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삼 전집 나남문학선 3
권명옥 엮음 / 나남출판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죽음은 한 시대의 종말을 예고한다. 2007년에 오규원이 세상을 떠난 것처럼 2008년에는 박경리와 이청준이 시대를 마감했다. 사람은 흔적을 남기며 오래 기억되기를 바라지만 무정한 시간은 흔적조차 남겨 놓지 않는다. 수많은 시인들이 명멸하지만 그를 기억하는 독자를 갖고 있는 시인은 많지 않다. 김종삼은 나에게 <북치는 소년>으로 다가온 특별한 시인이었다.

  오랜만에 민음사에서 펴낸 오늘의 시인총서 15 김종삼시선 <북치는 소년>을 꺼내보았다. 황동규는 서문 ‘잔상의 미학’이라는 글을 이렇게 시작한다.

“여백이 완벽보다 더 꽉 차 보이는 때가 있다. 잘 짜여진 일상 가운데서 일부를 떼어내어 거기 달려 있는 창에 창호지를 발라 안이 안 보이게 한 후 그 속에 들어가지 않는 쾌감이 있는 것이다. 그 쾌감에는 반성을 거부하는 어떤 것이 들어 있다.”

 1979년에 초판이 나왔지만 10년 후에 내가 산 시집은 1989년에 찍은 7판이다. 그러고도 20년이 흘렀으니 종이는 누렇게 변색되어 간다. 조심스레 몇 페이지를 펼쳐 보다가 다시 <김종삼 전집>을 순서대로 읽어나갔다.



人家들을 끼고 흐르지 않는
오밤중의 개울은
碇泊中인
납작한


  우리의 현대시사現代詩史를 조망할 때 화려하지는 않지만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시인이 김종삼(1921~1984)이다. 은근하고 조용한 매력을 지닌 시인 김종삼을 다시 읽는다. 그의 시는 긴장과 압축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읽고 나면 꼬리가 긴 여운을 남긴다. 전후 한국 현대시에서 그가 남긴 족적은 선명하다. 정갈한 한국어의 적절한 배치만으로도 그의 시는 농가의 초가집처럼 깨끗하고 소박한 느낌을 준다.

묵화墨畵

물먹는 소 목덜미에
할머니 손이 얹혀졌다.
이 하루도
함께 지났다고,
서로 발잔등이 부었다고,
서로 적막하다고,


  시詩가 완성된 하나의 구조물이라면 김종삼이 지은 집은 여백의 미를 가장 잘 살린 한옥과 같은 느낌이다. 군더더기 없이, 언어가 주는 울림과 이미지만 남겨진 단형 시들은 은근하며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그 여운과 감동은 시를 읽고 난 후에도 머릿속에서 공명되고 잔잔한 파문이 되어 가슴 깊은 곳까지 멀리 퍼진다.

북치는 소년

내용 없는 아름다움처럼

가난한 아희에게 온
서양 나라에서 온
아름다운 크리스마스 카드처럼

어린 羊들의 등성이에 반짝이는
진눈깨비처럼


  김종삼 시의 특징을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지만 그의 시에서는 압축과 정제된 언어의 울림 그리고 언어 밖의 여백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움이 절정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그의 시는 언제 읽어도 깔끔하고 어떻게 바라보아도 편안하다. 한 편의 시가 아니라 그림처럼 하나의 장면을 선명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우리말의 여백과 울림을 기막하게 배치하는 솜씨는 그의 시를 특별하게 한다. 그의 시는 절제의 미학이라 할 만하다.

올페

올페는 죽을 때
나의 직업은 시라고 하였다
後世 사람들이 만든 얘기다

나는 죽어서도
나의 직업은 시가 못 된다

宇宙服처러머 月谷에 둥둥 떠 있다
귀한 時刻 未定.


  직장다운 직장 한 번 가져보지 않았는데도 김종삼은 6.25 전쟁 직후부터 1984년 타계할 때까지 30여 년간 200여 편에 불과한 작품만을 남겼다. 이러한 과작寡作은 그의 시작詩作 태도를 말해준다. 절제된 언어의 형식과 간신히 탄생한 한 편의 시들은 깊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오래 생각하고 정성들여 시 한 편을 완성하는 과정이 보이는 듯하다. 한 편 한 편을 꾹꾹 눌러 쓴 그의 육필 원고를 보면 그 과정을 짐작할 수 있을 듯하다.

장편掌篇 ․ 2

조선총독부가 있을 때
청계川邊 一○錢 均一床 밥집 문턱엔
거지소녀가 거지장님 어버이를
이끌고 와 서 있었다
주인 영감이 소리를 질렀으나
태연하였다

어린 소녀는 어버이의 생일이라고
一○錢짜리 두 개를 보였다.


  시의 본령이 언어에 충실하게 복무하는 일이라는 측면에서 김종삼은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 손꼽히는 사람이다. 1930년대와 1960년대에 벌어졌던 순수 참여 논쟁의 관점으로 볼 때 김종삼의 시詩는 가장 순도 높은 순수시에 해당한다. 이전에도 이후에도 그의 시가 가진 특별함에 값할 만한 시인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그만큼 그는 시詩의 본질에 충실했던 시인이다.

민간인民間人

1947년 봄
深夜
黃海道 海州의 바다
以南과 以北의 境界線 용당浦

사공은 조심 조심 노를 저어가고 있었다.
울음을 터뜨린 한 嬰兒를 삼킨 곳.
스무 몇 해나 지나서도 누구나 그 水深을 모른다.


  스무살 무렵 동생이 죽고 나이 들어서도 형을 먼저 보낸 불행한 가족관계는 그에게 술을 마시게 했다. ‘아우는 스물두 살 때 결핵으로 죽었다 / 나는 그 때부터 술꾼이 되었다(‘掌篇’중에서)’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시인은 트레이드 마크처럼 손에서 놓지 않은 파이프 담배와 술잔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평생 월세방을 전전했을 만큼 가난했지만 그의 시에서 생활의 흔적은 만날 수가 없다. 오히려 서구 지향적이고 클래식과 음악에 함몰된 모습들이 곳곳에 배어나온다. 그것은 김종삼의 시에서 생경하고 어색함으로 남아 다른 시들보다 독자들의 공감을 얻는데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제작製作

그렇다
非詩일지라도 나의 職場은 詩이다.

나는
진눈깨비 날리는 질짝한 周邊이고
가동中인
夜間鍛造工廠

깊어가리마치 깊어가는 欠谷

  고종석의 말대로 ‘무적자無籍者의 댄디즘’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김종삼은 영혼의 유목민이었으며 보헤미안이었다. 현실 밖의 어린왕자처럼 맑고 순수한 서정의 시세계를 보여준 시인 김종삼은 수많은 독자들의 가슴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의 시는 여전히 살아 숨쉬는 한국어의 현재형이다. 깊은 가을에 그의 절창 몇 편을 읽어볼 만하다. 오래 곁에 두고 가끔씩 꺼내 읽고 싶은 몇 안되는 전집 하나가 늘었다.


081010-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