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없는 원숭이 - 동물학적 인간론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문예춘추(네모북)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옷 입는 원숭이들은 오늘도 안녕하신가? 인간을 비하하고 조롱하는 말로 들리는 이 인사가 흑인들의 “What's up?"처럼 지구 인류 문명에 대한 통렬한 풍자로 들릴 날이 멀지 않았다는 것은 지나친 비관주의일까?

  어떤 어려움과 역경과 고난 속에서도 생존해 왔으며 진화하고 있다는 믿음은 굳건하다. 교에 기대든 과학기술에 의존하든 이 믿음은 영원히 유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지구의 역사에서 인간의 역사를 돌아보면 그리 낙관적이지만은 않을 수도 있다. 잠시 빌려 쓰는 행성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못하는 종족이 멸종하지 않고 지속되리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193종의 원숭이와 유인원 가운데 유일하게 털이 없는 원숭이인 인간에 대한 본질은 무엇일까?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불가능하다고 전제한다면 데즈먼드 모리스의 <털없는 원숭이>는 인간에 대한 주관적 해석에 불과하다. 그러나 동물학이라는 학문적 관점에서 인간을 하나의 동물로 간주하고 관찰하자면 문명사에서 위치를 지워버려야 한다.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관점을 가지고서는 이 책을 읽을 필요조차 없다.

  결국, 언어를 사용하며 정교한 손을 사용할 줄 알며 이성이 발달했다는 몇 가지 특성을 제외하고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털없는 원숭이에 불과하다는 평가는 정확해 보인다. 1967년에 출판될 당시의 논란은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을 만하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내용 자체가 인간에 대한 모독이며 신성 모독이라는 평가는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인간의 존엄성을 스스로 무너뜨린 것 같은 한 동물학자의 도발적 발언은 인정하고 싶지 않은 우리들의 본질이다.

  21세기에 <털없는 원숭이>를 털없는 원숭이는 숭고함을 느낀다. 아무리 미사여구와 화려한 수사로 포장해도 인간은 한 마리 원숭이에 불과하다. 본능에 내재한 숨겨진 동물적 속성들은 당연한 것이면서도 충격적인 사실들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우리는 숲에서 도대체 몇 발짝이나 벗어난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외계인이 존재한다면 인간에 대한 필독서 1위에 오를 만하다. 지금까지 인간의 영혼 혹은 지적 영역에서 다루어진 우리들의 본질이 여지없이 무너진다. 동물학적 인간론은 너무나 적나라하고 솔직하며 기발하고 자극적이다. 독창적인 관점과 놀랄만한 호기심으로 인간을 관찰하고 있는 듯 한 이 책은 비범한 종인 인간의 모든 것을 해부한다.

  인간의 편견은 무섭다. 문화와 종교, 관습과 규범들에 의해 사회가 유지된다고 하지만 비판적 관점 없이 살다보면 털 있는 원숭이들보다 못한 삶을 살게 된다. 저자는 편견이라는 거인의 잠을 깨운다.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시도하는 용기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지 놀랍기만 하다. 무자비한 진보를 외치며 친척 동물들을 모조리 파괴하고 심지어 같은 인간끼리도 이유 없이 학살하는 유일한 종에 대한 반성은 이 책 영역 밖의 일이지만 생각의 갈피는 끝없이 뻗어나간다.

  기원, 짝짓기, 기르기, 모험심, 싸움, 먹기, 몸손질, 다른 동물들과의 관계 등 전체 8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권 <인간 동물원>과 3권 <친교 행동> 등 3부작으로 마무리 된 이 시리즈는 철저하게 인간을 동물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는 또 다른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그 내용과 관점은 인간에 대해 고찰한 어떤 책보다 그 한계를 뛰고 넘고 있다.

  지구의 역사를 12시간으로 본다면 인류의 역사는 11시 59분에 시작됐다는 비유는 우리들의 모습을 돌아보게 한다. 짧은 시간동안 그만큼 비약적으로 진화한 인간에 대한 고찰은 끊임없이 계속될 것이다. 하지만 어떤 분야에서 어떤 관점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최근 진화생물학에 대한 관심으로 데이비드 버스의 <욕망의 진화>라는 걸출한 역서를 만난 적이 있지만 이 책을 놓쳤더라면 크게 후회할 뻔했다.

  현대 사회의 복잡한 관계와 긴장감 속에서 인간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고 싶은 사람은 천천히 이 책의 책장을 넘겨보아야 할 것이다. 심리학에 대한 관심만큼 진화론의 관점에서 인간의 본질적인 측면에 대한 호기심은 지속될 것이다. 보다 솔직하고 다양한 관점의 책들이 여럿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의 내용만큼 직접적이고 정확하지는 않을 것이다.

  명불허전名不虛傳.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인정받은 책들은 헛된 이름만을 전하는 법이 없다. 수많은 책들 속에서 옥석을 가리고 탁월한 저서들을 골라내고 소화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할 수가 없다. 쉽지 않고 만만치 않지만 안목은 저절로 생기지 않고 읽는다고 모두 내것이 되지는 않는다. 왜, 어떻게, 무엇을 읽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다시 생각해 본다.

  한 마리 털 없는 원숭이는 오늘도 스스로가 원숭이인 줄도 모르고 꾸역꾸역 뭔가 머릿속에 집어넣기 위해 책장을 넘기고 있으며 죽음의 길로 걸어가는 그 허망한 생이 지속되고 있다. 시니컬한 비관주의로 인도하는 책으로 오해할 수도 있겠다. 이 책을 읽고 난 아주 사적인 상념일 뿐이다. 나를 둘러싸고 있는 아주 좁은 관계들을 돌아보고 주변의 모든 인간들을 털 없는 원숭이의 관점으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있다.

우리에게는 다행히도 어린 시절의 창의성과 호기심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어른들이 많다. 이들이야말로 인류가 계속 진보하고 팽창할 수 있게 해주는 사람들이다. - P. 168

081102-1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