그것들을 풀어내는 솜씨가 탁월하다. 소소한 일상들을 배경으로 이 땅의 모든 어머니를 교묘하게 조합해 놓은 주인공 ‘엄마’는 우리 민족의 엄마로 거듭난다. 

  엄마는 자식들이 부르는 엄마다.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실존적 존재, 여자로 볼 수 없는 가족 관계의 중심에 서 있는 사람이 엄마다. 그 엄마를 새롭게 발견하는 일은 낯선 것이 아니라 고통스럽다. 기대고 의지하고 물과 공기처럼 늘 그 자리에 있어 준 사람의 이름을 우리는 엄마라고 부른다. 그래서 엄마가 없는 사람은 그 어떤 것으로도 메울 수 없는 빈 자리를 안고 살아가며 엄마의 부재는 치유될 수 없는 상처가 되기도 한다. 

  소설은 엄마를 찾아 나선 자식들의 기억과 반성과 회한으로 메워진다. 일반화 시켜 내어 놓은 상황들 속에 독자들은 몰입할 것이고 내면의 풍경들이 을씨년스럽게 펼쳐지는 소설의 공간에는 눈물이 배어든다. 엄마의 한 생애를 돌아보는 일은 모든 자식들에게 슬픔으로 다가오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자식을 향한 어머니의 마음들이 모여 읽는 사람을 먹먹하게 하는 것이다. 영원히 가장 아름다운 이름으로 기억될 ‘엄마’라는 존재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소설이다. 

  소설 말미에 새가 된 어머니의 시선이나 소설가인 큰 딸이 장미묵주를 사는 장면들이 개인적으로는 오히려 작위적으로 느껴져 거북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혹은 철저하게 자식들의 입장과 남편의 시선으로만 엄마와 아내의 부재에 대해 집중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부자연스럽거나 어색하지는 않지만 긴장감이 결여된 듯 하고 성모마리아의 등장으로 종교적 색채가 덧씌워져 오히려 거부감이 드는 결말이 못내 아쉽다. 물론 개인적이 취향이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소설의 재미와 의미가 퇴색한다고 볼 수는 없다. 

  간만에 오래 기억에 남을 만한 장편 하나를 만났다. 소설을 쓴다는 것은 인간의 이성의 아니라 잠자고 있는 감성의 바다에 돌을 던지는 일이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삭막한 도시의 바람이 불고 있지만 농촌에 계신 어머니가 그리울 때가 있는 사람, 돌아가신 어머니 생각에 가끔 하늘을 바라보아야 하는 사람은 조심해서 읽어야 할 소설이다. 언제 어디서 눈물을 보이게 될지 모른다. 

엄마는 알고 있었을까. 나에게도 일평생 엄마가 필요했다는 것을. - P. 267


081030-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